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lbert scheme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7초

CONICS IN QUINTIC DEL PEZZO VARIETIES

  • Kiryong Chung;Sanghyeon Lee
    • 대한수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357-375
    • /
    • 2024
  • The smooth quintic del Pezzo variety Y is well-known to be obtained as a linear sections of the Grassmannian variety Gr(2, 5) under the Plücker embedding into ℙ9. Through a local computation, we show the Hilbert scheme of conics in Y for dimY ≥ 3 can be obtained from a certain Grassmannian bundle by a single blowing-up/down transformation.

하모닉 직교 방식의 초음파 고조파 영상화 기법 (Ultrasound Harmonic Imaging Method based on Harmonic Quadrature Demodulation)

  • 김상민;송재희;송태경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9-88
    • /
    • 2009
  • A harmonic quadrature demodulation method to extract the second harmonic component from focused ultrasound signals after a single transmit-receive event is proposed. In the proposed method, the focused ultrasound signal is converted into baseband inphase and quadrature components by multiplying with sine and cosine signals both having twice the center frequency of the transmitted signal and filtering the two modulated signals. The quadrature component is then passed through a Hilbert filter to be added to the inphase component, which leaves only the envelope of the second harmonic component. A novel phase estimation technique is employed in the proposed method to avoid the phase mismatch between the focused signal and the two modulating signals.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through both theoretical analysis and computer simulations. It is shown that compared to the pulse inversion scheme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almost the same results for stationary targets and significantly improved harmonic to fundamental ratio for moving targets.

데이터베이스 아웃소싱 환경에서 순서 보존 암호화 기법을 이용한 질의 결과 무결성 검증 기법 (A Query Result Integrity Assurance Scheme Using an Order-preserving Encryption Scheme in the Database Outsourcing Environment)

  • 장미영;장재우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1호
    • /
    • pp.97-106
    • /
    • 2015
  • 최근 데이터베이스 아웃소싱(Outsourcing) 환경에서 데이터 보호를 위한 암호화 기법 및 질의 결과 검증 기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아웃소싱 데이터 암호화 기법들은 원본 데이터베이스 도메인 정보를 알고 있는 공격자에 의한 순서 매칭 공격 및 카운팅 공격에 취약한 문제점을 지닌다. 기존 질의 결과 무결성 검증 기법은 질의 결과 검증 데이터 전송 오버헤드 문제를 지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보호를 위한 그룹 순서 보존 암호화 인덱스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질의 결과 무결성 검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순서 보존 암호화 인덱스를 통해 데이터를 암호화 하고, 복호화 없이 질의를 수행한다. 또한, 힐버트 커브를 통해 그룹 정보를 은닉함으로써, 질의 수행 과정에서 데이터 그룹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주기함수 기반 그룹 분할 및 그룹 기반 인증을 통해 질의 결과 무결성 검증을 위한 데이터 크기를 감소시킨다. 성능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 버킷 기반 인증 기법에 비해 질의 처리 시간 측면에서 평균 1.6배, 검증 데이터 오버헤드 측면에서 최대 20배의 성능을 개선함을 보인다.

Multi-variat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MEMD) for ambient modal identification of RC road bridge

  • Mahato, Swarup;Hazra, Budhaditya;Chakraborty, Arunasis
    • Structural Monitoring and Maintenance
    • /
    • 제7권4호
    • /
    • pp.283-294
    • /
    • 2020
  • In this paper, an adaptive MEMD based modal identification technique for linear time-invariant systems is proposed employing multiple vibration measurements. Traditional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EMD) suffers from mode-mixing during sifting operations to identify intrinsic mode functions (IMF). MEMD performs better in this context as it considers multi-channel data and projects them into a n-dimensional hypercube to evaluate the IMFs. Using this technique, modal parameters of the structural system are identified. It is observed that MEMD has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its traditional counterpart. However, it still suffers from mild mode-mixing in higher modes where the energy contents are low. To avoid this problem, an adaptive filtering scheme is proposed to decompose the interfering modes. The Proposed modified scheme is then applied to vibrations of a reinforced concrete road bridg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show that the proposed MEMD based approach coupled with the filtering technique can effectively identify the parameters of the dominant modes present in the structural response with a significant level of accuracy.

