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검색결과 785건 처리시간 0.032초

교수-학습 상호작용을 위한 전자계산일반의 WBI 설계 및 구현 (WBI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roduction to Computer Science' for Teaching-Learning Interactions)

  • 이철호;배석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4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37-540
    • /
    • 2004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웹을 기반으로 한 학습시스템의 개발 및 학습활동이 활발해 지고 있다. 웹을 이용한 학습시스템을 살펴보면 학습자 중심의 수준별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가 체계적으로 되어 있지 않고, 학습자와 교사와의 상호 작용성이 미비하다.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평가에 대한 결과만을 보여주고, 오답에 대한 피드백 제공 및 심화학습의 연계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교 전자계산일반 교과목에 대한 가상학습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학습자 중심의 수준별 학습에 교수-학습 자료를 보완하고, 학습자와 교사와의 상호작용성을 보완하였으며, 학습평가에서 오답정보를 피드백 해석 심화학습과 연계하여 학습자의 이해를 돕고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ASP를 이용하여 WBI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유전 관련 개념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비유 만들기 수업의 적용 효과 (The Effects of Applying Instruction Using High School Students' Self-Generated Analogies for Concepts in Genetics)

  • 김동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24-43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비유 만들기 수업에 대한 효과측면, 문제점 측면, 문제점해결 방법 측면, 교사의 역할 측면의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전 관련 개념에 대한 비유물 창안하기, 목표물과 비유물 사이의 불일치 점 찾아내기, 새롭게 알게 된 유전 개념 발표하기 단계로 비유 만들기 수업을 실시하였고, 본 수업을 통해 유전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학습동기 검사, 면담을 통하여 학생들의 비유 만들기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유 개발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워크숍 결과, 생물 학습에서 유전과 관련된 개념은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부분으로 이런 어려운 과학적 개념 이해를 위해 비유 만들기 수업은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학생들은 유전관련 개념에 대한 비유 소재를 일상생활에서 찾았으며, 학생들은 자신과 다른 친구들이 만든 비유물을 비교해보고 토론 과정을 거치면서 목표물과 비유물 사이의 불일치 점을 찾아내고, 유전 개념에 대한 올바른 과학 개념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비유 만들기 수업은 전통적 설명식 수업보다 학업 성취도 향상과 학습동기 유발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을 적용한 초등학생 수준별 자유탐구 안내자료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 of Differentiated Open Inquiry Guide Materials for Elementary Students Applying a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 임라미;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3호
    • /
    • pp.233-253
    • /
    • 2018
  • Since open inquiry of science was formally introduced at the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Course, the purpose and effect of it has been positively evaluated, and it is underlined continuously until the revised science education course in 2015. However, through many previous studies, there is still a lack of awareness of open inquiry of both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field, and it was revealed they are continually appealing confusion and difficulties.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analyzed the causes that make it difficult to execute open inquiry, and developed differentiated open inquiry guide materials that can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They were developed by the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to provide students with authentic science. The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is reflecting the evolutionary attributes and the brain functions associated activities of scientists. It was revealed that, in the same way as the pilot test results, the usefulness of the differentiated guide materials were very high,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ience attitude. It was foun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brain-based evolutionary approach had positively influenced the stage of determining the inquiry themes, and self-confidence that could be able to do as a scientist. Analysis of top and sub group types on the basis of inquiry ability showed that both groups are improved at science attitude by the differentiated guide materials.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change in the self-perception of scientific creativity. We were able to see a positive change in the post survey for open inquiry-efficacy. The developed differentiated open inquiry guide materials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open inquiry-efficacy for both the teacher and student.

맞춤형 진로교육을 위한 웹기반 SMTS의 설계와 구현 (Designing and Embodying of Web-based SMTS for Career Education Geared to Each Student)

  • 안재민;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7-400
    • /
    • 2010
  • 고등학교에서 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기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지원하는 NEIS의 교무업무시스템과 담임교사 중심의 진로교육 자료가 오프라인 형태로 관리 및 운영되고 있어, 학생들의 진로교육을 위한 실질적 의사결정 시스템으로서 활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맞춤형 진로교육을 위한 e-포트폴리오, 성적 및 상담자료 등을 DB로 구축하여, 인터넷 웹 기반의 학생관리통합시스템(SMTS: Student Management Total System)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결과 교사들은 학생의 소질과 적성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교육을 실시하여, 건전한 직업관을 가진 미래의 국가자원으로 성장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초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과 학습자 특성과의 관련성 분석 (An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Epistemological Beliefs about Science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이주연;백성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2호
    • /
    • pp.167-17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sixth grade students' opistemological beliefs in science and the relationship to learner's characteristic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ies, and logical thinking. The subjects were 265 sixth graders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two types of questionnaires, translated and modified by researchers: opistemological beliefs regarding science, learning motivation &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believed that the goals of science were related to activations such as 'Science is experiment', or 'Science is invention: These beliefs were connected with the emphasis of science classes or the focus of the science curriculum. However, the students' beliefs related to the changeability of science knowledge, the source of science knowledge, and the role of experiments in developing knowledge were oriented to modern opistemological views. Moreover, the beliefs were meaningfully related to students' characteristic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ies, and logical thinking. Among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logical thinking was especially related to all of the factors of students' beliefs: the changeability of science knowledge, the source of science knowledge, and the role of experiments in developing knowledge. However, the students who believed that scientific knowledge came from scientists, science teachers, or science textbooks had high levels of self-efficacy. Therefore, the belief that scientific knowledge is formed by self-discovery, in order to generate high self-efficacy, needs to be encouraged. From the results, it is possible to check the orientation of current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students' opistemological beliefs. In addition, the resources can be accumulated for persevering in our efforts to achieve a positive orientation for science education.

