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School credit system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9초

Examination of Students' Perceptions of the Selection of Science Subjects in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ir Reasons for Selection

  • Dong-Seon Shin;Jong Keun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263-272
    • /
    • 2023
  •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choice of science subject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reasons for their choice. To achieve this, the selection of science subjects was investigated for the second year of S high school over the past three years. Students selected an average of 1.54 science subjects, and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selection of science subjects was gradually increasing by year. Students chose high in the order of life science I, earth science I, chemistry I, physics I, etc. in the science subject group. Students who wish to enter the natural and engineering fields chose life science I, chemistry I, physics I, etc., while, students who wish to enter the humanities society chose society and culture, life science I, ethics and thought, etc.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for choosing science subjects was 'related to college admission', followed by 'aptitude and interest', 'career and real life help', etc. physics I, chemistry I, etc., were high in the subjects selected according to the 'related to college admission'. The subjects selected according to 'aptitude and interest' were high in life science I, earth science I, etc. Physics I, chemistry I, etc. are recognized as subjects necessary for college entrance, and life science I, earth science I, etc., are found to be related to their interests and aptitudes.

직업계 고등학교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육 수요자 인식 조사 (An Investigation into Perception of Educational Consumers on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 윤소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71-281
    • /
    • 2021
  • 이 연구는 직업계 고등학교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육 수요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자는 A광역시에 위치한 직업계 고등학교의 학생, 학부모,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생 541명, 학부모 261명, 교원 179명의 총 981명의 응답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IBM SPSS 21을 활용하여 일원변량분석과 χ2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계고 학점제에 관한 인식 영역의 모든 응답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교원-학생, 교원-학부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 운영 영역의 조기졸업 필요 여부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학생의 평균이 학부모와 교원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수업 운영 및 평가 영역 중 교사들의 다양한 교수법 활용도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학부모와 교원의 평균이 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고교학점제를 위한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STEAM) Program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 권혁수;김어진;김재운;민재식;배상일;손미현;이효녕;최진영;한미영;함형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6권1호
    • /
    • pp.93-108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2025년 전면적으로 시행되는 고교학점제에 활용 가능한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과 효과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은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고교학점제 선행연구를 분석을 통해 얻어진 '수소연료', '기후위기', '데이터 사이언스', '적정기술', '바리스타'라는 5개의 최신 이슈를 주제로 개발되었다. 프로그램은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고교학점제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형식(틀)에 맞춰 집단 숙의의 과정을 통해 7개월간 개발되었다. 고등학생의 진로·직업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개발된 5종 29차시의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 초안은 2인의 융합교육(STEAM) 교육 전문가에게 자문을 통해 검증을 받았으며, 프로그램의 현장 적합도를 판단하기 위해 5개 고등학교 627명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하였다. 시범 적용 결과, 학생들의 융합교육(STEAM) 태도는 사전보다 사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프로그램에 대해서 학생들의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범 적용 교사 면담을 통해 '프로그램의 내용과 수준이 적합하며,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통해 관련 교과의 내용 지식을 적용하고 진로 체험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시범 적용의 결과를 바탕으로 5종 29차시의 학생용·교사용 고교학점제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을 최종 완성했다. 마지막으로 고교학점제에서 적용할 수 있는 차시대체형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과 고교학점제가 바람직하게 정착되고 운영될 수 있도록 교사의 전문성 향상 방안 마련, COVID-19로 촉발된 블렌디드 수업 설계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이 연구는 2025년 전면적으로 시행되는 고교학점제에서 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방안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고교학점제에서의 데이터과학 수업 방안 (Plan for data science class in high school credit system based curriculum)

  • 김세민;홍기천;유강수;서성원;우성희;이충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04-40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일반계 고등학교의 고교학점제를 위하여 데이터과학 수업 방안을 설계하였다. 초·중학교나 일반계 고등학교에서는 시수 확보가 쉽지 않아서, 데이터과학과 같은 새로운 과목을 학습자가 마음껏 수강할 수 없지만, 고교학점제를 통하여 원하는 과목을 신청하여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이에 A시의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데이터과학을 신청한 15명의 학생을 위하여 ADDIE 모형에 기반하여 수업 방안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습 방안에 따른 데이터과학 수업 과정을 설계할 수 있었다.

