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terotrophic bacteria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3초

낙동강 하구 생태계의 종속영양세균의 군집구조 분석 및 수리학적 분류 (Characterization and Numerical Taxonomy of Heterotrophic Bacterial Community in Naktong Estuarine Ecosystem)

  • 귄오섭;조경제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44-449
    • /
    • 1992
  • 낙동강 하구생태계에 분포한 종속영양세균의 환경 변화에 따른 군집구조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총 858 균주를 분리하여 수리학적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종의 다양성(H') 은 1.54-3.49 로, 하구언 건설 전의 수치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균등성지수(evenness index)(J') 는 0.31-0.80 으로 감소하였다. Physiological tolerance index 중 수온에 대한 지수(P') 는 수심이 얕은 정점에서, pH 와 염분에 대한 $P_{h}$$P_{s}$ 는 담수와 해수가 교차하는 정점에서 높았다. 우점의 cluster 를 속 (genus) 수준에서 동정한 결과 Aeromonas, Vibrio, Pseudomonas, Acinetobacter-Morexella, Alcaligenes, Flavobacterium, Micrococcaceae, Enterobacteriaceae 등으로 분류되어 하구언 축조 전과 동일한 종류의 세균뷴포를 나타냈으나 그 출현비율은 달랐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하구언 축조 등에 따른 낙동강 하구역의 환경변화는 분포세균의 종류보다는 생리적 특셩에 영양을 미쳐 특정종의 우점을 나타나게 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reservation of Marine Heterotrophic Bacteria by Using a Deep-freezing Method

  • Park, Shin-Hye;Lee, Hyun-Sang;Lee, Hong-Kum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9권3호
    • /
    • pp.240-243
    • /
    • 2001
  • The effect of cryoprotectants and suspending solutions on the preservation of marine heterotophic bacteria was investigated. Six halotolerant and four halophilic bacterial isolates suspended in either distilled water or artificial seawater were preserved in glycerol and dimethylsulfoxide at -70$\^{C}$, respectively. After one year of preservation, the recovery rates on the appropriate agar plates were estimated. The survival rate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strain tested, regardless of the preservation conditions tested.

  • PDF

경기만의 종속영양 세균군집의 분포 및 활성 (Distribution and Activity of Heterotrophic Bacterial Communities in Kyeonggi Bay, Korea)

  • 강찬수;이기승;김명운;권개경;김용학;박성주;이건형;김상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24-330
    • /
    • 1990
  • The distribution of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and microbiological factors was studied at 6 sampling sites in Kyeongge Bay of Yellow Sea from October 1989 to October 1990. The total bacterial number, saprophytic bacterial number, petroleum-degrading bacterial number, bacterial biomass, and bacterial secondary production were measured in the range of 0.09~1.24*10$^{7}$ cells/ml, 7~60000 CFUs/ml, 0~240 cells/ml, 14.16~301 .$\mu$g-C/l, and 0.13~11.82 mg-C/m$^{3}$/hr, respectively. The turnover times of $^{3}$H-glucose and $^{3}$H-acetate were in range of 6.5~6984 and 41~24897 hours, respectivel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l communities were hightly affected by influx of organic pollutants from the coastal area and the seawater exchange with offshore.

  • PDF

음식물류폐기물의 호기성 퇴비화에 있어서 팽화재 투입비에 따른 타가영양세균의 균락형성단위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ation of Colony Forming Units of Heterotrophic Bacteria by Input Ratios of Bulking Materials in Aerobic Composting of Food Wastes)

  • 박석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53-358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put ratios of bulking material in aerobic composting of food wastes on variation of colony forming units of heterotrophic bacteria. Wood chips were used as a bulking material. Volume ratios of food wastes to wood chips in reactor of Control, WC-1 and WC-2 were 10/0, 10/5 and 10/10, respectively. Reactors were operated for 24 days with 1hour stirring by 1rpm and 2 hours of the forced aeration per day. WC-2 reached high temperature range faster than WC-1, and the maximum temperature of WC-2 was higher than that of WC-1. This means that the reaction velocity of composting of WC-2 was faster than that of WC-1. Judging from the profile of pH changes, composting of WC-1 proceeded slowly and continuously. Composting of WC-2 proceeded rapidly in the former half reaction period, and kept steady state of high pH in the latter half reaction period. Namely, composting of WC-2 was nearly completed in the former half reaction period. In the case of WC-1 and WC-2. the maximum temperature was followed by the rapid pH increase in 2-3 days, and this was followed by the maximum Colony Forming Units(CFU) in 3 days. But, these three items of WC-2 always appeared faster and higher than those of WC-1.

