• 제목/요약/키워드: Horses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46초

Description of a novel ultrasound guided peribulbar block in horses: a cadaveric study

  • Leigh, Hannah;Gozalo-Marcilla, Miguel;Esteve, Vicente;Bautista, Alvaro Jesus Gutierrez;Gimenez, Tamara Martin;Viscasillas, Jaime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2권2호
    • /
    • pp.22.1-22.9
    • /
    • 2021
  • Background: Standing surgery in horses combining intravenous sedatives, analgesics and local anaesthesia is becoming more popular. Ultrasound guided (USG) peribulbar nerve block (PB) has been described in dogs and humans for facial and ocular surgery, reducing the risk of complications versus retrobulbar nerve block (RB). Objective: To describe a technique for USG PB in horse cadavers. Methods: Landmarks and PB technique were described in two equine cadaver heads (Phase 1), with computed tomography (CT) imaging confirming contrast location and spread. In Phase 2, ten equine cadaver heads were randomised to two operators naive to the USG PB, with moderate experience with ultrasonography and conventional "blind" RB. Both techniques were demonstrated once. Subsequently, operators performed five USG PB and five RB each, unassisted. Contrast location and spread were evaluated by CT. Injection site success was defined for USG PB as extraconal contrast, and for RB intraconal contrast. Results: Success was 10/10 for USG PB and 0/10 for RB (p < 0.001). Of the RB injections, eight resulted in extraconal contrast and two in the masseter muscle (p = 0.47). Conclusions: The USG PB had a high injection site success rate compared with the RB technique; however, we cannot comment on clinical effect. The USG technique was easily learnt, and no potential complications were seen. The USG PB nerve block could have a wide application for use in horses for ocular surgeries (enucleations, eyelid, corneal, cataract surgeries, and ocular analgesia) due to reduced risk of iatrogenic damage. Further clinical studies are needed.

Evaluation of recent changes in genetic variability in Thoroughbred horses based on microsatellite markers parentage panel in Korea

  • Park, Chul Song;Lee, Sun Young;Cho, Gil Jae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4호
    • /
    • pp.527-532
    • /
    • 2022
  • Objective: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recent changes such as allele frequencies and total probability of exclusion (PE) in Thoroughbred horses in Korea using short tandem repeat (STR) parentage panels between 2006 and 2016. Methods: The genotype was provided for 5,988 horse samples with 15 microsatellite markers (AHT4, AHT5, ASB2, ASB17, ASB23, CA425, HMS1, HMS2, HMS3, HMS6, HMS7, HTG4, HTG10, LEX3 and VHL20). Results: In our study, the observed number of alleles per locus ranged from 3 (HMS1) to 9 (ASB17) in 2006 and 4 (HMS1) to 9 (ASB2) in 2016, with a mean value of 6.28 and 6.40, respectively. Of the 15 markers, HMS2, HTG4, and CA425 loci had relatively low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0.5000) in the Thoroughbred population. Mean levels of genetic variation in 2006 and 2016 were observed heterozygosity (HO) = 0.708, and expected heterozygosity (HE) = 0.685, as well as and HO = 0.699 and HE = 0.682, respectively. The PE was calculated for each group based on the allele frequencies of 14 or 15 STRs. The 2006 survey analyzed that PE was 0.9998, but it increased to 0.9999 in 2016 after the HMS2 marker was added in 2011. The current STR panel is still a powerful tool for parentage verification that contributes to the maintenance of integrity in the Thoroughbred population. Conclusion: The current STR panel is still a powerful tool for parentage verification that contributes to the maintenance of integrity in the Thoroughbred horses. However, continuous monitoring genetic variability is necessary.