코다파를 이용한 남한지역의 부지증폭 계수 (Site Amplification Factors in Southern Korea Determined from Coda Waves)

  • 김동일;박창업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2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1-58
    • /
    • 2002
  • The relative site amplification factors in southern Korea were determined from coda waves using coda normalization method. The seismograms of 15 events at 79 stations were used in this study. Seismogram envelopes were obtained by the Hilbert transform of bandpass-filtered velocity seismograms with frequency bands at 1-2Hz, 2-4Hz, 4-8Hz, 8-l6Hz and 16-32Hz. The envelopes were stabilized by application of moving-average scheme with time window of 1 second. The relative amplitudes of seismogram envelope were computed by dividing the amplitude of seismogram envelope at one site by the amplitude of seismogram envelope at reference site. The relative site amplification factors were obtained by taking averages of the relative amplitude. Values of relative site amplification factors in southern Korea are generally low in western area and high in eastern area.

  • PDF

STRONG CONVERGENCE THEOREMS FOR ASYMPTOTICALLY QUASI-NONEXPANSIVE MAPPINGS AND INVERSE-STRONGLY MONOTONE MAPPINGS

  • He, Xin-Feng;Xu, Yong-Chun;He, Zhen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1-9
    • /
    • 2011
  • In this paper, we consider an iterative scheme for finding a common element of the set of fixed points of a asymptotically quasi nonexpansive mapping and the set of solutions of the variational inequality for an inverse strongly monotone mapping in a Hilbert space. Then we show that the sequence converges strongly to a common element of two sets. Using this result, we consider the problem of finding a common fixed point of a asymptotically quasi-nonexpansive mapping and strictly pseudocontractive mapping and the problem of finding a common element of the set of fixed points of a asymptotically quasi-nonexpansive mapping and the set of zeros of an inverse-strongly monotone mapping.

A NEW MAPPING FOR FINDING A COMMON SOLUTION OF SPLIT GENERALIZED EQUILIBRIUM PROBLEM, VARIATIONAL INEQUALITY PROBLEM AND FIXED POINT PROBLEM

  • Farid, Mohammad;Kazmi, Kaleem Raza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27권2호
    • /
    • pp.297-327
    • /
    • 2019
  •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d study a general iterative algorithm to approximate a common solution of split generalized equilibrium problem, variational inequality problem and fixed point problem for a finite family of nonexpansive mappings in real Hilbert spaces. Further, we prove a strong convergence theorem for the sequences generated by the proposed iterative scheme. Finally, we derive some consequences from our main result.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paper extended and unify many of the previously known results in this area.

도심환경에서 위치의존 질의를 위한 방송과 캐싱 기법 (Broadcasting and Caching Schemes for Location-dependent Queries in Urban Areas)

  • 정일동;유영호;이종환;김경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2권1호
    • /
    • pp.56-70
    • /
    • 2005
  • 무선 통신 기술과 휴대형 정보 장치의 발달로 등장한 이동 컴퓨팅 환경(Mobile Computing Environment)은 사용자가 랩탑이나 PDA와 같은 휴대 가능한 장비를 이용해서 사용자의 물리적인 위치나 이동에 상관없이 무선 통신을 이용해서 서버 혹은 다른 컴퓨터의 자원과 함께 작업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 보편적인 형태가 되고 있는 위치 의존 질의(Location Dependent Query)는 위치에 의존하는 데이타를 처리하는 질의이다 위치 의존 질의는 질의의 결과를 만들어 내는 중요한 척도가 위치이다. 위치 의존 질의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이동 호스트의 캐싱 정책과 셀을 담당하는 지구국의 브로드캐스팅 정책이 중요하다. 적절한 캐싱 정책과 브로드캐스팅 정책을 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이동과 데이타의 공간 속성을 고려해야 한다. 도심에서는 사용자가 도로를 따라서 이동하고 데이타가 도로에 인접해서 위치한다 이런 특징을 가지는 도심에서 이동 호스트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곳은 직선 거리로 가장 가까운 곳이 아니라 이동 거리가 가장 짧은 곳이다. 따라서, 이전에 행해졌던 연구에서 사용한 직선거리는 도심에 적합하지 않다. 직선 거리(Euclidean Distance)를 사용하면 이동 호스트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기 위해서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해서 비슷하게 예상할 수 있지만, 실제 이동거리는 다양한 값이 나을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도심의 특성을 반영한 브로드캐스팅/캐싱 정책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이동 호스트가 도심의 위치 정보를 효과적으로 캐싱할 수 있도록 인접한 데이터를 클러스터링해서 브로드캐스팅하여 이동 호스트의 구성 시간(setup time)을 최소화하였다. 그리고, 맨하탄거리(Manhattan Distance)를 사용해서 위치 의존 질의에서 사용하는 데이타를 캐싱하고 질의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맨하탄 거리를 이용해서 캐싱하면 도로에 인접해서 위치한 데이타를 효과적으로 캐싱할 수 있다. 또한, 거리 계산 방법으로 맨하탄 거리를 사용하면 도심에서 실제 이동 거리와 비슷한 값을 알 수 있고, 직선 거리 계산식에 비해서 계산식도 간단하기 때문에 시스템 계산량도 줄일 수 있다.

