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xane

검색결과 2,321건 처리시간 0.04초

n-hexane 과 tetrachlorodiphenyl 이 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hexane and tetrachlorodiphenyl on chicken)

  • 윤석봉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9-81
    • /
    • 1971
  • The effects of n-hexane and tetrachlorodiphenyl on the growth rate, the blood picture and histopathological change induced were observed in chicken. A total of 350 chicken were fed various daily dosages of n-hexane and tetrachlorodiphenyl for the experimental period of 60 day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growth rate of chicken in the group fed 100 ppm of tetrachlorodiphenyl was reduced (p<0.05). However no significant results were observed in the other dosage groups. 2. The reduction of the growth rate was found only in the liver and the kidney but not found in the other orgns. 3. No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number of erythrocytes and hematocrit value. However, the number of leukcocytes of chicken in the group fed 100 ppm of tetrachlorodiphenyl was significantly low. 4. In both n-hexane and tetrachlorodiphenyl groups, the number of lymphocytes was found to decrease but the number of basophiles and eosinophiles were found to increase (p<0.05). 5. All the chicken fed 300 ppm of tetrachlorodiphenyl died between 7th and 9th days. 6. Fatty change of hepatic cells and cloudy swelling of epithelia of renal tubules were found in the group fed 0.5 ml of n-hexane. However, in the group fed more the 100 ppm, fatty change of hepatic cells was followed by necrosis and comparatively severe cloudy swelling was found in epithelia of renal tubules.

  • PDF

바이오매스 유래 파클리탁셀의 경제적인 회수를 위한 물과 헥산의 순차적 세척 방법 (A Tandem Water and Hexane Washing Method for Economical Recovery of Paclitaxel from Biomass)

  • 이명기;김진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169-17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Taxus chinensis 유래 파클리탁셀의 회수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물 및 헥산의 순차적 세척 공정을 개발하였다. 물 세척은 시료/물 비 1:40 (w/v)에서 10 분 동안 세척함으로써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극성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헥산 세척은 시료/헥산 비 1:160 (w/v)에서 20 분 동안 세척함으로써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비극성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물과 헥산의 순차적 세척을 통하여 비교적 짧은 공정 시간(~30 분)에 파클리탁셀 순도 30% 이상을 얻을 수 있었다.

토양 중 dioxin-like PCBs의 분석 (Analysis of dioxin-like PCBs in Soil samples)

  • 김교근;신선경;김태승;장준영;김정규
    • 분석과학
    • /
    • 제15권5호
    • /
    • pp.466-474
    • /
    • 2002
  • 토양에 잔류하는 화학물질로서 지속적으로 토양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PCBs에 대한 분석을 위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유기화합물질 중 coplanar PCBs 분석을 위한 용매별 용출패턴 특성을 조사하였고, 이화학적 특성이 다른 우리나라 토양 중 PCBs 분석에 미치는 용매별 추출효율을 조사하였다. 토양 중 14종의 coplanar PCBs 용매별 추출효율은, 톨루엔의 경우 토양 A, 토양 B 및 토양 C에 대하여 평균회수율은 각각 84.25%, 56.09% 및 44.69%로 나타났다. 아세톤 : 헥산 (1:1)의 경우에는 토양에 따라 각각 52.56%, 81.42% 및 58.53%로 나타났으며, 디클로로메탄의 경우에는 각각 55.94%, 71.33% 및 61.05%로 나타났다. 추출효율에 대한 염화물의 치환수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 및 질소화합물 등 이온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토양에는 극성이 큰 용매인 아세톤:헥산 혼합용매가 가장 높은 회수율을 나타났으며, 반면에 토양 A와 같이 인 및 질소화합물의 함량이 작고 점토질인 토양에는 톨루엔과 같은 비극성용매의 추출효율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또한, 정제컬럼별 용출효율은 실리카겔, 플로리실 및 알루미나가 49.99%, 69.65% 그리고 65.23%로 나타났다.

Endothelin-1 생성 저해와 멜라닌생성 저해에 의한 신선초 추출물의 미백 효과 (Whitening Effect of Angelica keiskei Koidzumi Extract by Inhibition of Endothelin-1 Production and Melanogenesis)

