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erarchical Ontology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2초

Building Domain Ontology Based on Linguistic Patterns

  • Kim, Kweon-Yang;Lim, Soo-Yeon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66-771
    • /
    • 2006
  •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building domain ontology from corpus by extracting concepts and properties relationships based on linguistic patterns. The pharmacy field is selected as an experiment domain and we present an algorithm to extract hierarchical structure for terminology based on the noun/suffix patterns of terminology in domain texts. In order to show usefulness of our domain ontology, we compare a typical keyword based retrieval method with an ontology based retrieval mettled which uses related information in an ontology for a related feedback. As a result, our method shows the improvement of precision by 4.97% without losing recall.

자동차부품 추천을 위한 태스크 온톨로지 기술의 적용방법 (Application Method of Task Ontology Technology for Recommendation of Automobile Parts)

  • 김귀정;한정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6호
    • /
    • pp.275-281
    • /
    • 2012
  • 본 연구는 태스크 온톨로지를 이용한 자동차부품 추천시스템 개발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지능형 추천 시스템은 자동차 부품 조립과정을 학습하도록 하였으며, 자동차부품 추천을 위하여 부품들을 온톨로지 방법으로 구축하였다. is-a Relationship 기반 hierarchical Taxonomy를 이용하여 자동차 엔진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부품들 사이의 관계를 설정하였다. 각각의 부품은 자동차 전문가의 지식에 의해 각기 다른 가중치 값을 가지고 있게 된다. 가중치는 자동차 추천시스템의 사용자들이 직접 사용하면서 선택한 횟수와 가중치의 곱 연산을 이용한 결과 값을 시스템 내에서 기록하여 순서를 작성하고 결과적으로 우선순위(priority)가 높은 순서부터 사용자에게 출력함으로써 어느 부품의 어느 요소가 중요한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자동차부품 지능형 추천시스템은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자동차 부품관련 부분을 생성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임의의 부품을 선택했을 때 해당 부품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부품을 표현하여 특별히 전문적인 지식 없이도 손쉽게 자동차 부품의 조립 및 쓰임새와 중요성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이다.

XPOS: 효율적인 질의 처리를 위한 XPath 기반의 OWL 저장 모델 (XPOS: XPath-based OWL Storage Model for Effective Query Processing)

  • 김진형;정동원;백두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5권3호
    • /
    • pp.243-256
    • /
    • 2008
  • 최근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웹 상의 정보 양이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웹 상의 정보들은 사람이 읽고 해석하기에만 편리하게 설계되어 원하는 정보에 대한 정확한 검색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맨틱 웹이 제안되었으며, 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데이타에 의미를 부여하는 온톨로지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대표적인 은톨로지 언어는 RDF, RDF-S, OWL 등이 있다. 이러한 언어들 중 OWL은 W3C에서 권고안으로 채택한 언어로써 다른 온톨로지 언어에 비해 풍부한 표현력과 형식적인 의미론을 지닌다. 또한 OWL 데이타는 클래스/프로퍼티들 간의 계층 구조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시맨틱 웹 상에서 데이타의 효율적인 검색을 위해서는 계층적 구조를 고려한 효율적인 OWL 저장 모델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OWL 데이타의 클래스/프로퍼티들 간 계층 정보를 XPath 형태로 포함하며,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질의 처리가 가능한 저장 모델(XPOS Model) 및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 모델, Sesame, XML 저장소 기반 저장 시스템을 질의 처리 측면에서 성능에 대한 비교 평가 결과를 보인다.