  • PDF

단위제 고등학교의 애착장소 인식에 관한 연구 - 일본의 총합학과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 (Research on the Space Recognition of Attachment Places of Credit-based High Schools - Focused on Japanese Comprehensive High Schools -)

  • 손석의;김승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4호
    • /
    • pp.61-68
    • /
    • 2019
  • As high schools implement credit completion system these days, concerns about the dissolution of classes, which are the original stable groups of studying and living, and the instability of the basal space, is growing due to the extended operation of moving optional class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effect that environmental features of the basal space within the school and the operation method have on the students' space use and formation of attachment place within the school. For this, the main activity places, attachment place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others were investigated at 2 Japanese credit-based comprehensive high schools, which are different in the physical environmental features of school buildings. Based on this, a quantitative analysis about the distribution of activity places and attachment places was implemented. The space use features for each student attribute were compared, and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each type of attachment place forma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change of the territorial consciousness about the class spac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moving optional classes could be understoo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space using behavior and place evaluation change according to the physical environmental feature of the class space and common space, and that this i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백워드 디자인에 기반한 고등학교 가정교과 금융소비자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Backward Design)

  • 차지혜;박미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297-318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igh school home economics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backward design and validation by experts. The program was designed and developed by first selecting learning content elements through a review of existing research and an analysis of relevant literature. The next step was to categorize these elements into seven themes and apply the backward design instructional design model 2.0. The program was prepared in the form of a 21st teaching-learning course plan and workbook and was verified by nine home economics teachers with working experience in high school. The evaluation revealed that the average value for all questions was 3.81 (out of 4 points) and the CVR was .99, indicating that the program was valid. In addition, positive evaluations were received in terms of learning goals, content level, and learner participation by clas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a systematic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Education of Home Economics to improve the financial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It can therefore be used as an elective course (mini-course) in Home Economics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 follow-up study will be required to assess the improvement in financial literacy after implementing this program.