  • 박선희;이방용;한창성;김진국;김경태;김기호;김영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1-107
    • /
    • 2008
  • 신선초 추출물 및 그의 분획물의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16 멜라노마와 정상 사람 표피 세포를 이용하여 멜라닌 생성에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70% ethanol 용매로 추출한 신선초 추출물을 연속적으로 분획하여 hexane, ethyl acetate, n-butanol, 물 분획물을 얻었다. 버섯 티로시나제 활성 실험에서 신선초 추출물 및 그의 분획물은 저해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B16 멜라노마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실험에서는 hexane 분획물과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억제 효과를 보였다. 세포내 멜라닌 생성의 초기 단계에 작용하는 티로시나제 단백질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 hexane 분획($IC_{50}$ < $25{\mu}g/mL$)과 ethyl acetate분획($IC_{50}$ < $5{\mu}g/mL$)은 알부틴($IC_{50}{\leq}250{\mu}g/mL$)과 비교 시 더 낮은 농도에서 현저하게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시켰다. 따라서 신선초 추출물의 미백 작용 기전을 규명하기 위하여, 멜라노 사이트의 mitogen으로 작용하는 endothelin-1(ET-1)과 UVB에 의해 생성되어 염증을 매개하는 interleukin-$1{\alpha}$(IL-$1{\alpha})$의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Hexane 및 ethyl acetate 분획물은 IL-$1{\alpha}$의 생성에 영향을 끼치지 못했으나, 표피세포에서 UVB에 의해 생성된 ET-1을 농도에 따라 감소시킴으로써 멜라노사이트의 melanogenesis를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신선초 추출물은 미백 효능을 갖는 화장품 소재로써 사용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식품의 주요 성분이 예덕나무 헥산추출물의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 of Major Food Components on the Activity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 from n-Hexane Fraction of Mallotus japonicus Muell on Listeria monocytogenes)

  • 안용선;신동화;김용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69-476
    • /
    • 2000
  • 식품의 주요성분이 항균 활성 분획물의 항균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액체 배지에 casein, soybean oil 및 soluble starch를 일정 수준으로 첨가하여 최종 농도를 1% 및 3%로 조정한 후 항균 활성이 우수한 예덕나무 조 추출물인 hexane 분획물 및 linolenic acid를 50 ppm 및 1,000 ppm 수준으로 첨가한 액체 배지에 L. monocytogenes 2 균주를 접종, $30^{\circ}C$에서 72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생균수를 계수하였다. Hexane 분획물 1,000 ppm과 3% casein이 첨가된 처리구는 초기 균수가 $10^7\;CFU/mL$ 수준이었으나 72시간에서 $10^8\;CFU/mL$ 수준으로 증식하여 hexane 분획물 1,000 ppm의 항균 활성은 3% casein에 의해 완전히 저해되었으며, linolenic acid 1,000 ppm의 항균 활성은 3% casein에 의해 활성이 부분적으로 저해되었다. Soybean oil(1%, 3%)의 경우 linolenic acid 1,000 ppm의 항균 활성은 3% soybean oil에 의해 활성이 부분적으로 저해되었으며, soluble starch(1%, 3%)와 hexane 분획물 1,000 ppm이 첨가된 처리구는 48시간 이후 균이 검출되지 않거나(1% soluble starch), 또는 5 log cycle 정도 감소하였으며(3% soluble starch), soluble starch(1%, 3%)와 linolenic acid 1,000 ppm이 첨가된 처리구는 48시간 이후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soluble starch(1%, 3%)는 hexane 분획물 1,000 ppm 및 linolenic acid 1,000 ppm의 항균 활성을 저해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홍만병초 분획물에 의한 HT-29대장암 세포의 Wnt/β-catenin 신호전달 조절 (Regulation of Wnt/β-catenin Signal Transduction in HT-29 Colon Cancer Cells by a Rhododendron brachycarpum Fraction)

  • 심보람;남영선;이자복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871-87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Rhododendron brachycarpum (RB, 홍만병초)의 80%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암 활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RB n-hexane 분획물은 HT-29 세포에서 가장 높은 활성 저해를 보였다($IC_{50}=20.2{\pm}1.2{\mu}g/ml$). 더욱이, 콜로니와 구형 형성은 수와 크기는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RB의 n-hexane 분획물에서($0.22{\pm}0.02$ fold change) TOP / FOP 플래시 리포터 억제 활성은 추출물 및 다른 분획물 보다 낮게 나타났다. n-hexane 및 ethyl acetate 분획물은 세포 내 ${\beta}-catenin$의 발현을 조절하였다. 2 차 대사 산물이 ${\beta}-catenin$ 분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실시한 결과 n-hexane 분획물에서 $p-GSK3{\beta}$를 조절하였으며, 세포내 ${\beta}-catenin$은 핵에서 정량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는 RB의 n-hexane 분획물로부터 천연 항암 물질을 포함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In vitro Antibacterial and Synergistic Activity of an Ecklonia cava Extract against Anti biotic-Resistant Streptococcus parauberis

