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erarchical Transmission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24초

6LoWPAN에서 홉-수 기반 계층적 자동주소할당 방법 (A Method of Hierarchical Address Autoconfiguration base on Hop-count in 6LoWPAN)

  • 김동규;김중규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1-21
    • /
    • 2010
  • 센서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의 수가 증가하면 센서 노드에 자동으로 주소를 할당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기존에 개발된 주소할당 방법은 주소 낭비가 심하거나 코디네이터가 주소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거나,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6LoWPAN에서 센서노드에 자동으로 효율적인 주소 할당이 가능한 홉-수 기반 계층적 주소할당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홉-수로 각각의 영역을 구분하여 중복되지 않는 유일한 주소의 할당이 가능하며, 주소중복검사(DAD : Duplicate Address Detection) 영역을 줄였다. 부모 노드에 1-홉으로 연결된 영역만 주소중복검사를 수행하여 트래픽을 줄이고, 패킷 전송에서 송 수신 주소에서 IP 헤더를 32bit 이상의 압축이 가능하여, 기존 방법보다 패킷 전송 횟수가 11.1% 감소하는 것을 보였다.

픽셀 기반 Joint BDCP와 계층적 양방향 필터를 적용한 단일 영상 기반 안개 제거 기법 (Single Image Haze Removal Technique via Pixel-based Joint BDCP and Hierarchical Bilateral Filter)

  • 오원근;김종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57-26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픽셀 기반 joint BDCP (bright and dark channel prior)와 계층적 양방향 필터를 적용하여 저 복잡도를 갖는 단일 영상 기반 안개 제거 기법을 제안한다. 픽셀 기반 joint BDCP는 기존의 패치 기반 DCP에 비해 연산량을 감소시키고, 픽셀 단위의 안개값 예측을 가능하게 하여 전달량 추정의 정확성을 높인다. 또한 에지를 보존하면서 평탄화 성능이 우수한 양방향 필터를 사용하여 전달량을 정련함으로써 후광 효과(halo effect)를 줄이고, 에지 성분에 대한 계층적 적용을 통해 반복 적용에 의한 연산량의 증가를 방지한다. 안개 성분이 포함된 다양한 영상에 대해 수행한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의 기법에 비해 우수한 안개 제거 성능을 보이면서 저 복잡도로 실행되어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계층적 가상 클러스터 기반 MAC 프로토콜 (A MAC Protocol based on Hi.erarchical Virtual Clusters)

  • 백두성;편기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93-102
    • /
    • 2009
  • 환경 관찰 응용은 광범위한 지역의 온도, 습도, 오염도 등의 물리 세계 정보를 실시간 및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응용으로 유비쿼터스 사회에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환경 관찰 응용에 적합한 센서 네트워크 MAC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프로토콜은 SMAC 프로토콜처럼 센서 노드들을 다수의 그룹으로 형성함으로써 확장성을 갖도록 한다. 그러나 SMAC 프로토콜과 달리 인접한 그룹간의 계층 구조를 갖는다. 계층 구조의 하위 그룹은 상위 그룹에 동기화 되어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스케줄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종단간 전송지연을 줄일 수 있고, 순차적인 전송 스케줄을 통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인다. 그러나 동일 그룹 내의 노드들은 자신의 그룹에 속한 노드들에게만 동기화 되므로 DMAC과 같은 기존 계층 구조보다 확장성이 좋고 적응력을 갖는다.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환경 관찰 응용에 적용할 때 제안하는 프로토콜이 SMAC보다 전송 지연과 에너지 측면에서 뛰어남을 보인다.

계층적 네트워크 기반 다중 모터 제어기의 안정도 분석 (Stability Analysis of Multi-motor Controller based on Hierarchical Network)

  • 문찬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677-682
    • /
    • 2023
  • 인간형 로봇을 구동하기 위해서 로봇 내부에는 많은 수의 모터와 센서가 사용된다. 다수의 구동기를 연결할 때 생기는 배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신 네트워크에 기반한 제어기를 사용해왔는데 구성 비용면에서 유리하고, 신뢰성이 높은 통신 프로토콜인 CAN이 주로 사용되었다. 제어기의 구조 측면에서 상위 제어기에 알고리즘을 탑재하기 쉬운 속도 제어형 구조가 선호되고 있는데, 이때 CAN의 낮은 통신 대역폭이 문제가 되며, 충분한 통신 대역폭을 얻기 위해 이전에는 다수의 CAN 네트워크로 분리해서 통신망을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높은 통신 대역폭을 얻기 위해 고속의 FlexRay와 저속의 CAN 통신망이 계층적으로 연결된 다중 모터 제어 시스템에 대해 전송시간 지연에 대한 안정도 분석을 수행하고 허용된 전송시간 내에 센서 정보와 구동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게이트웨이의 구성과 노드 할당 방법에 관하여 연구한다. 제안된 계층적 네트워크 기반 제어시스템은 다중 모터제어 시스템의 제어성능을 높이고 안정도를 확보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L-LEACH :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계층형 멀티 홉 라우팅 프로토콜 (DL-LEACH: Hierarchical Dual-Hop Routing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

