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ical drought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9초

우리나라 과거 가뭄사상의 정량적 특성 분석 -5대강 유역의 가뭄빈도분석을 중심으로- (Quantitative Characterization of Historical Drought Events in Korea - Focusing on Drought Frequency Analysis in the Five Major Basins -)

  • 이주헌;장호원;김종석;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12호
    • /
    • pp.1011-102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표준강수지수(SPI)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과거 가뭄사상을 규모적 관점에서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5대강 권역에 대한 가뭄사상의 지속기간, 규모, 평균심도를 연속이론을 바탕으로 산정하였다. 또한 과거 가뭄사상의 재현기간을 추정하고 가뭄 평균심도-지속기간-빈도 곡선을 작성하기 위하여 가뭄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에 발생했던 심한 가뭄의 재현기간은 대부분 30~50년으로 분석되었으며, 가뭄규모로 평가할 때 가장 가뭄이 심했던 해는 1988년과 1994년으로 나타났다. 특히, 1994년과 1995년에서는 2년 연속 가뭄이 발생하여 가장 극심했던 장기가뭄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2014년의 가뭄은 한강 권역을 중심으로 발생하였으며 가뭄의 규모와 평균심도 면에서 볼 때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극심했던 가뭄으로 평가되었다.

우리 나라 주요 지점에 대한 가뭄지수의 산정과 비교 (Calcualtion and Comparison of Drought Indices on Major Weatehr Stations in Korea)

  • 김상민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43-52
    • /
    • 1999
  • In an effort to identify quantitatively historical drought conditions, and to evaluate their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 two commonly used drougth indices,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by Mckee and the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were calculated from 54 meteorological stations, SPI was evaluated for different time scales, 3 to 48 months. As the compjtational spans for SPI increase from 3 to 48 months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drought decrease, but the duration of drought increase. When monthly and ten-day PDSIs were compared, the frequency and duratin of drought were almost equal and the intensity of drought differ slightly. The three month SPI has the advatage to detect the drought resulting from short-term shortage of rainfall, while PDSI had the advantage to detect the state of drought resulting from cumulated shortage of rainfall. The period-frequency spectrum analyses at Kangnung statino showed that the maximum value of relative frequency was 24.4% when the period was 5.2months, and the 6month SPI has most similar trends to PDSI.

  • PDF

단일저수지 농업가뭄평가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A Single Reservoir Agricultural Drought Evaluation Model for Paddy)

  • 정하우;최진용;박기욱;배승종;장민원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6권3호
    • /
    • pp.17-30
    • /
    • 2004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agricultural drought assessment methodology for irrigated paddy field districts from a single reservoir. Agricultural drought was defined as the reservoir storage shortage state that cannot satisfy water requirement from the paddy fields. The suggested model, SRADEMP (a Single Reservoir Agricultural Drought Evaluation Model for Paddy), was composed of 4 submodels: PWBM (Paddy Water Balance Model), RWBM (Reservoir Water Balance Model), FA (Frequency and probability Analysis model), and DCI (Drought Classification and Indexing model). Two indices, PDF (Paddy Drought Frequency) and PDI (Paddy Drought Index) were also introduced to classify agricultural drought severity Both values were divided into 4 steps, i.e. normal, moderate drought, severe drought, and extreme drought. Each step of PDI was ranged from +4.2 to -1.39, from -1.39 to -3.33, from -3.33 to -4.0 and less than -4.0, respectively. SRADEMP was applied to Jangheung reservoir irrigation district, and the results showed good relationships between simulated results and the observed data including historical drought records showing that SRADEMP explains better the drought conditions in irrigated paddy districts than PDSI.