계층적 상황 온톨로지 관리를 이용한 상황 인식 서비스 미들웨어 설계 (Design of Context Awareness Middleware based Hierarchical Context Ontology Management)

  • 이승근;김영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85-194
    • /
    • 2006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는 기존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자와 컴퓨터간의 대화형 상호작용이 아니라 물리적인 환경, 상황 등을 시스템이 인식하고 이에 따라서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지원하는 상황 인식서비스가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상황 인식 서비스는 상황 인식 미들웨어로부터 전달된 상황 정보를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기존 연구에서 상황 인식 서비스는 상황 인식 미들웨어에서 사용하는 상황 온톨로지를 이용해서 설계되기 때문에 서비스의 실행도중 상황 온톨로지를 동적으로 변경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계층적 상황 온톨로지 관리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한 상황 인식 서비스 미들웨어를 설계한다. 제안한 모델은 상황 인식 서비스가 실행 중에 필요로 하는 상황 정보를 동적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유연하게 상황 인식 서비스를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상황 온톨로지의 동적인 변화로 인해서 센서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상황 정보로 추론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 모호성(Context Uncertainty)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황 충돌 해결 모델을 정의한다. 설계하는 미들웨어는 OSGi 프레임워크 위에서 구현함으로써 다양한 유비쿼터스 환경에 필요한 상황 인식 서비스의 개발 및 운용을 효과적으로 지원을 할 수 있다.

  • PDF

계층적으로 구조화된 이러닝 시스템을 위한 질의 처리 기법 (A Query Processing Method for Hierarchical Structured e-Learning System)

  • 김연희;김지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89-20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학습 객체 메타데이터 형식들을 통합하여 상호운용성을 제공하면서 대학 강좌를 위한 학습 객체의 메타데이터를 기술할 때 사용되는 개념과 개념들 간의 의미적 관계를 정의하는 온톨로지를 설계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 형식을 이용해 학습 객체의 메타데이터를 기술하는 여러 지역 저장소에 대해 효율적인 학습 객체 검색이 가능하도록 계층적으로 구조화된 이러닝 시스템을 구성하고 추론에 기반한 질의 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계층적으로 구조화된 이러닝 시스템에서 학습 객체 온톨로지를 이용한 질의 처리 기법을 적용하면 사용자 질의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학습 객체와 함께 의미적 연관성이 추론된 학습 객체도 검색되어 보다 정확하고 만족도 높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tegrative Analysis of Microarray Data with Gene Ontology to Select Perturbed Molecular Functions using Gene Ontology Functional Code

  • Kim, Chang-Sik;Choi, Ji-Won;Yoon, Suk-Joon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7권2호
    • /
    • pp.122-130
    • /
    • 2009
  • A systems biology approach for the identification of perturbed molecular functions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complex progressive disease such as breast cancer.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microarray data with Gene Ontology terms of molecular functions to select perturbed molecular functional modules in breast cancer tissues based on the definition of Gene ontology Functional Code. The Gene Ontology is three structured vocabularies describing genes and its products in terms of their associated biological processes, cellular components and molecular functions. The Gene Ontology is hierarchically classified as a directed acyclic graph. However, it is difficult to visualize Gene Ontology as a directed tree since a Gene Ontology term may have more than one parent by providing multiple paths from the root. Therefore, we applied the definition of Gene Ontology codes by defining one or more GO code(s) to each GO term to visualize th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of GO terms as a network. The selected molecular functions could be considered as perturbed molecular functional modules that putatively contributes to the progression of disease. We evaluated the method by analyzing microarray dataset of breast cancer tissues; i.e., normal and invasive breast cancer tissues. Based on the integration approach, we selected several interesting perturbed molecular functions that are implicated in the progression of breast cancers. Moreover, these selected molecular functions include several known breast cancer-related genes. It is concluded from this study that the present strategy is capable of selecting perturbed molecular functions that putatively play roles in the progression of diseases and provides an improved interpretability of GO terms based on the definition of Gene Ontology codes.

