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석진, 김영희, 노태희 (2004). 과학사를 이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96- 1007.
-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 문만용 (2009). 한국 근현대 과학사의 초등교육 활용 방안. 초등과학교육, 28(2), 197-212.
- 윤혜경 (2007). 과학 연극 활동이 과학 실험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6(3), 260-266.
- 이면우(2003). 한국과학사 자료를 이용한 과학교육의 가능성. 초등과학교육, 22(2), 211-222.
- 이봉우, 신동희 (2010). 제7차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의 과학사 관련 내용 분석. 새물리, 60(5), 488- 496.
- 이봉우, 신동희 (2011). 일본과 싱가포르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사 내용 분석: 한국 과학 교과서와의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1), 229-246.
- 최윤희, 최경희, 진희경 (2010). 제7차 초중등 과학 교과서의 과학사 내용에 도입된 과학의 본성 분석. 새물리, 60(3), 273-282.
-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4). Benchmarks for Scientific Literacy: Project 2061. New York, USA: Oxford University Press.
- Duschl, R. A. (1990). Restructuring science education: The importance of theories and their development. NY: Teachers College Press.
- Justi, R. & Gilbert, J. (1999). A cause of a historical science teaching: the use of hybrid models. Science Education, 83(2), 163-177.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903)83:2<163::AID-SCE5>3.0.CO;2-I
-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31-359.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4
- Leite, L. (2002). History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hecklist for analysing the historical content of science textbook. Science & Education, 11, 333-359. https://doi.org/10.1023/A:1016063432662
- Matthews, R. (1994).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NY: Routledge.
- Monk, M., & Osborne, J. (1997). Placing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on the curriculum: a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pedagogy. Science Education, 81(4), 405-424.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707)81:4<405::AID-SCE3>3.0.CO;2-G
-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 Solomon, J. (1992). Teach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history: action research in the classroom. Science Teaching, 29(5), 409-421.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8
- Stocklmayer, S. & Treagust, D. (1994). A historical analysis of electric currents in textbooks: A century of influence on physics education. Science & Education, 3(2). 131-154. https://doi.org/10.1007/BF00486388
- Wandersee J. H. (1985). Can the history of science help science educators anticipate students' misconceptio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3(7), 581-597.
Cited by
-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 문항에 나타난 과학교육학 이론의 분석 vol.33, pp.4,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4.794
- 예비과학교사에게 필요한 과학교육학 이론에 대한 과학교육 연구자들의 의견과 중등과학교사임용시험의 연관성 vol.33, pp.4,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4.826
- 예비 초등교사의 한국수학사 활용에 대한 인식 vol.29, pp.3, 2015, https://doi.org/10.7468/jksmee.2015.29.3.491
- Possibilities of Integrated HOS(History of Science) Cases as a Subj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vol.28, pp.4, 2011, https://doi.org/10.17965/kjee.2015.28.4.242
- 과학사 과목의 전통 천문의기 학습을 위해 필요한 학습 요소 및 관련 성취기준 위계성 분석 vol.40, pp.6, 2011,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6.649
- 과학자의 연구 사례에 관한 비네트 개발 및 효과 탐색 vol.40, pp.1, 2011, https://doi.org/10.15267/keses.2021.40.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