군산 내만의 해양수에서 분리되는 세균의 분포 (The Distribution of Bacterial Flora in Kunsan bay)

  • 최민순;심현빈;정경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7-73
    • /
    • 2000
  • 군산내만 해역의 해양생태계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금강 하구둑부터 외항까지 5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종속영양 세균상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으로부터 123개의 집락을 분리-동정한 결과 Vibrio spp.(44주, 35.7%), 및 Pseudomonas spp.(42주, 34.1%), 균종이 비교적 높게 출현하였고 Aeromonas spp.(11주, 8.9%), Moraxella spp.(9주, 7.3%), Escherichia coli.(6주, 4.8%), Bordetella spp.(3주, 2.4%), Alkaligenesis spp.(3주, 2.4%), Flavobacterium spp.(2주, 1.6%), and Staphylococcus spp.(3주, 2.4%)등은 낮은 출현율을 나타냈다. 한편, 각 총 정점의 생균수는 $5{\times}10^3\sim1{\times}10^5$ CFU/ml이었으며, 생활 하수가 많이 유입되는 지역(정점 2.3)이 강 하구 및 외항지역보다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의 생활 오.하수 및 산업 부산물 등의 유입으로 내만의 수질 악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양식사업에 있어서 문제시 되고 있는 어류의 세균성 질병의 발생이 증가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 PDF

Assessment of microbial quality in household water tanks in Dubai, United Arab Emirates

  • Khan, Munawwar Ali;AlMadani, Asma Mohammad Abdulrahman Ahmad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55-60
    • /
    • 2017
  • Provision of safe, accessible, and good water quality in the community is an important step towards reducing various waterborne illnesses. However, improving the quality of water should include spreading awareness to the public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leaning their household water tank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crobial quality of water of household water tanks in Dubai. The water samples from household water tanks were collected from forty houses, and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the residents to determine the history of the water tanks. The membrane filtration technique was used to quantify heterotrophic and total coliform bacteria on plate count agar and the violet red bile agar respectively.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n that 18 out of total 40 household water tanks contained different types of bacteria concentration level beyond local and widely accepted international standards. The overall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among resident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proper sanitation and hygiene of the household water tanks.

마산만과 행암만 수층의 종속양양세균과 엽록소 a 함량 분포에 미치는 환경요인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Distribu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 and Chlorophyll a Content in The)

  • 손재학;안태영;김상진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65-75
    • /
    • 2000
  • 1996년 6월부터 11월까지 적조가 빈번히 발생하는 해역인 행암만과 마산만을 대상으로 종속 영양세균과 엽록소 a 함량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역할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마산만과 행암만의 수계환경은 무기영양염의 함량이 뚜렷한 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행암만은 질소영양염이 제한된 수계환경이고, 마산만은 담수의 유입이 많은 초여름과 가을에 인에 비하여 질소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 행암만에 비해 인 영양염이 제한되는 수계환경특성을 갖고 있다. 단순회귀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엽록소 a는 행암만에서 강수량 (r=0.813, P<0.05), 인 (r=0.846, P<0.05)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마산만에서는 다른 환경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종속영양세균은 행암만 (규산염 규소, r=0.960, P<0.01) 보다 마산만 (강수량, r=0.990, P<0.01 : NO₃-N, r=0.901, P<0.05, 용존성 무기질소, r=0.899, P<0.05 ;N/P mole 비, r=0.952, P<0.05 : 염분, r=-0.934, P<0.05)에서 많은 환경변수들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중회귀분석에 의하면, 엽록소 a는 마산만에서 규산염 규소에 의해 67.8%의 중요도를 나타내었으며 행암만에서 N/P 비에 의해 37.6%의 중요도를 나타내었다. 종속영양세균의 분포는 마산만에서 규산염 규소와 염분에 의해 각각 42.3%와 32.1%의 중요도를 나타내었으며, 행암만에서 규산염 규소에 의해 76.3%의 중요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초여름과 가을사이에 행암만과 마산만에서 담수의 유입은 풍부한 영양원, 유기물과 용존성 무기질소의 증가를 유도하였으며 종속영양세균과 엽록소 a 함량의 변화를 지배하는 주된 환경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서해산 김 엽체상의 미소생물과 김의 병해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II. 목포 인근 김 양식장 주변해수에서의 종속영양세균의 계절적 변화-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piphytic Microbes and the Blight of Porphyra Species from the Coastal Waters of the Yellow Sea, Korea -II. Seasonal Varia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 in the Surrounding Seawater of Porphyra Farming Area Near Mokp'o-)

  • 김정희;이건형;신윤근;김중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07-313
    • /
    • 1992
  • 1990년 2월부터 12월에 걸쳐 목포 인근수역에서 김 양식장 주변해수에 분포하는 종속영양 세균의 계절적 속조성의 변화를 미생물 생태학적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중 해수에 나타난 종속영양 세균의 년중 분포는 $1.05\times10^2-1.46\times10^5$\;cfu/ml$ 에서 변화하였으며, 생리적 특성세균의 년중 분포는 단백질 분해세균의 경우, $5.0\times10-4.34\times10^4\;cfu/ml,$ 지방 분해세균은 $0-1.35\times10^4\;cfu/ml,$ 전분 분해세균은 $0-1.2\times10^4\;cfu/ml,$ 의 범주에서 분포하였다. 주변해수에서 분포하는 종속영양 세균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간균이 $65\%$를 차지하였고, $76.7\%$가 그람 음성으로 나타났다. 분리된 균주의 대부분은 중온성이었으며, 다양한 탄소원을 이용할 수 있었고, 염분내성범위가 넓었다. 또한 우점속은 2월에는 Flavobacterium spp., 3월에는 Acinetobacter spp., Moraxella spp., 7월에는 Vibrio spp., Chromobacterium spp., Micrococcus spp., Bacillus spp., 11월에는 Chromobacterium spp., Micrococcus spp., Bacillus spp. 등이 출현하여 조사시기와 조사정점에 따라 우점속의 차이를 보였다.

