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land Area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5초

개량머루의 고랭지 적응성과 토양보전 효과 (Adaptability of Improved Wild Vine in Slopled Highland and It's Effect of Soil Conservation)

  • 이계준;이정태;윤영남;진용익;박철수;장용선;주진호;황선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19-424
    • /
    • 2008
  • 고랭지 경사밭에서 개량머루의 도입 적응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대단위 개량머루 재배지의 실태를 조사하였고 토양보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개량머루 재배방법별 배추재배지 토양과 비교 검토하였다. 개량머루 주산지는 대부분 해발 230~540 m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강수량은 1,200~1,700mm이었다. 최저기온은 $-19.6{\sim}-25.4^{\circ}C$이었다. 토성은 사양토~식양토가 대부분으로 토양의 유기물 및 질소함량은 일반 밭토양에 비하여 높은 편이었다. 개량머루의 적응성은 해발 600 m 이상에서도 월동이 가능하여 고랭지채소 대체작물로 도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개량머루 재배방법에 따른 토양유실량은 연간 ha당 청경재배 25.MT, 부분초생 4.1MT, 초생피복 1.8MT으로 고랭지 채소재배지의 평균 토양유실량 $30{\sim}80MT\;ha^{-1}\;year^{-1}$에 비하여 훨씬 적었으며, 부분초생 및 초생피복을 동반한 개량머류의 재배법은 고랭지에서 토양유실량 및 양분유출량 경감효과가 매우 커서 개량머루는 고랭지 농가소득 향상 및 경사밭의 환경오염 부하량을 경감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Amaranth Resources for the Selection of Promising Materials

  • Hwang Bae Sohn;Su Jeong Kim;Jung Hwan Nam;Do Yeon Kim;Jong Nam Lee;Su Young Hong;Yul Ho Kim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1-211
    • /
    • 2022
  • Amaranth is a nutritious and broadly adapted seed crop in high demand around the world. A preliminary approach for understanding the genetics of amaranth resources entails a morphologic characterization, which can provide the basis for breeding the first variety in Korea, leading to satisfying the needs of farmers and consumer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ten genetic amaranth accessions for the selection of outstanding accessions in terms of yield and grain quality.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as used, with fifteen replications for each accession under field conditions. Five quantitative and three qualitative descriptors were evaluated with descriptiv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cessions with plant heights smaller than the average (>112.7 cm) presented lower yields and smaller seed sizes, thus decreasing the grain quality. The cluster analyses established groups of accessions with good yields (>30.1 g of seeds per plant) and stabl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yield and morphological descriptors, the proposed selection index indicated four accessions as potential parents for amaranth breeding programs in Kora.

  • PDF

지역 및 재식거리가 곰취 '쌈마니' 품종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ing Region and Distance on the Growth and Yield of Gomchwi 'Sammany' Variety)

  • 서종택;유동림;김기덕;이종남;홍미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78-383
    • /
    • 2018
  • 최근 육성된 곰취 신품종 '쌈마니'의 고랭지와 평난지 다수확 재배를 위한 적정 재식거리를 구명하고 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재배지역은 표고가 해발 750 m인 고랭지와 해발 20 m인 평난지에서 하였으며, 재식거리는 $20{\times}20$, $20{\times}30$, $30{\times}30$, $35{\times}40$, $40{\times}40cm$ 등 5처리를 하고 난괴법 3반복으로 정식하고 노지에서 35% 차광재배를 하였다. 1년차 '쌈마니' 품종의 생육은 평난지보다 고랭지에서 컸으나 엽수는 고랭지보다는 평난지가 많게 나타났고, 재식거리간에는 $40{\times}40cm$구가 가장 많았고 재식거리가 넓을수록 많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주당 엽중은 평난지보다 고랭지가 더 높게 나타났다. 10a당 엽수는 고랭지보다 평난지가 많았으며, 재식거리가 좁을수록 많은 경향을 보였고, 평난지 $20{\times}20cm$ 재식구에서 543.5천매로 가장 많았다. 수량은 평난지보다 고랭지가 약간 많은 편이었으며 $20{\times}20cm$ 재식구에서 2,983 kg/10a로 가장 많았다. 2년차에도 생육은 고랭지가 컸으며 엽수와 엽중에서도 고랭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수량에 있어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재식거리간에는 2지역 모두 재식거리가 좁은 $20{\times}20cm$ 재식구에서 높았는데 평난지는 3,369 kg/10a, 고랭지는 7,257 kg/10a로 나타났다. 3년차의 생육은 고랭지가 평난지보다 약간 좋은 편이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경직경은 유사하였다. 그러나 주당 엽수와 엽중에 있어서는 고랭지보다는 평난지에서 많았으며 재식거리간에는 재식거리가 넓을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10a당 엽수와 수량을 보면 역시 고랭지보다 평난지가 많았으며 재식거리간에는 재식거리가 좁을수록 수량성이 높아 평난지 $20{\times}20cm$ 재식구에서 6,051 kg/10a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년간의 수량 변화를 보면 평난지는 3년차까지 계속 높아지나 고랭지에서는 2년차가 가장 많고 3년차에는 약간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재식거리 간에는 2지역 모두 재식거리가 좁을수록 수량이 많고 잎의 크기는 작아지는 경향이었다.