Study on Multiscale Analysis on Drought Characteristics

  • Uranchimeg, Sumiya;Kwon, Hyun Ha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611-611
    • /
    • 2015
  • One of the hazard of nature is a drought. Its impact varies from region to region and it is difficult for people to understand and define due to differences in hydrometeorological and social economic aspects across much of the country. In the most general sense, drought originates from a deficiency of precipitation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usually month, season or more, resulting in a water shortage for some activity, group, or environmental sector.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is well known and has been used to study aridity changes in modern and past climates. The PDSI index is estimated over US using USHCN historical data.(e.g. precipitation, temperature, latitude and soil moisture). In this study, low frequency drought variability associated with climate variability such as El-Nino and ENSO is mainly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the multi-scale analysis, wavelet transform analysis is applied to the PDSI index in order to extract the low frequency band corresponding to 2-8 years. Finally, low frequency patterns associated with drought by comparing global wavelet power, with significance test are explored.

  • PDF

가뭄빈도해석을 통한 가뭄심도-지속시간-생기빈도 곡선의 유도 (Derivation of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Curves Using Drought Frequency Analysis)

  • 이주헌;김창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11호
    • /
    • pp.889-90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발생했던 과거 가뭄사상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가뭄심도-지속기간-생기빈도(Severity-Duration-Frequency, SDF) 곡선을 유도하기 위해서 가뭄지수를 이용한 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지점으로는 4대강 유역을 중심으로 하는 기상청 산하의 서울, 대전, 대구, 광주, 부산관측소를 선정하였으며 강수자료는 1974~2010년(37년)의 강수 자료를 이용하였다. 가뭄빈도해석에는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PI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를 선정하였으며 확률분포형에 대한 적합도 검정에서는 일반극치분포(GEV, Generalized Extreme Value)가 최적의 확률분포형으로 선정되었다. 가뭄지수의 빈도해석 통하여 유도된 주요 관측소별 SDF (Severity-Duration-Frequency) 곡선을 이용하여 과거의 주요 가뭄사상에 대한 재현기간을 제시하였으며 1994~1995년 가뭄의 경우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하는 극심한 가뭄으로서 광주관측소에서는 50~100년, 부산관측소에서는 100~200년의 높은 재현기간을 나타내었다. 그밖에 1988~1989년 가뭄의 경우 서울관측소에서는 300년의 재현기간을 나타내었다.

기계학습 기반의 산불위험 중기예보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Mid-range Forecast Models of Forest Fire Risk Using Machine Learning)

  • 박수민;손보경;임정호;강유진;권춘근;김성용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5_2호
    • /
    • pp.781-791
    • /
    • 2022
  • 산불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산불위험 예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기계학습 기반의 산불위험 중기예보(1일 후부터 7일 후까지) 모델을 개발하였다. Glob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GDAPS)의 기상예보 자료와 기 개발된 산불위험지수(Fire Risk Index, FRI)의 과거 및 현재 정보, 그리고 기타 환경요소(i.e., 고도, 산불다발지수, 가뭄지수)의 현재 정보를 반영하여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학습을 통해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효율적인 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과거 산불위험지수와 가뭄지수의 유무를 고려하여 세가지 경우(Scheme 1: 과거 산불위험지수 및 가뭄지수, Scheme 2: 과거 산불위험지수, Scheme 3: 과거 산불위험지수 변화 추세 및 가뭄지수)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산불위험예보모델은 예보기간에 상관없이 높은 정확도(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0.8, relative root mean square error <10%)를 나타냈으며, 실제 산불 발생 건에 대해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과거 산불위험지수의 추세보다는 산불위험지수 값 자체를 입력변수로 사용하는 것이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가뭄지수 사용과 관계없이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북한지역에 대한 기상학적 가뭄지수의 적용 (Application of Meteorological Drought Indices for North Korea)

  • 남원호;유승환;장민원;최진용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0권3호
    • /
    • pp.3-15
    • /
    • 2008
  • North Korea is one of the vulnerable countries facing the threat of a drought, so that it is unavoidable to experience fatal damage when drought is occurred,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rought response capability of water resources systems. However, it is still difficult to find research efforts for drought characteristics and drought management in North Korea. This study is to quantify drought duration and magnitude and to analyze drought characteristics in North Korea. In order to quantitatively identify historical drought conditions and to evaluate their variability, drought indices are commonly used. In this study, drought indices including dry-day index, deciles of normal precipitation, Phillips drought index,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are calculated and compared monthly using the weather data for the twenty one meteorological stations in North Korea. The indices compared with the drought damage records that have reported from 1990 to present to understand how the indices can explain the drought. A comparative study was also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ve severity of the significant droughts occurred during 2000 and 2001 which were reported as the worst drought in North Korea. Drought indices calculated from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ose can be the effective tools in quantitatively evaluating drought severity and measures of drought. Thus it is recommended the distributed trend of drought be considered when the plan or measures for drought in North Korea are established.