  • PDF

중학교 과학과 총괄 지필평가 문항의 목표 분석 (Analysis of Summative Evaluation Objectives in Middle school Science Examination by Klopfer'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박현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2호
    • /
    • pp.293-302
    • /
    • 2012
  • 이 연구는 중학교 1학년 과학과 총괄 지필평가 출제경향을 조사하기 지필평가 문항의 행동영역, 내용영역, 문항유형, 난이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10개의 중학교의 1차와 2차 지필평가 문항의 총 645개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필평가 문항의 행동영역은 '지식, 이해' 수준으로 편중되어 있으며, 적용, 분석, 종합, 평가 영역의 문항은 거의 출제가 되고 있지 않았다. 둘째, 내용영역은 기존의 연구의 결과에 비해 과학적 탐구과정의 출제 빈도수가 많아졌지만, 여전히 과학지식을 묻는 문항이 과학적 탐구과정의 문항과 비교하여 두 배 이상의 비율로 출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문항유형은 선다형 문항 중심으로 출제 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정답률을 기준으로 문항의 난이도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빈도수에서 '상'에 해당하는 문항의 비율은 교사가 목표로 하는 난이도 비율보다 낮았으며, '중'의 비율은 교사가 생각하는 난이도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학학습에 대한 다양한 영역의 총체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교사의 평가 및 문항 개발의 전문성 신장에 대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고교학점제 시행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과 요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 and Needs on Implement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 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255-27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를 기반으로 한 고교학점제 시행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과 요구, 운영 시 문제점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사서교사 153명을 대상으로 고교학점제 정책에 대한 이해 및 인식, 사서교사 선택과목 운영에 대한 인식과 요구, 선택과목 운영 시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온라인 조사하여 그 결과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서교사들은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높았으며, 선택과목 운영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특히 연구·선도학교에 근무하는 사서교사들이 일반학교에 근무하는 사서교사보다 고교학점제에 대한 이해 및 운영 기반에 대한 이해가 높았다. 선택과목 운영에 있어서 사서교사에 대한 학생, 교사들의 교육적 역할 인식 부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성별, 지역, 경력 등과 같은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사서교사 대상의 고교학점제 연수 및 지원, 독서, 미디어, 정보활용능력과 연계된 선택과목 개설 및 교과서 개발, 독서, 미디어, 정보활용능력 교육 관련 과목 필수 이수 제도화 등을 제안하였다.

부산 지역 과학 교육 자원 지도를 활용한 체험학습의 환경교육적 효과 (Effects of Outdoor Activities Utilizing Regional Science Education Resource Map (RSM) in Busan)

  • 유선미;김선영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4권3호
    • /
    • pp.44-55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RSM (Regional Science education resource Map), developed and provided by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at high schools in Busan. Two group of students, who were in the same level of achievement as well as other environmental conditio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enty nine of students as an experimental group experienced outdoor activities utilizing RSM, while thirty of students as a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any outdoor activit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f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of students represen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s, local ecological interest and eco-friendly behavior. The teachers who guided outdoor activities utilizing RSM suggested that RSM needs to be further subdivided by seasons as well as local districts. They also suggested that RSM needs to be linked with a school curriculum.

  • PDF

젓갈산업의 현황 및 발전 방향 (The present condition and development prospect of the fermented fishery products)

  • 김상무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3권2호
    • /
    • pp.200-214
    • /
    • 2020
  • The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fish products are classified into mainly three groups; Jeot-gal, Aek-jeot, and Sik-hae. Jeot-gal is a salt-fermented fish. Aek-jeot (Eoganjang) is actually a liquid part of Jeot-gal. Sik-hae is a salt-fermented whole or part fisheries with adjuncts. The production of jeot-gal products has been increased constantly. However, there is not enough fishery for raw materials. Recently, consumers have been preferred low-salted foods because they have become aware that high levels of salt cause adult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or gastric cancers. The main consumers of jeot-gal are adults above 40~50 years old. Young generation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dislike fishery products because of distinct fish smell, small bone, as well as food safety.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consumption of jeot-gal and extend its industry, jeot-gal should be developed to match the preference of new generation with good safety, health-oriented, and new concept.

논증구조 수업설계 프로그램을 통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의 과학논증 PCK 발달 모델 제안 (Suggestion of the Scientific Argumentation PCK Developmental Model for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through an Instructional Design Program Using Argumentation Structures)

  • 박원미;곽영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6-9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20명의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논증구조 수업설계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자료를 분석하여 과학논증 PCK 발달 모델을 도출하였다. 과학논증 PCK 발달 모델은 과학논증 PCK, PCK 생태계, 반성적 실천 등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된다. 과학논증 PCK는 논증구조를 교수적 추론 도구로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거나 실행하는 과정에서 발휘된다. PCK 생태계는 과학논증 PCK를 둘러싸고 상호작용하며 발달하는 차원으로, 기존의 통상적인 PCK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반성적 실천은 과학논증 PCK와 PCK 생태계, 두 차원을 매개함으로써 각각의 차원을 조절하고 다양한 양태로 발달시킨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과학교사들은 교수적 추론 도구로 논증구조를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거나 실행하는 과정에서 과학논증 PCK를 발휘할 수 있다. 둘째, 과학논증 PCK를 통해 다양한 PCK 생태계 구성요소들을 개발할 수 있으므로, 과학교사의 PCK 개발을 위해 과학논증 PCK와 같은 교수적 추론 도구와 관련된 PCK 개발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끝으로, 과학논증 PCK는 반성적 실천을 유발하여 PCK 생태계 구성요소의 발달을 촉진하므로, 예비 과학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지원하기 위해 과학논증 PCK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