Characteristics of inorganic nutrient absorption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plants grown under drought condition

  • Bak, Gyeryeong;Lee, Gyejun;Kim, Taeyoung;Lee, Yonggyu;Kim, Juil;Ji, Samnye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81-181
    • /
    • 2017
  •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have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last 2 decades. Global warming is known to cause abnormal climate and influence ecology, food production and human health. According to climate change model global warming is causing expansion of drought and increase of evaporation. Therefore, securing water in agriculture has been an important issue for crop cultivation. As potato is susceptible to drought, water shortage generally results in decrease of yield and decrease of biomass.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inorganic nutrient absorption and growth of plants grown under drought condition. Plants were sampled in sites of Cheong-ju and Gangneung, where the severity of drought stress were different. During the growth period in Gangneung, total rainfall in 2016 decreased by 50% compared with those in last 5 years average. Especially, there was almost no rain in tuber enlargement period (from mid-May to mid-June). On the other hand, the total rainfall in of Cheong-ju was is similar to those in last 5 years average. Inorganic components including K, Ca and Mg and plant growth factors such as plant length, stem length, leaf area index and plant biomass were investigated. Tuber yields in both areas were investigated at harvest. Growth period of plants was is longer in Cheong-ju than that in Gangneung. Contents of all inorganic components were higher in plants grown in Cheong-ju than in Gangneung. The results were attributed to higher production of plant biomass in Cheong-ju. Considering the results, severe drought stress conditions in Gangneung accelerated plant aging and resulted in low plant growth. Although total yield was greatly reduced under drought stress the rate of commercial yield wa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non-drought conditions.

  • PDF

Estimation of Highland Kimchi Cabbage Growth using UAV NDVI and Agro-meteorological Factors

  • Na, Sang-Il;Hong, Suk-Young;Park, Chan-Won;Kim, Ki-Deog;Lee, Kyung-D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420-428
    • /
    • 2016
  • For more than 50 years, satellite images have been used to monitor crop growth. Currently, unmanned aerial vehicle (UAV) imagery is being assessed for analyzing within field spatial variability for agricultural precision management, because UAV imagery may be acquired quickly during critical periods of rapid crop growth. This study refers to the derivation of growth estimating equation for highland Kimchi cabbage using UAV derived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and agro-meteorological factors. Anbandeok area in Gangneung, Gangwon-do, Korea is one of main districts producing highland Kimchi cabbage. UAV imagery was taken in the Anbandeok ten times from early June to early September. Meanwhile, three plant growth parameters, plant height (P.H.), leaf length (L.L.) and outer leaf number (L.N.), were measured for about 40 plants (ten plants per plot) for each ground survey. Six agro-meteorological factors include average temperature; maximum temperature; minimum temperature; accumulated temperature; rainfall and irradiation during growth period.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were suggested by using stepwise regression in the extrac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NDVI_{UAV}$ and rainfall in the model explain 93% of the P.H. and L.L. with a root mean square error (RMSE) of 2.22, 1.90 cm. And $NDVI_{UAV}$ and accumulated temperature in the model explain 86% of the L.N. with a RMSE of 4.29. These lead to the resul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variations in highland Kimchi cabbage growth according to $NDVI_{UAV}$ and other agro-meteorological factors were well reflected in the model.