온톨로지 기반의 용어 정의 비교 및 유사도를 고려한 의미 매핑 (Semantic Mapping of Terms Based on Their Ontological Definitions and Similarities)

  • 정원철;이재현;서효원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211-222
    • /
    • 2006
  • In collaborative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hat the participants in collaboration should share the same understanding about the semantics of terms. For example, they should know that 'COMPONENT' and 'ITEM' are different word-expressions for the same meaning. In order to handle such problems in information sharing, an information system needs to automatically recognize that the terms have the same semantics. So we develop an algorithm mapping two terms based on their ontological definitions and their similarities.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four steps: the character matching, the inferencing, the definition comparing and the similarity checking. In the similarity checking step, we consider relation similarity and hierarchical similarity. The algorithm is very primitive, but it shows the possibility of semi-automatic mapping using ontology. In addition, we design a mapping procedure for a mapping system, called SOM (semantic ontology mapper).

상황 인식 환경에서 온톨로지를 이용한 프로액티브 검색 기법 (Proactive Retrieval Method using Ontology in Context-aware Environment)

  • 김성림;권준희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4권3호
    • /
    • pp.8-13
    • /
    • 2007
  • 상황 인식 환경에서는 물리적인 환경, 상황 등을 시스템이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상황 인식 기술이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온톨로지 기반의 상황 정보 모델은 상황정보의 공유와 재사용의 이점을 제공하기 때문에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황 인식 환경에서 온톨로지를 이용한 새로운 프로액티브 검색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온톨로지의 계층적 개념 트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정보의 개념 수준을 결정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검색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제안된 기법을 설명하고, 실험을 통해 기존 기법보다 제안 기법이 우수함을 보인다.

의미관계 정보를 이용한 약품 온톨로지의 구축과 활용 (Medicine Ontology Building based on Semantic Relation and Its Application)

  • 임수연;박성배;이상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5호
    • /
    • pp.428-437
    • /
    • 2005
  • 온톨로지는 주어진 응용 도메인의 특성을 나타내는 관련 개념들의 집합과 정의, 그리고 그들간의 관계로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를 구축하고 갱신할 때의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텍스트의 분석결과를 이용한 도메인 온톨로지의 반자동 구축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관련 문서들 내에 출현한 전문용어들의 처리방안을 제시하고, 추출한 개념들과 그들간의 관계를 온톨로지의 구축에 활용한다. 실험 도메인은 약품분야로 정하였으며, 구축한 온톨로지는 문서의 검색에 활용하였다. 온톨로지 내의 계층관계들이 문서검색에 효용이 있음을 보이기 위하여 일반적인 키워드기반 문서검색과 온톨로지 내의 관련 정보들을 연관피드백에 이용한 온톨로지기반 문서검색을 비교한 결과, 후자의 경우 정확률이 $4.97\%$, 재현율이 $0.78\%$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보안을 위한 공격 행위 감지 메타-모델링 (Meta-Modeling to Detect Attack Behavior for Security)

  • 온진호;최영복;이문근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1권12호
    • /
    • pp.1035-1049
    • /
    • 2014
  • 본 논문은 행위 온톨로지(Behavior Ontology)의 개념을 기반으로 한 보안-중심 시스템 안의 공격 패턴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보안-중심 시스템들은 매우 규모가 크고 복잡하며, 가능한 모든 방법으로 공격자에 의해 공격된다. 그러므로, 공격 감지를 위한 몇 가지의 구조적 방법을 통해 다양한 공격들을 감지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다. 본 논문은 행위 온톨로지를 통하여 이러한 문제를 극복한다. 시스템 안의 공격의 패턴들은 시스템의 클래스 온톨로지에서 정의된 행동(Action)들을 순서에 따라 나열함으로써 정의된다. 공격 패턴이 행동들의 순서로 정의됨으로써 격자와 같이 포함관계를 기반으로 한 계층적인 순서로 추상화될 수 있다. 공격 패턴을 위한 행위 온톨로지가 정의되면, 대상 시스템 안의 공격들은 온톨로지의 구조 안에서 의미적이고 계층적으로 감지될 수 있다. 다른 공격 분석 모델들과 비교해보면, 본 논문에서의 행위 온톨로지를 통한 분석은 시간과 공간적으로 매우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