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modification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초

EasyCare : 심계질환자 관리를 위한 에이전트 기반의 u-헬스케어 시스템 (EasyCare : An Agent-based u-Healthcare System for Managing Patients with Heart Diseases)

  • 조현주;김상철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77-190
    • /
    • 2011
  • Due to the growth of economy and the advancement of IT, the life expectancy has been prolonged and the interests in health have greatly increased. Recently the request for systems that enable measuring the bio-signals of patients in the non medical organizations, such as home, and transmitting them to medical staffs at remote sites for monitoring them.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gent-based u-health system for patients or suspects with heart diseases. Our system consists of portable devices for measuring bio-signals and agents that perform data collection, data storage, automatic detection of abnormal status in patients, and HL7-based data exchange in a cooperative way. The main features of the system are : the agent-based architecture facilitates the addition of new service modules as well as the modification of existing ones; an intelligent agent is provided which automatically detects situations in which the bio-signals of patients are abnormal; the medical data standard is supported so that the communication with other systems is very easy. To our survey, there have been few previous systems which support all those features in a seamless way.

Students' dietary habits, food service satisfaction, and attitude toward school meals enhance meal consumption in school food service

  • Lee, Kyung-E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6호
    • /
    • pp.555-563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student consumption of school meals by school level,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school meal consumption, and to assess improvement needs of school food service among students. SUBJECTS/METHODS: A total of 1,441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58 schools in Gyeonggi-do,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in 2015. A questionnaire and informed consent forms for students and legal guardians were sent home and completed responses were returned to the researcher. RESULTS: Approximately 58% of the students perceived the portion sizes of school meals as appropriate and 76.1% consumed almost all or all of the meals served. Mor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an high school students consumed almost all or all of the meals (P < 0.001). A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udents with a higher dietary behavior score (P < 0.001), higher satisfaction with food service (P < 0.001), a higher environmental protection practice score (P < 0.05), an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school meals (P < 0.01) consumed significantly more meals. The provision of foods that taste good and reflecting student opinions on menu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increasing school meal consumption. CONCLUSIONS: To increase consumption of school meals, food service staff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quality meals and engage students in school food service. Nutrition education that emphasizes healthy eating behaviors and cafeteria environment modification that applies strategies based on behavioral economics can encourage students to consume more school meals.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지능형 실내조명 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Intelligence interior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Power Line Communication)

  • 김관형;강성인;황용연;변기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17-719
    • /
    • 2009
  • 일반적인 조명 시스템은 실내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일관적으로 설치하고 제어하고 있어 전기 에너지의 효율 면에서 매우 불합리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조명, 난방, 가전기기와 같은 장치들을 원격으로 제어하고 감시하는 시스템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연광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 기존에 설치된 전기 배선을 그대로 활용하여 원격에서 불필요한 조명을 제어할 수 있는 전력선 통신기반의 조명제어 모듈을 설계하였다. 또한, 에너지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자연광을 활용하는 시간대에 대하여 개별적인 조명을 지능적으로 제어하는 전기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20대 여성의 기성복 슬랙스 패턴 및 그레이딩 룰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ttern and grading rule of slacks)

  • 박우미;위은하;김윤화;박춘덕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3-2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attern and grading method of slacks of adults women of standard somatotype to prove fitness of lower body shap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4 pattern were compared by the sensory evaluation to choose which one is more appropriate to this research. The slacks pattern developed by modification from L method. 2.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have down that the new slacks pattern have better fit than the traditional pattern. 3. The standard sized patterns were graded using Moonwha grading rule as a traditional one and the new grading rule. The new grading rule was developed by fitting the slacks which were made by traditional grading rule. 4.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have down that the slacks made by the new grading rule developed in this work have better fit than the ones made by the traditional grading rule.

  • PDF

영화 '캡틴아메리카' 시리즈에 나타난 영웅 캐릭터의 서사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arrative Structure of the Hero Character in the Movie 'Captain America' Series)

  • 박찬익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11-118
    • /
    • 2019
  • Chapter 1 and 2 of this study examined the methodology of modern storytelling using the hero narrative structure. This involved analyses of Joseph Campbell's monomyth structure, which is the prototype model of modern storytelling and Christopher Vogler's story structure in which the monomyth structure is classified into 3 Acts and 12 Stages. In addition, the movie 'Captain America' was analyzed based on Vogler's narrative structure theory. According to the analyses results, the hero of 'Captain America' fully follows Christopher Vogler's hero narrative structure but in some cases, he does not follow the existing hero narrative structure. It is interpreted that this is because heroes of modern tales have different birth backgrounds from mythical heroes. There is also a difference even in the stage where a hero completes all adventures and returns home between modern tales and myths due to different social backgrounds. Therefore, these findings provide a basis for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a modern hero epic. Through this analysis, the modified modern hero narrative structure is evaluated to be appropriate as a basic model for modern storytelling. Further, it is expected that those who frame a film script can complete a new hero epic while following the structure of syntagmatic systems by selecting a level among Northrop Frye's paragmatic systems based on this structure and considering story themes and heroes'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사물인터넷과 모바일 IP의 융합을 위한 효율적 인증 메커니즘 (Efficient Authentication for Convergence of IoT and Mobile IP)