고랭지 배추의 생장모의 (Growth Modeling of Chinese Cabbage in an Alpine Area)

  • 안재훈;김기덕;이정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9-315
    • /
    • 2014
  • 여름배추는 수요와 공급에 대한 가격반응이 매우 민감한 작목으로서 날씨에 따른 작황변동은 가격 등락폭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름배추의 수급에 절대적으로 중요한 고랭지배추의 생장과 수량을 기상조건으로부터 예측할 수 있는 경험식을 개발하였다. 1997년부터 1998년까지 2년에 걸쳐 파종기를 달리하여 수행한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기온으로부터 엽면적 추정식을 도출하였다. 배추 생체중의 변화를 엽면적에 의해 설명할 수 있는 예측식을 작성한 다음 엽면적 추정식과 결합하여 다음 식을 얻었다. $$Fresh\;weight=3500/(1+{\exp}(5.175-1.153{\times}(6/(1+{\exp}(6.367-0.0064{\times}PHU)))))$$ 이 경험식을 2003년부터 2006년까지 매일 기온자료에 의해 구동시켜 예상 생체중을 계산한 다음 검증용 포장에서 얻은 실제 생체중과 비교한 결과 연차별로 결정계수 0.89~0.94의 높은 상관을 보였다.

한강상류 고령지 농업지역에서의 강우시 비점오염 유출 특성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by Storm Runoffs from Intensive Highland Agriculture Area in the Upstream of Han River Basin)

  • 정성민;장창원;김재구;김범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2-111
    • /
    • 2009
  • Turbid storm runoff from intensive highland agriculture area has emerged as the major problem of water quality deterioration in the upstream region of the Han River. High slope of the upland combined with high rate of fertilization and intensive plowing causes high rate of soil erosion, and subsequently high suspended sediment and phosphorus content in the runoff water. The variations of water quality during rain spells were surveyed for two years (2005 and 2006) in the Jawoon Stream that is one of hot spots of intensive horticulture discharging turbid storm runoff. SS and TP showed large increas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flow rate, whereas TN and BOD showed less fluctuations. Mean EMCs of SS and TP measured for nine rain events were as high as $207mgSS{\cdot}L^{-1}$ and $0.27mgP{\cdot}L^{-1}$, respectively. The export coefficient of SS and TP per area of cultivated field were calculated as $11,912kgSS{\cdot}yr^{-1}{\cdot}km^{-2}$ and $785kgP{\cdot}yr^{-1}{\cdot}km^{-2}$, repectively, which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reports of other area. It can be concluded that SS and TP in the runoffs were high enough to impose major threat to aquatic habitats, and the highland agriculture should be the main target of water quality management or habitat conservation in the study area.

Three Alternative Crops to Reduce Soil Erosion for Mountain Agriculture

  • Kim, Se-Won;Seo, Young-Ho;Kim, Jong-Hwan;Kang, An-Seok;Jeong, Byeong-Chan;Jung, Yeong-Sa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34-538
    • /
    • 2011
  • One of the problems for cultivating crops in the mountainous highland is soil erosion and nutrients runoff. Alternative cropping ways were searched to reduce soil erosion and to ensure farm income in the mountainous highland agricultural region. Three edible wild plants including goatsbeard, Korean thistle, and aster, were selected to test as alternative crops to reduce soil erosion in mountain agriculture of highland area. In the first year, the soil losses from the alternative cropping were 26 to 63 percents of the soil loss from summer radish cultivated by conservation tillage with contour and plastic film mulching. The relative soil losses in the second year ranged from 2.8 to 5.5 percents in comparison with radish cultivation. Rapid surface coverage contributed to successive soil loss protection by these alternative crops. Farm net profit of these crops was greater than that of radish. Monitoring of yields of Korean thistle or aster for further experiments, however, might be necessary for economic cultivation due to yield reduction caused by consecutive production.