  • 이창희;이종용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39-145
    • /
    • 2015
  • 본 논문은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계층형 라우팅 프로토콜 중 대표적인 알고리즘인 LEACH(Low Energy Adaptive Clustering Hierarchy)의 원거리 전송 시의 에너지 효율이 급감하는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DL-LEACH(Dual-hop Layered LEACH)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이는, 데이터 전송에 듀얼 홉(dual hop : 싱글 홉 + 멀티 홉) 방식을 도입하여 근거리 전송에서는 부분적 싱글 홉 방식을, 원거리 전송에는 클러스터 헤드 간의 멀티 홉 전송 방식을 도입하였다. 제안된 DL-LEACH는 듀얼 홉 전송 방식을 사용하여 원거리 전송의 경우에는 클러스터 헤드의 에너지 소모를 줄이고, 근거리 전송의 경우에는 전송 루틴을 단순화하고 전송 거리를 줄여 센서 노드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켰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LEACH에 비교하여 넓은 센서 필드에 적합하다. 제안된 방법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An Energy Efficient Chain-based Routing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Sheikhpour, Razieh;Jabbehdari, Sam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6호
    • /
    • pp.1357-1378
    • /
    • 2013
  • Energy constraint of wireless sensor networks makes energy saving and prolonging the network lifetime become the most important goals of routing protocol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ergy Efficient Chain-based Routing Protocol (EECRP)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to minimize energy consumption and transmission delay. EECRP organizes sensor nodes into a set of horizontal chains and a vertical chain. Chain heads are elected based on the residual energy of nodes and distance from the header of upper level. In each horizontal chain, sensor nodes transmit their data to their own chain head based on chain routing mechanism. EECRP also adopts a chain-based data transmission mechanism for sending data packets from the chain heads to the base sta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EECRP outperforms LEACH, PEGASIS and ECCP in terms of network lifetime, energy consumption, number of data messages received at the base station, transmission delay and especially energy${\times}$delay metric.

다자게임 전력시장에서 송전선 혼잡시의 복합전략 내쉬균형 계산 (Solving Mixed Strategy Equilibria of Multi-Player Games with a Transmission Congestion)

  • 이광호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력기술부문A
    • /
    • 제55권11호
    • /
    • pp.492-497
    • /
    • 2006
  • Nash Equilibrium (NE) is essential to investigate a participant's bidding strategy in a competitive electricity market. The transmission line constraints make it difficult to compute the NE due to causing a mixed strategy NE instead of a pure strategy NE. Computing a mixed strategy is more complicated in a multi-player game. The competition among multi-participants is modeled by a two-level hierarchical optimization problem. A mathematical programming approach is widely used in finding this equilibrium. However, there are difficulties to solving a mixed strategy NE. This paper presents two propositions to add heuristics to the mathematical programming method. The propositions are based on empirical studies on mixed strategies in numerous sample systems. Based on the propositions a new formulation is provided with a set of linear and nonlinear equations, and an algorithm is suggested for using the prepositions and the newly-formulated equations.

신뢰도와 키를 이용한 보안 라우팅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e Routing Technique using Trust Value and Key in MANET)

  • 양환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69-77
    • /
    • 2015
  • MANET is composed of only the mobile nodes have a limited transmission range. The dynamic topology by the frequent movement of nodes makes routing difficult and is also cause exposed to security vulnerabilitie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ecurity routing technique consisted of mechanism of two steps in order to respond effectively to attack by the modification of the routing information and transmit secure data. The hierarchical structure is used and the authentication node that issues the key of the nodes within each cluster is elected in this proposed method. The authentication node manages key issues and issued information for encrypting the routing information from the source node. The reliability value for each node is managed to routing trust table in order to secure data transmission. In the first step, the route discovery is performed using this after the routing information is encrypted using the key issued by the authentication node. In the second step, the average reliability value of the node in the found path is calculated. And the safety of the data transmission is improved after the average reliability value selects the highest path. The improve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n this paper was confirmed through comparative experiments with CBSR and SEER. It was confirmed a better performance in the transmission delay, the amount of the control packet, and the packet transmission success ratio.

MANET에서 보안 경로와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신뢰 기반 라우팅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usted Routing Scheme for Secure Path and Secure Data Transmission in MANET)

  • 양환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3-51
    • /
    • 2017
  • Recently, MANET has been used in many fields as the range of applications increases. However, the dynamic topology that MANET has makes it difficult to route and provides the cause of exposure to security vulnerabilities. Therefore, the security features that can be robust to many attacks must have been applied in the routing technique provided in the MANET.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cure routing method that secure route is established by reliability evaluation of nodes and secure data communication has applied through key exchange mechanism. The proposed technique used hierarchical structure for efficiency of reliability evaluation of nodes. The reliability of nodes is performed by trust management node and reliability of nodes managed periodically is broadcasted. And the key exchange for secure data transmission is dene without CA as the certificate issuing organization. This allows fast key exchange and the integrity of data transmission improved. The proposed technique improves the security of the data transmission because a secure route to the destination node is established by the reliability evalu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after the key between the source node and the destination node is exchanged through the established route.

지오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의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한 지정 경로 기반 데이터 집계 처리 기법 (A Data Aggregation Scheme based on Designated Path for Efficient Energy Management of Sensor Nodes in Geosensor Networks)

  • 윤민;김용기;라빈드라 비스타;장재우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0-17
    • /
    • 2010
  • 지오센서 네트워크에 활용되는 센서 노드는 제한된 자원과 전력을 지닌다. 따라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집계하는 라우팅 기법 연구가 필수적이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일반적인 데이터 수집은 각 센서 노드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멀티홉 방식으로 싱크노드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두 가지의 문제점을 지닌다. 첫째, 기존 연구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부모 노드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요구한다. 둘째, 각각의 소스 노드는 서로 다른 전송 경로를 가지기 때문에 많은 전송 횟수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한 지정 경로 기반의 데이터 집계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데이터를 전송할 경로를 미리 선정하여 불필요한 데이터 전송을 감소시키며, round-robin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모든 센서 노드가 데이터를 집계하는 데 참여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인 directed diffusion(DD) 및 hierarchical data aggregation(HDA)과의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에너지 효율적임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