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lbert curve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9초

공간 점유 곡선을 이용한 의학 영상의 무손실 압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ssless Medical Image Compression using Space Filling Curve)

  • 지영준;김보연;박광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4-56
    • /
    • 1991
  • Many techniques have been used for medial image compression. Its first requirement is "Errorless" or, "Completely Reversible". Under this condition, we have increased the performance of compression using Space Filling Curve. This method converts source image in direction of Hilbert's curve path in order to ate average length longer thar in traditoinal horizental normal path. After that, we have applied RLC and reduced statistical redundancy by Huffman Coding. By this method, we have obtained more efficient results of RLC.

  • PDF

A VANISHING THEOREM FOR REDUCIBLE SPACE CURVES AND THE CONSTRUCTION OF SMOOTH SPACE CURVES IN THE RANGE C

  • Ballico, Edoardo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105-111
    • /
    • 2019
  • Let $Y{\subset}{\mathbb{P}}^3$ be a degree d reduced curve with only planar singularities. We prove that $h^i({\mathcal{I}}_Y(t))=0$, i = 1, 2, for all $t{\geq}d-2$. We use this result and linkage to construct some triples (d, g, s), $d>s^2$, with very large g for which there is a smooth and connected curve of degree d and genus g, $h^0({\mathcal{I}}_C(s))=1$ and describe the Hartshorne-Rao module of C.

CURVES WITH MAXIMAL RANK, BUT NOT ACM, WITH VERY HIGH GENERA IN PROJECTIVE SPACES

  • Ballico, Edoardo
    • 대한수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1355-1370
    • /
    • 2019
  • A curve $X{\subset}\mathbb{P}^r$ has maximal rank if for each $t{\in}\mathbb{N}$ the restriction map $H^0(\mathcal{O}_{\mathbb{P}r}(t)){\rightarrow}H^0(\mathcal{O}_X(t))$ is either injective or surjective. We show that for all integers $d{\geq}r+1$ there are maximal rank, but not arithmetically Cohen-Macaulay, smooth curves $X{\subset}\mathbb{P}^r$ with degree d and genus roughly $d^2/2r$, contrary to the case r = 3, where it was proved that their genus growths at most like $d^{3/2}$ (A. Dolcetti). Nevertheless there is a sector of large genera g, roughly between $d^2/(2r+2)$ and $d^2/2r$, where we prove the existence of smooth curves (even aCM ones) with degree d and genus g, but the only integral and non-degenerate maximal rank curves with degree d and arithmetic genus g are the aCM ones. For some (d, g, r) with high g we prove the existence of reducible non-degenerate maximal rank and non aCM curves $X{\subset}\mathbb{P}^r$ with degree d and arithmetic genus g, while (d, g, r) is not realized by non-degenerate maximal rank and non aCM integral curves.

의료 단층 영상의 분석을 위한 쿼리 시스템 (Query System for Analysis of Medical Tomography Images)

  • Kim, Tae-Woo;Cho, Tae-Kyung;Park, Byoung-Soo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38-43
    • /
    • 2004
  •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medical image query system, including a relational database and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which can visualize image data and can achieve spatial, attribute, and mixed queries. Image data used in querying can be visualized in slice, MPR(multi-planner reformat), volume rendering, and overlapping on the query system. To reduce spatial cost and processing time in the system. brain images are spatially clustered, by an adaptive Hilbert curve filling, encoded, and stored to its database without loss for spatial query. Because the query is often applied to small image regions of interest(ROI's), the technique provides higher compression rate and less processing time in the cases.

  • PDF

육각형 대칭 패턴 프랙탈 모노폴 안테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Fractal Monopole Antenna with Hexagonal Symmetrical Pattern)

  • 장대순;강상원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21-126
    • /
    • 2022
  • 본 연구는 변형된 힐버트 커브 프랙탈 모노폴 구조를 단순화하여 육각형 대칭 패턴을 가지면서 모노폴 형태로 구현한 안테나에 대한 것이다. 힐버트 커브 프랙탈 모노폴 구조를 단순화하여 소형화했을 뿐 아니라 성능 개선을 모색하기 위해 복사기 구조를 육각형 대칭 패턴으로 구현했다. 기판 유전체의 비유전율은 4.7이며, 미앤더 형태로 대칭 구조를 갖는 총 선로길이는 59 mm이다. 안테나의 크기는 10 mm × 10 mm × 0.8 mm이고, 선폭은 0.4 mm이다. 안테나 측정 지그의 크기는 64 mm × 21 mm × 1 mm이다. 공진주파수는 1.57 GHz 이고, 주파수 범위는 1.51 ~ 1.615 GHz이다. 주파수대역폭은 105 MHz이다. 안테나 이득은 YZ-plane의 측정이득은 2.32 dBi 이고, XZ-plane의 경우 -1.03 dBi를 얻었다. 결과적으로 육각형 대칭 패턴 프랙탈 구조를 이용하여 안테나 소형화를 이루었으며, 복사기 구조 변화로 안테나 성능 개선이 용이함을 확인했다.