  • 이윤정;조정원;김철수;이봉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3-18
    • /
    • 2019
  • 논문은 제한된 컴퓨팅 파워와 자원을 갖는 IoT 와 Mobile IPv6 (MIPv6) 환경에서, 모바일 기기와 홈에이전트/대응노드 간의 바인딩 업데이트 메시지에 효율적이고 안전한 쌍방향 인증 프로토콜 제안한다. 이 프로토콜은 MIPv6의 메시지 교환에 기반으로 하여 최소한의 수정으로 통신주체 양쪽에 대하여 최적화된 인증과 공개키 교환을 동시에 만족한다. 최소한의 메시지교환으로 쌍방향 인증이 가능하며, 인증을 위한 교환 메시지 수를 최소화하였고, ECC 공개키 기반 키쌍을 사용으로 각각 노드에서의 연산양이 적으며 교환되는 메시지 크기가 작아서 네트워크 부담도 기존의 연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 향후에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프로토콜을 구체적으로 구현하여 성능분석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정위방사선치료 시 독립턱 부분폐쇄를 이용하는 선량분포개선 방법 (Beam Shaping by Independent Jaw Closure in Steveotactic Radiotherapy)

  • 안용찬;조병철;최동락;김대용;허승재;오도훈;배훈식;여인환;고영은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150-156
    • /
    • 2000
  • 서론 :정위방사선치료는 높은 정밀도로 크기가 작고 구형인 병변에 국한하여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는 기술이지만 병변의 모양이 구형이 아닌 경우에는 병변 주변의 정상조직에 고선량의 방사선이 조사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독립턱을 부분적으로 폐쇄하여 방사선량 분포를 개선하는 방법, 선량계산과 선량분포의 도시방법을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정위방사선치료 시의 호의 궤적상 병변은 방사선조사영역 내에 포함하면서 주변 정상조직을 최대한 차폐하도록 원형 콜리메이터와 독립턱 부분페쇄를 적절히 조합하였다. 물 펜톰과 마이크로 전리함을 이용하여 출력인자와 조직최대선량비를 측정하여 이론적 계산치와 비교하였다. 필름선량측정계를 이용하여 5 cm 깊이에서의 심부선량분포를 측정하여 계산치와 비교하였다. 이와 같은 측정자료를 자가 개발한 치료계획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뇌전이 환자의 정위 방사선치료 선량계산과 도시에 적용하여 원형 콜리메이터만을 이용하였을 경우와 독립턱 부분폐쇄를 추가하였을 경우의 병변과 정상 뇌의 선량체적표를 각각 비교하였다. 결과 : 5.0 cm 직경의 원형 콜리메이터를 사용하고 한 쪽 독립턱을 중심축으로부터 30 mm, 15.5 mm, 8.6 mm, 0 mm 까지 열었을 때 측정한 출력인자와 조직최대선량비는 계산치와 각각 0.5%와 0.3%의 오차범위로 잘 부합하였다. 필름선량계로 얻은 5 cm 깊이의 심부선량분포도 역시 계산치와 잘 부합하였다. 자가 개발한 치료계획 프로그램으로 병변과 정상 뇌의 선량체적표를의 상호 비교를 통하여 독립턱 부분폐쇄를 적용한 경우에 있어서 보다 개선된 선량분포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 정위방사선치료에 있어서 독립턱의 부분폐쇄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선량분포계획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적용하여 비교적 크기가 크고 모양이 불규칙한 병변에 대하여도 정위방사선치료를 확대 적용할 수 있겠다.

  • PDF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이 뇌졸중 재가 장애인의 일상생활과 작업수행 기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Community Rehabilitation for Improving Occupational Performance Skills and Activity Daily Living of Stroke Home Disabled People: A Single Subject Design)