Differences in fine dust emissions based on bedding type and quantity in horse stables

  • Ji Hyun Yoo;Jong An Lee;Jae Young Choi;Sang Min Shin;Hyeon Ah Kim;Mi Young Won;Yong Jun Kang;Hee Chung Ji;In Cheol Cho;Jin Hyoung Kim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4호
    • /
    • pp.917-925
    • /
    • 2023
  • Efforts for developing the domestic horse industry in South Korea are evident through the various national policies. Proper management of stables for ensuring the health of horses is essential to sustain the growing equine industry. This study aimed to measure the fine dust emissions in stables based on the type and quantity of bedding used for horses, for establishing guidelines pertaining to bedding use in stables. The stables accommodated 12 horses. Sawdust, wood shavings, wood pellet, and straw were chosen as treatments. Three different quantities (approximately 3, 6, and 9 cm in height) were applied for each type. Fine dust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at three time points, with each measuring period lasting for approximately three weeks. Measurements included PM2.5 and PM10 fine dust levels. The initial analysis revealed that, sawdust with 9 cm bedding had the highest dust levels; approximately 54.6 ㎍/m3, for PM2.5 and 95.3 ㎍/m3, for PM10. Sawdust bedding at the highest quantity (9 cm)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initial fine dust emis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edding materials with smaller particle size, such as sawdust and wood shavings, tend to produce finer dust. Initially, the fine dust emissions decreased in all bedding types and quantities, possibly due to the increased moisture content of bedding owing to horse manure production. However, emissions increased subsequently due to ammonia production.

Jeju crossbred에서 3번 염색체 단일염기변이와 12개월령 체형과의 연관관계 (Association between SNPs on equine chromosomes 3 and body conformation of 12 month of age in Jeju crossbred horses)

  • 김남영;최정우;채현석;백광수;손준규;신상민;우제훈;박설화;홍현주;김수연;양영훈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27-233
    • /
    • 2016
  • 본 연구는 Jeju crossbred(제주마${\times}$더러브렛) 12개월령 체형 형질에 대한 말의 3번 염색체 단일염기변이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공시축은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에서 육성 중인 Jeju crossbred 육성마 199 두를 이용하였다. 12개월령 육성마 체형은 체중, 체고, 체장, 흉폭 등 13종을 측정하였다. 말의 3번 염색체 105.1Mbp~110Mbp 영역에 위치한 BIEC2-808466, BIEC2-808543, BIEC2-808967, BIEC2-809370 단일염기변이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단일염기변이 유전자형과 12개월령 체형과의 연관관계 분석을 위해 공분산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출생년도, 출생월, 성별, 산차를 공분산 성분으로 분석에 이용하였다. 12개월령 육성마의 평균 체중은 $193.7{\pm}24.5kg$이었으며, 체고는 $124.5{\pm}4.0cm$였다. 분석에 이용된 4종의 단일염기변이의 miner 대립유전인자 빈도는 0.01~0.291로 확인되어 유전적 다형성이 낮았다. 공변량 중 성별과 산차는 출생연도와 출생월보다 체형 측정치에서 영향이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12개월령 체형 13종에 대한 4종의 단일염기변이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BIEC2-808967 단일염기변이는 체장에서 연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P<0.05), BIEC2-809370 단일염기변이에서는 체고, 배고, 고고에서 연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본 연구결과 Jeju crossbred에서 3번 염색체 단일염기변이는 12개월령 체형에 대해 연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성장단계에 따른 추가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제주마에서 3번 및 9번 염색체상의 단일염기변이와 생체중과의 관련성 연구 (Association of SNP Markers on Chromosomes 3 and 9 with Body Weight in Jeju Horses)