  • Eom, Sung-Hwan;Santos, Jeniel A.;Kim, Ji-Hoon;Jung, Won-Kyo;Kim, Do-Hyung;Kim, Young-Mo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8권3호
    • /
    • pp.241-247
    • /
    • 2015
  • In an effort to discover alternative phytotherapeutic antimicrobial agents to combat Streptococcus parauberis, a fish pathogenic bacterium, we evaluat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seaweed extracts in vitro. A methanolic extract of Ecklonia cava exhibited stro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 parauberis isolated from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urthermore, the n-hexane soluble (Hexane) fraction of the E. cava methanolic extract exhibited the greatest antibacterial effect on S. parauberis strains with a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ranging from 256 to $1,024{\mu}g/mL$. In addition, the MIC values of oxytetracycline against antibiotic-resistant S. parauberis were markedly reduced up to 64-fold in combination with the Hexane fraction, suggesting that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antibiotic was restored when combined with the Hexane fraction. The interaction between both antibiotics and the Hexane fraction was assessed by the fractional inhibitory concentration (FIC) index. The Hexane fraction and oxytetracycline combination against antibiotic-resistant S. parauberis strains resulted in a median ${\sum}FIC$ range of 0.502 to 0.516. Thus, the synergistic ranges of median ${\sum}FIC$ < 1 were observed for all combinations of the Hexane fraction and oxytetracycline against S. parauberi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indicating the efficacy of an E. cava extract against fish pathogenic bacterium S. parauberis.

로즈마리(Rosmarinus offcinalis L.) 분획물의 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 및 세포사멸 유도 효과 (Effect of Rosmarinus officinalis L. on Growth Inhibition and Apoptosis Induction in Cancer Cells)

  • 최준혁;김혁일;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1008-1015
    • /
    • 2009
  • 최근 다방면에서 효능이 알려지고 있는 로즈마리를 이용하여 apoptosis 유도기전을 해석하기 위하여 인간유래 자궁암 Hela 세포주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로즈마리 분획물 중 hexane층과 chloroform층의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Hela 자궁암세포의 저해활성은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이는 apoptosis 유도와 연관성이 있었다. 로즈마리 분획물 중 hexane층과 chloroform층의 처리에 의하여 apoptosis 억제에 관여하는 Bcl-2 단백질의 발현은 감소되었으며, apoptosis 유도에 관여하는 Bax 유전자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로즈마리 분획물 중 hexane층과 chloroform층의 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도는 caspase-3, 7, 9 및 PARP의 활성화와 연관성이 있었다.

Extracts from Pinus densiflora Siebold et Zuccarini Sawdust Inhibit the Mycelial Growth of Lentinus edodes (Berk.) Sing., Edible Mushroom

  • Hong, Seong-Cheol;Choi, Myung-Suk;Lim, Bu-Kug;Lee, Jong-Yoon;Rinker, Danny L.;Yang, Jae-Kyung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349-354
    • /
    • 2004
  • The extracts of Pinus densiflora sawdust by n hexane, ethyl acetate and methanol solvent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their mycelial growth inhibition against Lentinus edodes. The yields of n hexane soluble fraction,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 and methanol soluble fraction from P. densiflora sawdust were obtained 1.36%, 2.21% and 4.03% using organic solvent, respectively. The mycelial growth inhibition of L. edodes was the greatest for n hexane extract, ranging from 36.5% to 47.6% at concentrations of 125 ppm to 1,000 ppm, with the values for all concentration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After direct extraction of P. densiflora sawdust using n hexane, ethyl acetate and methanol, each extract was separated into three fractions by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then the fractions were isolated on the values of $R_f$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The mycelial growth inhibition against L. edodes was recognized in the fractions II (33.5%) and III (37.6%) of n hexane extract, the fraction II (21.4%) of ethyl acetate extract and the fraction II (26.4%) of methanol extract. The fractions III of n-hexane extract showed the highest growth inhibition among the nine fractions of the organic solvent extract.

작약 추출물의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성 및 구강암 세포 증식 억제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Oral Microbes and Growth-inhibitory Effect on Oral Tumor Cell by Extract of Paeonia lactiflora)

  • 박현숙;민경진;차춘근;송진욱;손진창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1-29
    • /
    • 2007
  • Paeonia lactiflora was stepwise extracted with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Anti-microbial activity of each extract was investigated. Methanol extract of P. lactiflora reveal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 mutans, C. albicans, and S. aureus. Also, hexane fraction reveal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 mutans and ethyl acetate fraction acted as potent anti-microbial agent on C. albicans and S. aureus. The relative growth ratio(RGR) of hexane fraction of P. lactiflora against S. mutans were determined as 77.8% in concentration of 0.125 mg/ml, 98.46% in 0.25 mg/ml and 100% in 0.5 mg/ml.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P. lactiflora revealed RGR against C. albicans as 52.5% in concentration of 0.125 mg/ml, 60.83% in 0.25 mg/ml and 78.33% in 0.5 mg/ml. It indicate that increasing concentration increase RGR. The measured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 of hexane fraction on S. mutans KCTC 5316 strain was 0.5 mg/ml and MIC of ethyl acetate fraction on C. albicans KCTC 7270 was 2.0 mg/ml. The experiment of inhibition to growth of KB roll(oral squamous cell carcinoma) result 61.9% in butanol, 76.7% in hexane extract of P. lactiflora. The hexane extract exhibit potent inhibition effect to the growth of KB ce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exane extract of Paeonia lactiflora has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 mutans and has preventive effect to dental caries in addition to potent inhibition to KB cell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