  • 문광태;박혜연;김종배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2호
    • /
    • pp.99-117
    • /
    • 2020
  • 목적 :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뇌졸중 장애인을 대상으로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이 뇌졸중 장애인의 작업수행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작업 수행의 질과 만족도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단일대상연구(Single subject research)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고, 뇌졸중 진단을 받은 심한 장애인 1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과정은 2019년 5월 21일부터 2019년 9월 7일까지 17주간 총 25회기(기초선 A 5회기, 중재 기간 B 14회기, 기초선 기간 A' 5회기, 추적 기간 1회기)로 진행하였다. 중재는 연구자가 대상자의 집으로 방문하여 진행되었다. 작업치료중재과정모델에 따라 중재 모델 선정 및 적용하였으며, 중재에는 과제 제공 및 피드백, 관련 정보 교육, 가정환경 수정, 지역자원 연계가 포함되었다.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한 이후 일상생활에서 작업수행기술의 빈도 변화, 작업수행 만족도,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는 선형그래프와 막대그래프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손 닿는 곳의 상의 입기, 침대에서 양말과 실내화 신기, 의자에 앉아 신발 신기 기술과 일상생활활동이 향상되었다. 작업수행기술 평가 결과 대상자의 작업수행 기술의 질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작업수행 만족도 또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의 작업수행기술을 향상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활동과 삶의 질, 작업수행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뇌졸중 대상자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장애 유형별로 작업기반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 보편화 되기를 기대해 본다.

비만 아동에 대한 설문지의 분석과 재구성 (Revision of a Questionnaire to Assess Health Behaviors in Obese Children)

  • 박소은;염혜원;서정완;이혜진;박혜숙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7권2호
    • /
    • pp.215-227
    • /
    • 2004
  • 목적: 소아 비만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소아 비만의 치료는 행동 수정을 하는 것이 중심이 되므로 생활 습관과 식습관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저자들은 비만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해오던 설문지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대 목동병원 비만클리닉에 방문한 94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기존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소아용과 부모용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문항별 무응답률, 부모용과 소아용 설문지의 공통 항목에 대한 일치율(%)을 살펴보았다. 문항 분석을 통하여 추가 및 삭제할 부분을 검토하였다. 결과: 문항별 응답율은 매우 높았다. 부모용과 소아용 설문지의 공통 항목에 대하여 62.8~91.5%까지의 비교적 중등도 이상의 일치율을 보였다. 학교급식의 음식 선호도는 평상시 음식습관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취사선택 할 수 없는 항목으로 판단하여 삭제하였다. 좌식생활 시간을 파악하기 위하여 TV 시청 시간외 컴퓨터나 비디오 게임 시간 항목, 간식의 종류로 인스턴트나 패스트푸드 외에 섬취한 음료의 종류와 양을 기록하는 항목, 어머니의 직장 항목을 추가하였다. 또한 부모와 아동의 답변이 일치하므로 일반적인 생활 습관은 부모가, 집 밖에서의 음식과 운동에 관한 항목은 비만 아동이 기록하도록 설문지를 재구성하였다. 결론: 비만 아동과 부모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일치도가 높으므로 비슷한 항목을 중복되지 않게 재구성하였다. 비만아동의 습관파악을 위하여 생활습관은 부모가, 집밖에서의 음식섭취와 운동 습관은 아동이 직접 기록하도록 비만 설문지를 재구성하였다.

  • PDF

신생(新生)쥐의 생후(生後) 2주간(週間)에 있어서 Phenylketonuria 적(的) 조건(條件)의 실험적(實驗的) 유도(誘導) (Induction of an Experimental PKU-Like Condition in Infant Rats During the First Two Weeks After Birth)

  • 김행자;론제네커죤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4권2호
    • /
    • pp.59-70
    • /
    • 1981
  • Phenylketonuria (PKU)의 여러가지 특성(特性)을 연구(硏究)하기 위(爲)하며 신생(新生)쥐에 실험적(實驗的)으로 PKU를 유도(誘導)시키는 방법(方法)을 실험(實驗)하였다. 신생(新生)쥐에 생후(生後) 2일부터 5일까지는 체중(體重) kg당 400mg의 Phenylalanine을, 6일부터 14일까지는 500mg의 Phenylalanine을 오전(午前) 6시(時)부터 매(每) 6시간(時間)마다 위(胃)에서 주입(注入)시켰으며 생후(生後) 3일부터 14일까지는 체중(體重) kg당 0.00625~0.0125mg의 amethopterin을, 5일부터 14일까지는 체중(體重) kg 당 50mg의 P-chlorophenylalanine을 오전(午前) 및 오후(午後) 9시(時) 매일(每日) 2회 투여(投與)한후 Phenylalanine/tyrosine (P/T), 와 여러가지 외관적(外觀的)인 증상(症狀)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Phenylalanine, amethopterin및 P-chlorophenylalanine을 동시(同時)에 투여(投與)한 경우는 P/T-비(比)가 정상치이상(正常値以上)으로 증가(增加)됨과 동시(同時)에 비정상적(非正常的)인 자세(姿勢), 비틀거리는 걸음걸이와 같은 PKU 증상(症狀)이 나타났으나 Phenylanine이나 저해제(沮害制) 단독투여시(單獨投與時)는 PKU 증상(症狀)이 나타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