  • 김남영;양영훈;박남건;양병철;손준규;신상민;우제훈;신문철;유지현;홍현주;박희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795-801
    • /
    • 2018
  • 본 연구는 제주마 체중 형질과 말의 3번 및 9번 염색체 단일염기변이마커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DNA 샘플은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에서 등록관리 중인 제주마 320두를 제공받았고, 생체중 자료는 한국마사회에서 시행한 경마에 출주한 제주마의 체중자료를 이용하였다. 기존에 말의 체형관련형질과의관련성이 보고된 바 있는 말의 3번 염색체상에 위치한 BIEC2-808466, BIEC2-808543, BIEC2-808967, BIEC2-809370 단일염기변이마커와 9번 염색체상에 위치한 BIEC2-1105370, BIEC2-1105372, BIEC2-1105377, BIEC2-1105505 and BIEC2-1105840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관련성 분석을 위한 종속변수는 선형혼합모형을 이용해서 추정한 생체중 육종가를 이용하였다. 관련성 분석결과 6개의 마커(BIEC2-808543, BIEC2-808967, BIEC2-809370, BIEC2-1105370, BIEC2-1105372, and BIEC2-1105377)와 생체중 추정육종가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또한, BIEC2-808967과 BIEC2-1105377의 유전자형조합을 구성하여 생체중 추정육종가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 결과, 두 마커의 유전자 조합은 생체중 변이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유의성이 인정된 단일염기변이마커들은 제주마의 체중 개량을 위한 선발육종체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지만, 이 들 마커효과의 좀더 정확한 추정을 위한 추가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혈액형에 의한 제주말의 유전적 다형성 분석 (Analysis of Genetic Polymorphism by Bloodtyping in Jeju Horse)

  • 조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72-978
    • /
    • 2005
  • 제주말의 혈통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할 목적으로 국내에서 사육중인 제주말 102두를 대상으로 적혈구항원형 및 혈액단백질형의 유전적 다형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적혈구항원형의 표현형 빈도는 $A^{af}$28두($27.45\%),\;C^{a}$ 101두 ($99.02\%),\;K^{-}$ 99두 ($97.06\%),\;U^{a}$ 64두 ($62.75\%),\;P^{b}$ 37두 ($36.27\%),\;Q^{c}$ 48두 ($47.06\%$)에서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D시스템의 31개의 대립유전자 중 $D^{cgm/dghm}$ 14두($13.73\%),\;D^{adn/cgm}$ 10두($9.80\%),\;D^{ad/cgm}$ 9두($8.82\%),\;D^{dghm/dghm}$ 8두($7.84\%),\;D^{cgm/cgm}$ 8두($7.84\%$)에서 높은 빈도의 유전자형이 관찰되었다. 또한 null allele로 추정되는 $D^{ad/c(e)fgm}\;D^{adn/c(e)fgm}\;D^{c(d)fgm/dghm}$대립유전자가 4두에서 관찰되었다. 혈액단백질형은 $AL^{B}$ 49두($48.04\%),\;GC^{F}$ 101두($99.02\%),\;AlB^{K}$ 99두($97.06\%),\;ES^{FI}$ 37두($36.27\%),\;TF^{F2}$ 26두($25.49\%),\;HB^{B1}$ 46두($45.10\%$), and $PGD^{F}$ 88두($86.27\%$)로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HB^{A2B1}$ 4두($3.92\%),\;HB^{AB1}$ 2두($1.96\%),\;HB^{AB2}$ 1두($0.98\%),\;PGD^{D}$ 1두($0.98\%$가 특이하게 관찰되었다. 유전자 빈도는 $A^{af}$ (0.3726), $A^{C}$ (0.2647), $C^{-}$ (0.5050), $K^{-}$ (0.9853), $U^{-}$ (0.6863), $P^{b}$ (0.4657), $Q^{c}$ (0.5294), $D^{cgm}$ (0.3039), $HB^{B1}$(0.6863), $PGD^{F}$ (0.9265), $AL^{B}$ (0.6912), $ALB^{K}$ (0.9852), $GC^{F}$ (0.9950), $ES^{I}$ (0.5000) and $TF^{F2}$ (0.4950) 대립유전자가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D^{cgm(f)}$ (0.0196), $HB^{A}$ (0.0147), $HB^{A2}$ (0.0196), $ES^{G}$ (0.0441), $ES^{H}$ (0.0098), $TF^{E}$TF'(0.0246), $TF^{H2}$ (0.0049) and $PGD^{D}$ (0.0098)의 대립유전자가 제주말 에서 특이하게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혈액형에 의한 제주말의 유전적 다형은 $A^{af},\;A^{c},\;C^{-},\;K^{-},\;U^{-},\;P^{b},\;Q^{c},\;D^{cgm},\;D^{dghm},\;D^{adn},\;HB^{B1}$, $PGD^{F},\;AL^{B},\;A1B^{K},\;GC^{F},\;ES^{I},\;TF^{F2},\;AL^{B}$, 대립유전자의 빈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고 $A^{ab},\;A^{abf},\;D^{cgm(f)},\;(D^{cfg(k)m}$ 혹은$D^{c(e)fgm}),\;HB^{A},\;HB^{A2},\;ES^{H},\;TF^{E},\;TF^{H2},\;PGD^{D},\;AL^{B}$의 대립유전자가 제주말에서 특이하게 관찰되었다.