  • PDF

포항근해 원유분해세균의 분포 및 원유분해능 (Distribution and Biodegradation of Crude oil-Degrading Bacteria in P'ohang Coastal Area)

  • 이창호;권기석;서현호;김희식;오희목;윤병대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35-42
    • /
    • 1996
  • 포항근해의 정점을 대상으로 1995년 4월부터 1996년 1월까지 3개월 간격으로 종속영양세균과 원유분해세균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또한, 분리된 원유분해세균의 단일 및 혼합배양을 통하여 원유분해능도 조사하였다. 종속영양세균의 분포는 4.1 $\times$ $10^4$ - 1.2 $\times$ $10^5$ CFU/$m\ell$ 이었으며 종속영양세균에 대한 원유분해세균의 분포비는 0.05 -0.54%로서 지금까지 보필된 타지역보다 낮은 수치였다. 이 결과에서 포항근해의 원유분해세균의 분포는 육지로부터 유입되는 석유계 탄화수소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것으로 사료된다. 원유분해능이 우수한 26 균주를 분리.동정한 결과 Acinetobacter spp., Bacillus spp., Citrobacter spp., Micrococcus spp., Moraxella spp., Rhodococcus spp., 그리고 Berratia spp. 등의 7개 속이 나타났고, 장내세균의 출현은 해수내 오수의 유입을 반영하고 있었다. 또한 Bacillus 속 균주가 포항근해의 원유분해세균의 우점종으로 밝혀졌다. 원유분해세균을 이용한 플라스크 배양에서 원유분해는 혼합배양에 의해 증가하였다.

  • PDF

간척지토양(干拓地土壤)의 수도근권(水稻根圈)에서 협생질소고정(協生窒素固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II 보(報). 혈청면역학적(血淸免疫學的) 방법(方法)에 의한 협생질소고정세균(協生窒素固定細菌)의 분리(分離) (Associated Nitrogen Fixation in the Rhizosphere of Rice in Saline and Reclaimed Saline Paddy Soil -II. Identification of associative heterotrophic nitrogen fixing bacteria in histosphere of grasses and rice)

  • 이상규;서장선;고재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3-197
    • /
    • 1987
  • 우리나라 서남해(西南海) 간사지(干瀉地) 및 간척답토양(干拓沓土壤)에서 자생(自生)하는 벼과(科)(5종(種)), 석죽과(科)(2종(種)), 질경이과(科)(2종(種))식물(植物) 및 수도(水稻)(2품종(品種))의 뿌리에서 협생질소고정균(協生窒素固定菌)의 분리동정(分離同定)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답(水沓) 및 자생식물(自生植物)뿌리에서 24종(種)의 질소고정능(窒素固定能)이 높은 협생질소고정균(協生窒素固定菌)을 분리(分離)하였으며 분리(分離)된 세균(細菌)은 8종(種)의 Azospirillum 속(屬), 11종(種)의 Pseudomonas 속(屬), 2종(種)의 Agrobacterium 속(屬) 그리고 2종(種)의 Klebsiella 속(屬)의 세균(細菌)으로서 대체(大體)로 Azospirillum 속(屬)과 Pseudomonas 속(屬)의 세균(細菌)이 많았다. 2. 각종식물별(各種植物別) 협생질소고정균(協生窒素固定菌)의 종류(種類)는 수도(水稻)와 큰 개미자리 뿌리에서 Azospirillum 속(屬), Pseudomonas 속(屬), Agrobacterium 속(屬) 그리고 Klebsiella 속(屬)의 세균(細菌)이 갯쇠보리, 창질경이, 털질경이, 각시미꾸리광이, 및 물억새 뿌리에서 Pseudomonas 속(屬), 그리고 갯잔디에서 Azospirillum 속(屬)의 세균(細菌)이 각각(各各) 분리(分離)되었는데 그중 수도(水稻)와 큰개미자리가 타식물(他植物)뿌리보다 협생질소고정균(協生窒素固定菌)의 종류(種類)가 많았다. 3. 간척지토양수도(干拓地土壤水稻) 및 식물(植物)뿌리에서 분리(分離)된 세균(細菌)의 혈청면역학적동정결과(血淸免疫學的同定結果) 이들 협생질소고정균(協生窒素固定菌은 Azospirillum lipoferum, Pseudomonas sp, Agrobacterium radiobader, 및 Klebsiella planticola 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