수정된 ATSC 전송 시스템을 위한 반송파 주파수 동기부 설계에 관한 연구 (A Carrier Frequency Synchronization Scheme for modified ATSC Systems)

  • 전영곤;김준태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96-107
    • /
    • 2011
  • 최근 들어 3D HDTV (3-Dimensional High Definition Television)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3D HDTV 방송 서비스를 위하여 기존의 HDTV 전송 방식인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8-VSB (8-Vestigial Side Band) 시스템을 수정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프레임헤더에 PN (Pseudo-Noise)심볼을 삽입하여 반송파 주파수 오차와 반송파 위상 오차 복구를 이루도록 하는 프레임 구조와 VSB 변조방식을 채택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 시스템을 수정된 ATSC 전송시스템이라 부르려 한다. 수정된 ATSC 전송시스템의 수신기는 방송 신호의 원활한 수신을 위하여 반송파 주파수 오차(심볼속도 대비 최대 1%)를 정확하게 추정하고 복구하여야 한다. 기존 ATSC 시스템이 파일럿 신호를 삽입하여 반송파 주파수 오차를 복구 하였다면, 수정된 ATSC 시스템은 별도의 파일럿 신호 첨가 없이 PN심볼을 이용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수정된 ATSC 전송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반송파 주파수 복구 방식을 소개한다. 제안된 방식은 Fitz 알고리즘을 이용한 거친 반송파 주파수 오차 복구부과 간단한 PN심볼 상관 알고리즘을 이용한 미세 반송파 주파수 오차 복구부를 가진다. 그리고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변조된 신호는 심볼 정보가 동위상 채널과 직각위상 채널에 존재하는 반면 VSB 변조된 신호는 심볼 정보가 동위상 채널에만 존재하고 직각위상 채널은 단지 동위상 채널의 힐버트 변환된 값이다. 그러므로 VSB 변조된 신호는 QAM 변조된 신호와 같은 고정된 위상을 가지지 못하고, 반송파 주파수 옵셋에 더욱 민감하게 된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상적인 송수신 시스템에서 수신된 PN 심볼을 이용한 수신된 신호의 위상보정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An Efficient Adaptive Bitmap-based Selective Tuning Scheme for Spatial Queries in Broadcast Environments

  • Song, Doo-Hee;Park, Kwang-J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5권10호
    • /
    • pp.1862-1878
    • /
    • 2011
  • With the advan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advent of smartphones, research on location-based services (LBSs) is being actively carried out. In particular, several spatial index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provide efficient LBSs. However, finding an optimal indexing method that balances query performance and index size remains a challenge in the case of wireless environments that have limited channel bandwidths and device resources (computational power, memory, and battery power). Thus, mechanisms that make existing spatial indexing techniques more efficient and highly applicable in resource-limited environments should be studied. Bitmap-based Spatial Indexing (BSI) has been designed to support LBSs, especially in wireless broadcast environments. However, the access latency in BSI is extremely large because of the large size of the bitmap, and this may lead to increases in the search time.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Selective Bitmap-based Spatial Indexing (SBSI) technique. Then, we propose an Adaptive Bitmap-based Spatial Indexing (ABSI) to improve the tuning time in the proposed SBSI scheme. The ABSI is applied to the distribution of geographical objects in a grid by using the Hilbert curve (HC). With the information in the ABSI, grid cells that have no objects placed, (i.e., 0-bit information in the spatial bitmap index) are not tuned during a search. This leads to an improvement in the tuning time on the client side. We have carried out a performance evaluation and demonstrated that our SBSI and ABSI techniques outperform the existing bitmap-based DSI (B DSI) techn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