Air puff에 의한 각막 변형의 주파수 영역 분석 (A Frequency Domain Analysis of Corneal Deformation by Air Puff)

  • 황호식;이병하;이창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40-247
    • /
    • 2014
  • 안압의 측정은 각막에 air puff 후 각막의 변형 즉, 각막의 두께나 변위 등 생역학적 성질을 관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녹내장이나 라식의 진단을 위하여 사용되는 안압계의 air puff에 의한 각막의 변형을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였다. Air puff 후 각막의 중심부 주변의 변위에 대한 진동 주파수를 측정함으로써 환자와 정상인을 구별한다. 동영상으로부터 이진 영상을 구하고, 상하 변위 데이터와 곡선 정합의 차를 구하여 시간에 따른 각막 상하 진동 프로파일 데이터를 추출하였다. Fourier 변환으로 비정상인의 진동 주파수는 479.2Hz를 얻었고 정상인의 경우 단단함으로 인하여 702.8Hz의 고주파 성분을 볼 수 있었다. 또한 Hilbert-Huang 변환의 EMD 방법을 이용, 고유 모드 함수로 분해하여 국소적, 비선형, 비정상성을 가지는 데이터를 얻고 주파수와 전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정 고유 모드 함수에 대한 환자와 정상인의 전력비가 6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데이타 기반 센서 네트워크에서 다차원 영역 질의를 위한 동적 데이타 분산 (Dynamic Data Distribution for Multi-dimensional Range Queries in Data-Centric Sensor Networks)

  • 임용훈;정연돈;김명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1호
    • /
    • pp.32-41
    • /
    • 2006
  • 센서 네트워크는 온도, 습도 등 서로 연관된 여러 종류의 스칼라 데이타를 감지하기 때문에, 다차원 영역 질의가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리고 데이타 기반 센서 네트워크에서는 데이타가 센서에 직접 저장되기 때문에, 다차원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타 주소 지정이 매우 중요하다. 이전의 다차원 영역 질의 처리 기법들은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집중하여, 네트워크의 동작 시간(수명)을 고려하지 않았다. 본 논문은 Hilbert 곡선을 이용하여 센서 노드들을 선형화하고, 각 센서에게 데이타 공간을 균일하게 배분시키는, 동적인 데이타 분산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동작 시간을 연장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라우드스피커 주파수 종속 매개변수 유도 및 규명법 비교 (Derivation of Parameters for Loudspeaker with Frequency Dependent Terms and Discussion for Estimation Methods)

  • 박석태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276-28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주파수 영역에서 개발된 4종류의 라우드스피커 TS 매개변수 규명법들에 대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보이스 코일 인덕터에 대한 상세한 모델링을 위해 주파수 종속 모델링 기법을 소개하였고 관련된 매개변수들을 유도하였다. 라우드스피커의 동적 질량을 알고 있을 때에 TS 매개변수를 규명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이를 실제 라우드스피커에 적용할 때에 고려할 사항들도 기술하였다. 1채널 장비로 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할 때에는 크기만을 측정하게 되므로 위상값 추정을 위해 최소 위상 변환법을 사용하는 방법도 기술하였다.

프랙탈 구조를 이용한 RFID 안테나 (RFID Antenna using Fractal structure)

  • 김기찬;고영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제39회 하계학술대회
    • /
    • pp.1389-1390
    • /
    • 2008
  • In this paper, a This paper presents the Hilbert curve Fractal Antenna has properties of Self-similarity and Plane-Filling. In case of fractal antenna is very useful to be small and multiple resonant. The antenna has a resonant frequency of 910MHz and 2450MHz base 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 particular, we designed tag antenna by the $4^{th}$ repeat. According to the repeated number of fractal structures, resonance frequency became looking downward. Theses presented Frequency, Such as 910MHz and 2450MHz, at $S_{11}$ is -31dB and -19dB, bandwidth 120MHz and 90MHz to VSWR 2: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