Thoroughbred 경주마에서 Furosemide 투여에 따른 혈액 및 전해질의 변화 (The Changes of Blood Chemistry and Electrolytes on the Furosemide Administration in Thoroughbred Racing Horses)

  • 이영우;김병선;최귀철;이경갑;강태영;이주명;윤영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97-602
    • /
    • 2007
  • Furosemide is a potent diuretic used in the horse for the prophylaxis of exercise-induced pulmonary hemorrhage(EIPH), and in a variety of clinical con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up the effect of furosemide in Thoroughbred horses, and to examine the time of maximal effect of furosemide to prevent the EIPH. The animals of the experiment were 4 Thoroughbred racing horses(female, average 6 yrs, BW $507{\pm}80.2kg$) in Jeju stud farm and the experiment was cross-over design between furosemide(1 mg/kg IV) and normal saline(0.1 ml/kg, IV) administration.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clinical signs(body weight, skin turgor, capillary refilling time, jugular distensibility), CBC(PCV RBC), serum chemistry(TP, AST, GGT, glucose, LDH, BUN and creatinine) and electrolytes ($Na^+,\;K^+,\;Cl^-,\;Ca^{2+}$) on 0, 30 mins, 1, 2, 4, 8 and 24 hrs in furosemide and saline administration roup, respectively. The weight decreased significantly(P<0.05) in 4 hrs after furosemide treatment, but skin turgor, CRT, jugular distensibility remained unchange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RBC and PCV decreased after furosemide administration but soon recovered. TP increased to the highest level in 30 mins after furosemide administration and recovered in 8 hrs. Furosemide administration resulted in increases in glucose, AST, GGT, LDH, BUN, creatinine(P<0.05) and decreases in $Ca^{2+},\;Na^+,\;K^+,\;Cl^-$ (P<0.05). All of values were within normal range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There was the alteration of blood and serum chemistry after furosemide administration, all of values were within normal range. And the best time of furosemide administration will be 30 minutes before the racing in order to preventing EIPH.

안압지(雁鴨池)(경주(慶州))에서 출토(出土)한 마(馬)의 유해(遺骸)에 대하여 (Morphological Examination on the Horse Remains Excavated from An Up Pond in Kyungzu)