곰취 '쌈마니' 품종의 재배지역 및 수확기별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f Antioxidant Activities at Different Cultivation Area and Harvest Date of the Gomchwi 'Sammany' Variety)

  • 서종택;김기덕;손황배;김수정;홍수영;김율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5-254
    • /
    • 2020
  • 본 연구는 곰취 신품종 '쌈마니' 의 고랭지와 평난지 수확기 및 가공 상태에 따른 항산화 활성 차이를 구명하고자 수행 하였다. 4월 18일부터 7월 15일까지 수확하여 생것과 데친 것을 냉동 건조한 후 메탄올에 추출하여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을 분석하였다. 재배지역 및 수확기별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은 평난지에서는 4월 18일 조기 수확보다는 5월 수확이 더 효과적이었으며, 고랭지에서는 5월보다는 6월에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지역, 수확기 및 가공상태별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은 평난지에서는 4월 조기 수확보다는 5월부터 더 효과적이었으며, 고랭지에서는 6월부터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생체와 데친 것을 비교하였을 때, 생체가 모든 항목에서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평난지재배보다 고랭지 재배가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쌈마니' 품종은 평난지에서는 5월, 고랭지에서는 6월에 수확하여 생으로 먹는 것이 데쳐서 먹는 것보다 항산화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랭지에서 파종시기에 따른 헤어리베치와 울리포드베치의 생육특성 및 녹비생산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Green Manure Productivities of Hairy Vetch and Woolly Pod Vetch under Different Sowing Seasons in the Highland Area)

  • 류종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09-420
    • /
    • 2008
  • 본 연구는 고랭지에서 피복용 두과녹비작물 도입를 통한 토양환경 보전과 녹비공급효과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헤어리베치와 울리포드베치 각각 2품종를 공시하여 가을, 봄 파종에 따른 생육, 토양피복율, 잡초밀도, 수량, 질소생산성을 구명하여 친환경농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06{\sim}2007$년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의 해발 800m에서 수행하였다. 1. 고랭지인 대관령 지방에 헤어리베치의 월동률은 $79{\sim}83%$이었으나 울리포드베치는 $29{\sim}35%$의 월동률을 나타내어 헤어리베치가 울리포드베치에 비하여 월동률이 높았다. 고랭지에서 베치류의 토양피복율은 추파에서는 5월 하순에서 6월 초순, 춘파에서는 6월 하순에서 7월 초순에 100%에 도달하였다. 헤어리베치 재배에 의한 잡초밀도는 가을 파종재배구가 봄 파종재배구 보다 낮았다. 2. 가을파종재배시 헤어리베치 품종의 질소 함량은 3%로 울리포드베치의 2.7% 보다 높았다. 그러나 봄 파종재배시 질소 함량은 울리포드베치 품종이 헤어리베치 품종 보다 높았다. 울리포드베치는 헤어리베치에 비하여 셀룰로스, NDF, ADF, ADL 함량이 낮았다. 3. 고랭지 지역에서 헤어리베치의 건물수량은 가을 파종에서 $5,255{\sim}5,405kg/ha$ 봄 파종재배에서 $4,330{\sim}4,560kg$으로 가을파종재배에서 높았다. 봄 파종재배에서는 헤어리베치와 울리포드베치 사이에 건물수량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헤어리베치를 녹비로 이용하면 가을 파종재배에서 $156{\sim}164kg/ha$, 봄 파종 재배에서 $131{\sim}140kg/ha$의 녹비질소를 생산할 수 있었다. 울리포드베치는 월동의 안정성이 없어 추파재배시 $96{\sim}101kg/ha$으로 질소생산성이 낮았으나, 봄 파종재배에서는 $144{\sim}153kg/ha$으로 헤어리베치 보다 높았다. 고랭지 지방에서 헤어리베치는 가을, 봄 파종재배가 가능하였으나 울리포드베치는 가을 파종재배에는 적합하지 않았으나 봄 파종재배 품종으로는 가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