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y of development

검색결과 3,433건 처리시간 0.029초

역사 발생적 수학교육 원리에 대한 연구(2) -수학사의 교육적 이용과 수학교사 교육 (A Study on the Historic-Genetic Principle of Mathematics Education(2) -History of Mathematics in the Teaching of Mathematics and Mathematics Teachers Education)

  • 우정호;민세영;정연준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4호
    • /
    • pp.555-572
    • /
    • 2003
  • 수학사의 교육적 연구를 비판적으로 분석해 보고, 교사 및 교사교육자를 대상으로 하여 실시한 설문조사와 면담결과를 통해 수학사를 교육적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수학학습에 대한 흥미와 학습동기 유발을 넘어서 수학사를 통해 수학적 개념의 진정한 의미와 그 핵심적인 관점의 이해를 심화시킨다는 측면에서 볼 때 수학사의 교육적 이용에 대한 연구 결과와 교사의 수학사에 대한 인식에는 만족스럽지 못한 측면이 있으며, 교사 교육기관에서의 수학사 교육은 수학사의 개관에 그치고 있어 충분하지 못하며, 학교수학에 대한 역사 발생적 자료의 개발, 나아가 역사 발생적 교재구성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 PDF

과학사 활용 과학 교육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Professionals' Opinion of Science Education Using History of Science)

  • 이봉우;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15-82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육에서 과학사 활용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교육학자와 과학사학자를 대상으로 2단계 조사(1차 조사 30명, 2차 조사 84명)를 실시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사 활용 과학 교육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825과학사 활용 교육에서 과학의 본성과 관련된 의견이 많이 제시되었다. 둘째, 과학사를 학교 수업에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을 요구했다. 셋째, 실행 중심의 과학사 활용 교사 연수를 요구했다. 넷째, 일부 영역에 대해서 과학교육학자와 과학사학자간의 의견 차이가 발견되었다. 다섯째, 동양(한국) 과학사에 대한 교육 필요성에 그리 높지 않은 동의를 나타냈다. 특정 영역에 대한 동양(한국) 과학사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아내폭력의 실태와 관련변인들 - 충남 서산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 (The Current State of Wife Abuse and Related Variables in Seosan City, Chungnam Province)

  • 이종원;옥선화;남영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41-159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wife abuse in Seosan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wife abuse and the related variables. A total of 132 couples took part in this study. All couples live in Seosan city, range in age from their 20s to 50s and each couple has at least one child. Stratification sampling method was used to select the couples. They were asked to complete self-report questionnaires. Subjects completed a Korean version of the self- esteem scale, marital conflict scale, communication style scale, family history of violence scale, alcohol dringking, and wife abuse scale.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wife abuse, such as,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aired t-test, t-test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Next, to identify differences in wife abuse between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t-test was peformed. Finally,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nfluences of independent variables upon wife-abu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formed. All thes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10.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erms of the current state of wife abuse, there are three main observations. First, $23\%$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d beat their spouse or been beaten by their spouse before and after their marriage. Second, compared with physical violence($2{\~}16\%$), other types of violence such as verbal($7{\~}4\%$), emotional($41{\~}64\%$), economical($3{\~}29\%$) and sexual violence($4{\~}38\%$) were reported to occur more often in these relationships. Third, following the abuse most wives tend to tolerate the situation instead of taking an active action like reporting the abuse to police. 2) As for the husbands, subjects that drank a high level of alcohol, blaming and super-reasonable communication style, and family history of violence reported more frequent cases of wife abuse. As for the wives, subjects with high levels of self-esteem, irrelevant communication style, marital conflict, and family history of violence reported having more cases of that abuse. 3) In the case of husbands, alcohol, communication style and family history of violence explained $40\%$ of wife abuse. In the case of wives, marital conflict and family history of violence explained $77\%$ of their experiences with abuse. This study makes the contribution to aims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and family therapy relevant to prevent wife abuse and to reconsider the existing laws governing domestic violence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