  • 모기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권
    • /
    • pp.197-202
    • /
    • 1985
  • 1975년(年) 3월(月) 경주(慶州) 안압지(雁鴨地) 보수공사(補修工事) 당시(當時) 출토(出土)한 마(馬)의 유해(遺骸)의 종류(種類), 연령(年令) 및 성별(性別) 등을 감정(鑑定)한 바는 다음과 같다. 1. 출토(出土)한 유해(遺骸)는 골(骨)이 9점(點) 치아(齒牙)가 28점(點)이었다. 이들 골유해(骨遺骸)는 두개골(頭蓋骨), 상완골(上腕骨), 0골(骨), 제(第)1지골(指骨), 대퇴골(大腿骨), 경골(脛骨)이 각(各) 1점식(點式)이고 경추(脛椎)가 3점(點)이며, 치아(齒牙)가 28점(點)이었다. 2. 두개골(頭蓋骨)은 현존(現存) 우리나라 재래마(在來馬)의 그것과 형태(形態)와 크기가 매우 유사(類似)하고 치아(齒牙)의 마멸상태(磨滅狀態)와 형태(形態)로 미루어 볼때 10재(才) 미만(未滿)의 장마(壯馬)로 추정(推定)된다. 3. 사지골(四肢骨)들은 현존(現存) 우리나라 재래마(在來馬)의 그것들보다 다소(多小) 왜소(倭小)한 체구(體軀)의 마체(馬體)의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4. 유해(遺骸)들의 감정(鑑定) 결과(結果) 2두(頭) 이상(以上)의 마체(馬體)의 것들로 추정(推定)된다.

  • PDF

말에서 detomidine과 tramadol의 정맥 투여에 의한 진정 및 진통효과 (Sedative and Analgesic Effects of Intravenous Detomidine and Tramadol on Horses)

  • 김태훈;장민;이항;이인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6-232
    • /
    • 2012
  • 본 연구는 승용말에 detomidine과 tramadol을 정맥 투여한 후 진정 및 진통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여섯 마리의 승용말에 각각 detomidine (10 ${\mu}g/kg$), tramadol (2 mg/kg) 및 detomidine/tramadol 병용 (각 10 ${\mu}g/kg$과 2 mg/kg) 투여하였다. 심박수, 호흡수, 직장체온, 간접동맥혈압, 위장관 운동에서 detomidine과 detomidine/tramadol 병용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진정효과는 detomidine, detomidine/tramadol 병용 투여 후 5분에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나, detomidine 및 detomidine/tramadol 병용간 유의한 진정효과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Detomidine과 detomidine/tramadol 병용은 투여 후 50분까지 유사한 진통효과를 나타내었으나, detomidine/tramadol 병용이 더 긴 진통효과를 나타내었다. Detomidine의 투여 후 혈당 수치가 투여 후 60분까지 증가하였으나, detomidine/tramadol 병용 투여 후의 혈당 수치는 증가하지 않았다. Tramadol과 detomidine/tramadol 병용 투여된 한 마리가 투여 5분 이내에 흥분된 행동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detomidine/tramadol 병용 투여가 기립상태에서 말의 간단한 외과적 처치와 진단을 위하여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지역 말 방목 초지의 혼파조합별 생산성 및 채식율 변화 (Changes in the Productivity and the Percentage of Grasses Intake in Different Mixtures Grazed by Thoroughbred Horses)

  • 이종언;박남건;박형수;오운용;고문석;김동훈;강동희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3-128
    • /
    • 2007
  •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서 말 방목에 적합한 혼파조합을 선발하기 위해 해발 450m에 위치한 한국마사회 경주마육성목장에서 티모시, 오차드그라슨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화본과 위주 초종으로 혼파 파종하여 2년 간 말(더러브렛)을 방목하면서 목초생산성, 식생변화 및 채식율 변화 등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간 총 건물생산량은 1, 2차년도에 관계없이 혼파조합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시기별에 따라 생산량 차이를 보였다. 식생은 페레니얼 라이그라스가 봄철 크게 우점현상을 보였으나 여름철에는 하고 현상으로 식생구성이 낮게 나타났다. 방목 첫 해 티모시는 식생비율이 낮았으나, 그 후에는 연중 적절한 식생 구성을 보였다. 채식율은 티모시 주초종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식물체 NDF, ADF, Ca 및 P 함량은 처리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제주지역(해발 400m 내외)애서 티모시 주초종(ha 당 티모시 20, 오차드그리스 5,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5, 화이트클로버 2kg)의 혼파조합은 시기별 생산성과 기호성을 고려할 때 말 방목초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