사서교사의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수업 효과에 관한 연구 - 고교학점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er Librarians'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Classes: Focused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 강봉숙;박주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79-19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사서교사의 공동교육과정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교육 수업 사례를 고찰하여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을 소개하고 검증하는 데 있다. 해당 수업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 두 명의 사서교사가 개설한 2개의 34차시 공동교육과정이다. 수업은 공통적으로 진로 또는 교과와 융합된 탐구 문제를 개별 학생이 스스로 설정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사서교사가 미디어 정보 활용 과정에 따라 지도하였다. 참여자는 과목을 이수한 대구의 고등학생 중 사전 사후에 모두 설문지를 작성한 22명이다. UNESCO에서 발표한 MIL의 구성요소인 접근, 평가, 생성의 하위 42개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통해 전체 수업 전후 각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고 수업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3개 요소 모두, 그리고 하위 42개 항목 중 25개 항목에서 수업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사서교사의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학생의 리터러시가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 교육과정 흐름 속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의 효과에 대한 인식 저변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고교학점제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과학과 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 탐색 (Ways to Restructure Science Elective Courses in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이일;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45-15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교육과정 개정을 앞두고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과목 구성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고교학점제 전면시행에 대비한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선택과목 구성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에 분포한 고등학교들이 고르게 포함되도록 지역별로 분배하여 표집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92개 학교의 과학교사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또한 과학과 선택과목 재구조화에 대한 심도있는 의견을 조사하기 위해 12명의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을 초점집단으로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설문조사에서 129명(67.2%)의 과학 교사가 현행 2015 교육과정의 과학과 선택과목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현행 선택과목 체제 유지에 반대하는 이유로는 II과목이 생활과 과학 등의 교양 과목 성격의 교과와 진로선택과목에 함께 묶여 있는 것이 적절하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학생들의 과학과 선택과목 기피가 심화되었고, II과목은 진로선택과목임에도 수능 선택과목으로 포함되어 있어 교육과정과 수능의 연계성이 떨어진다고 교사들은 응답하였다. 2022개정 교육과정에서 선택과목을 구성할 때 고려해야 할 점으로는 기존처럼 과학 I·II의 내용을 모두 포함하도록 일반선택과목을 구성하여 과학영역별 전체 내용을 접할 기회를 제공해야 하고, 학점제에 대비하여 학생 선택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과학과 선택과목을 편성·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심층면담 결과를 보면, 현재의 과학 I과목 체제는 과목 수가 적은 만큼 과학의 내용영역을 최대한 많이 접하게 할 수 있고, 물리학과 같이 개념의 위계와 체계가 중요한 과목은 쪼개기보다는 한 과목 안에서 중요한 내용을 다뤄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한편, 현재의 I과목 체제에서는 문과 진로적성인 학생들이 선택할만한 과목이 없으며, 4개의 과목만으로는 선택권이 충분히 보장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내용영역별로 과목을 세분화하자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교학점제 취지를 고려한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과목 편성의 필요성, 진로적성을 막론하고 모든 학생들을 위한 과목으로 과학과 융합선택과목을 구성하는 방안, 과학과 진로선택과목 구성 방안, 대입 제도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과목 편성·운영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빅카인즈(BIGKinds) 시스템을 활용한 '고교학점제' 관련 언론기사 분석 (Analysis of press articles related to 'high school credit system' using BIGKinds system)

  • 권충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1호
    • /
    • pp.99-100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 국민들의 주요 관심 교육정책인 '고교학점제' 관련 언론기사들을 한국언론재단의 빅카인즈(BIGKinds) 시스템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19년 11월 30일까지 기간을 설정한 후, 총 54개 언론사의 '고교학점제' 관련기사들을 추출하였다. 그 다음, 추출된 '고교학점제' 관련 기사들을 대상으로 뉴스트렌드 분석, 네트워크 지도 구현, 핵심어 추출 및 워드클라우드 제시 등의 연구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결과는 '고교학점제'의 정책 진행 과정성의 과제 및 쟁점들을 해결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기술·가정과 교사의 학교교육과정 편성 참여와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f Participation in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 박미정;임윤진;권유진;이광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34
    • /
    • 2020
  • 본 연구는 중등학교 기술·가정과 교사의 학교교육과정 편성 참여와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의표집 방법으로 전국의 중등 기술·가정과 교사 345명의 설문 자료를 SPSS 24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F검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현재 단위 학교에서 기술·가정과 교육과정 편성 시수가 부족하고(61.1%), 교사의 수도 부족(53%)하다고 인식하고, 학교교육과정 편성에 대부분 참여하고 있었으며(62.0%), 향후 학교교육과정 편성 과정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도 매우 높았다(4.47, 89.9%). 둘째,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해 보통 이상으로 알고 있었고(3.34) 긍정적인 인식(37.7%)보다 부정적인 인식(52.8%)이 많았다.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학생들의 진로 선택(3.88)과 전공 분야의 전문내용 심화(3.81)를 긍정적인 영향으로 인식한 반면, 비입시 과목으로 인한 선택 감소(3.90)와 이에 따른 교사 전보의 어려움(3.57) 등을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안정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진로선택과목의 조정(4.51), 선택과목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보급(4.46), 기술과 가정의 분리(4.45), 평가방법 및 적용에 대한 연수 제공(4.44)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기술·가정 교과가 차기 교육과정 개정과 고교학점제에 지혜롭게 대비할 수 있는 기초 자료와 고등학교 기술·가정교육과정 편제에 대한 논의의 단초를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