우리나라 과거 가뭄사상의 정량적 특성 분석 -강수량의 이상치 분석을 중심으로- (Quantitative characterization of historical drought events in Korea -focusing on outlier analysis of precipitation-)

  • 장호원;조형원;김태웅;이주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2호
    • /
    • pp.145-15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했던 과거 가뭄사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59개 기상관측소의 월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연강수량 및 계절별(봄철) 강수량에 대한 이상치($-1{\sigma}$)를 분석하였다. 연강수량을 통해 이상치 발생 빈도를 구하여 그 중 가장 유역별로 과우해($-1{\sigma}$) 발생빈도가 높은 이천, 거창, 정읍, 순천, 장흥 관측소를 선정하여 이상치를 분석한 결과 1988, 1994년이 동일하게 심한 과우해로 나타났다. 전체 이상치 기간 분석결과와 봄철 이상치 분석결과를 통해 2001년 가뭄은 심한 과우해로 분류되지는 않았지만 주로 섬진강 및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심한 봄 가뭄이 발생하였으며, 농업용수 부족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발생시킨 대표적인 농업적 가뭄연도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1981-1982년 및 1994-1995년과 같이 2년 이상 지속된 전국적 장기가뭄은 국가적으로 큰 가뭄피해를 야기하였다.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을 이용한 충남지역 2015년 가뭄 분석 (Spatial and Temporal Analysis of Drought Using the Storage Data of Agricultural Reservoirs in Chungnam Province in 2015)

  • 김소래;장민원;김수진;배승종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9권2호
    • /
    • pp.29-36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drought by tracking the daily reservoir storage in Chungnam province. All daily records of the percent of reservoir storage from 2000 to 2015 were collected for 130 irrigation reservoirs from the RIMS (Rural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The temporal change of province-wide average reservoir storage and the statistics showed that the annual average and minimum percent of reservoir storage in 2015 were extremely low like as those in the historical drought years of 2001 and 2012. The minimum reservoir storage on record was a 41 % at the end of September and remained far less than its historical average even until the end of the year. Furthermore, the annual average reservoir storage (68.3 %) recorded the lowest on record since 2000. In addition, about half of 130 major irrigation reservoirs in Chungnam fell into the risk of water shortage below 30 % full, and, in terms of annual minimum reservoir storage, the 79 reservoirs yielded lower storage in 2015 comparing with the measured in another drought year, 2001. On the other hand, irrigation reservoirs of comparatively worse storage condition revealed to be mostly located on the inside, such as Cheongyang-gun and Hongsung-gun. Conclusively, the low reservoir storage, still far below average even on December 2015, induced a serious concern about that more extreme drought would happen in the next spring.

가뭄 경보기준과 모니터링 시스템 (Drought Triggers and Monitoring System)

  • 이동률;이대희;강신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375-384
    • /
    • 2003
  • 우리나라는 거의 5년마다 심한 가뭄이 발생하고 있고 과거에 발생한 많은 가뭄의 경험으로 제도적 측면에서 중앙정부, 지방정부 및 물 관리기관의 제휴에 의하여 원활한 가뭄대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가뭄 대책은 가뭄이 심하게 진행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원인은 체계적인 가뭄 모니터링과 가뭄단계 기준의 미비에서 찾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지수의 시공간적인 해석과 과거 정부의 가뭄대책을 통하여 경보를 위한 가뭄단계 기준을 설정하였다. 가뭄단계는 준비, 주의, 경보 및 비상의 4단계로 분류하였고 각 단계에 해당되는 가뭄지수의 범위 및 가뭄면적을 제시하였다. 또한 Web 기반으로 개발된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