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fessionals' Opinion of Science Education Using History of Science

과학사 활용 과학 교육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 Received : 2011.06.06
  • Accepted : 2011.07.25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rofessionals' opinion about science education using history of science.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and history of science (HOS), 30 professionals in the first survey and 84 professionals in the second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y focused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science education using HOS. Second, they suggested the need for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using HOS in class. Third, they proposed action-based science teacher training for using HOS. Fourth, there appeared differences of professionals' opinion in some areas. Lastly, they did not make a high agreement in the need of history of eastern science including history of Korean sci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the history of eastern sc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육에서 과학사 활용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교육학자와 과학사학자를 대상으로 2단계 조사(1차 조사 30명, 2차 조사 84명)를 실시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사 활용 과학 교육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825과학사 활용 교육에서 과학의 본성과 관련된 의견이 많이 제시되었다. 둘째, 과학사를 학교 수업에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을 요구했다. 셋째, 실행 중심의 과학사 활용 교사 연수를 요구했다. 넷째, 일부 영역에 대해서 과학교육학자와 과학사학자간의 의견 차이가 발견되었다. 다섯째, 동양(한국) 과학사에 대한 교육 필요성에 그리 높지 않은 동의를 나타냈다. 특정 영역에 대한 동양(한국) 과학사교수 학습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진, 김영희, 노태희 (2004). 과학사를 이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96- 1007.
  2.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3.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4. 문만용 (2009). 한국 근현대 과학사의 초등교육 활용 방안. 초등과학교육, 28(2), 197-212.
  5. 윤혜경 (2007). 과학 연극 활동이 과학 실험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6(3), 260-266.
  6. 이면우(2003). 한국과학사 자료를 이용한 과학교육의 가능성. 초등과학교육, 22(2), 211-222.
  7. 이봉우, 신동희 (2010). 제7차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의 과학사 관련 내용 분석. 새물리, 60(5), 488- 496.
  8. 이봉우, 신동희 (2011). 일본과 싱가포르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내용 분석: 한국 과학 교과서와의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1), 229-246.
  9. 최윤희, 최경희, 진희경 (2010). 제7차 초중등 과학 교과서의 과학사 내용에 도입된 과학의 본성 분석. 새물리, 60(3), 273-282.
  10.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4). Benchmarks for Scientific Literacy: Project 2061. New York, USA: Oxford University Press.
  11. Duschl, R. A. (1990). Restructuring science education: The importance of theories and their development. NY: Teachers College Press.
  12. Justi, R. & Gilbert, J. (1999). A cause of a historical science teaching: the use of hybrid models. Science Education, 83(2), 163-177.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03)83:2<163::AID-SCE5>3.0.CO;2-I
  13.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31-359.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4
  14. Leite, L. (2002). History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hecklist for analysing the historical content of science textbook. Science & Education, 11, 333-359. https://doi.org/10.1023/A:1016063432662
  15. Matthews, R. (1994).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NY: Routledge.
  16. Monk, M., & Osborne, J. (1997). Placing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on the curriculum: a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pedagogy. Science Education, 81(4), 405-424.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707)81:4<405::AID-SCE3>3.0.CO;2-G
  17.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8. Solomon, J. (1992). Teach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history: action research in the classroom. Science Teaching, 29(5), 409-421.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8
  19. Stocklmayer, S. & Treagust, D. (1994). A historical analysis of electric currents in textbooks: A century of influence on physics education. Science & Education, 3(2). 131-154. https://doi.org/10.1007/BF00486388
  20. Wandersee J. H. (1985). Can the history of science help science educators anticipate students' misconcep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7), 581-597.

Cited by

  1.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문항에 나타난 과학교육학 이론의 분석 vol.33, pp.4,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4.794
  2. 예비과학교사에게 필요한 과학교육학 이론에 대한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의견과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의 연관성 vol.33, pp.4,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4.826
  3. 예비 초등교사의 한국수학사 활용에 대한 인식 vol.29, pp.3, 2015, https://doi.org/10.7468/jksmee.2015.29.3.491
  4. Possibilities of Integrated HOS(History of Science) Cases as a Subj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vol.28, pp.4, 2011, https://doi.org/10.17965/kjee.2015.28.4.242
  5. 과학사 과목의 전통 천문의기 학습을 위해 필요한 학습 요소 및 관련 성취기준 위계성 분석 vol.40, pp.6,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6.649
  6. 과학자의 연구 사례에 관한 비네트 개발 및 효과 탐색 vol.40, pp.1, 2011, https://doi.org/10.15267/keses.2021.40.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