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speridin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35초

Effect of High Speed Drying on Antioxidant Properties of Enzymatic Digests from Citrus By-products and Their Protective Effect on DNA Damage Induced by $H_2O_2$

  • Senevirathne, Mahinda;Kim, Soo-Hyun;Um, Byung-Hun;Lee, Jung-Suk;Ha, Jin-Hwan;Lee, Won-Woo;Jeon, You-J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3호
    • /
    • pp.672-681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nzymatic digests from citrus by-products (CBPs) prepared by high speed drying (HSD). HSD needs a short time (60 min) for drying and can be used in a commercial scale. Enzymatic digests were prepared from the CBPs using 6 enzymes such as aminoglucosidase (AMG), celluclast, pectinex, termamyl, ultraflo, and viscozyme. Antioxidant activities of AMG digest from CBPs were evaluated by different in vitro models such a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hydroxyl, alkyl, $H_2O_2$ scavenging, metal chelating, lipid peroxidation, and comet assays, and exhibited strong activities. The antioxidant compounds were detected by an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coupled on-line to an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scavenging detection system, and found that hesperidin was the key compound. Therefore,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HSD is an effective method to transform wet CBPs into dried form, and CBPs are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

자몽껍질 유래 플라바논의 최적 추출 및 기능성 소재 캡슐화 (Optimum Conditions for Extracting Flavanones from Grapefruit Peels and Encapsulation of Extracts)

  • 고민정;권혜림;정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65-469
    • /
    • 2014
  • 버려지는 자몽 껍질에 다량 함유되어있는 플라바논을 추출하여 기능성 성분을 재이용하였다. 친환경용매인 아임계수 추출기술을 이용하여 $170^{\circ}C$, 10 min의 최적 조건에서 추출함으로써 무독성 용매로 빠르고 경제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자몽껍질 추출물을 ${\beta}$-cyclodextrin을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플라바논과 같은 비극성 물질을 캡슐화하여 소재의 가용화를 용이하게 하였다. 이것은 항산화 기능이 향상된 대체 소재의 개발 및 건강지향식품에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세계 기능성 식품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한 발판으로도 삼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 감귤식초 발효균주 선발 (Sensory Characteristics of Citrus Vinegar fermented by Gluconacetobacter hansenii CV1)

  • 김미림;최경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43-249
    • /
    • 2005
  • 제주산 감귤과즙을 이용하여 감귤식초를 제조할 목적으로 식초산 발효균 CV1과 CV2를 분리하고 식초산 생성능력을 산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균주와 비교 검정하고 165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동정하였다. 분리균은 8일간의 발효에 의하여 산도 $5.5\%$ 이상의 식초산을 생성하였으며, 감귤식초 발효에는 사과식초나 감식초 발효에 이용되고 있는 균주 보다 더욱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분리한 균주는 Gluconacetobacter hanenii(CV2) 및 G. hanenii의 변이주(CV1)로 동정되었다.

Effect of antioxidants on push-out bond strength of hydrogen peroxide treated glass fiber posts bonded with two types of resin cement

  • Khoroushi, Maryam;Mazaheri, Hamid;Tarighi, Pardis;Samimi, Pouran;Khalighinejad, Navid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9권4호
    • /
    • pp.303-309
    • /
    • 2014
  • Objectives: Hydrogen peroxide ($H_2O_2$) surface treatment of fiber posts has been reported to increase bond strength of fiber posts to resin cements. However, residual oxygen radicals might jeopardize the bonding procedu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ree antioxidant agents on the bond strength of fiber posts to conventional and self-adhesive resin cements. Materials and Methods: Post spaces were prepared in forty human maxillary second premolars. Pos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of 8 each: G1 (control), no pre-treatment; G2, 10% $H_2O_2$ pre-treatment; G3, G4 and G5. After $H_2O_2$ application, Hesperidin (HES), Sodium Ascorbate (SA) or Rosmarinic acid (RA) was applied on each group respectively. In each group four posts were cemented with Duo-Link conventional resin cement and the others with self-adhesive BisCem cement. Push-out test was performed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2-way ANOVA and tukey's post-hoc test (${\alpha}=0.05$).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cement type and post surface treatment on push-out bond strength of fiber posts (p < 0.001, F = 16). Also it was shown that different posts' surface treatments significantly affect the push-out bond strength of fiber posts (p = 0.001). $H_2O_2$ treated posts (G2) and control posts (G1) cemented with Duo-link showed the highest ($15.96{\pm}5.07MPa$) and lowest bond strengths ($6.79{\pm}3.94$) respectively. Conclusions: It was concluded that $H_2O_2$ surface treatment might enhance the bond strength of fiber posts cemented with conventional resin cements. The effect of antioxidants as post's surface treatment agents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in cements used for bonding procedure.

Compositional differences of Bojungikgi-tang decoctions using pressurized or non-pressurized extraction methods with variable extraction times

  • Kim, Jung-Hoon;Seo, Chang-Seob;Kim, Seong-Sil;Shin, Hyeun-Kyoo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6
    • /
    • 2013
  • Objectives : In other to determine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the various Bojungikgi-tang (BJIGT) decoctions prepared by different pressure levels and different extraction time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in terms of the extract yield and the total soluble solid content. Methods : Decoctions were prepared by the pressure levels of 0 (non-pressurized) and 1 $kgf/cm^2$ (pressurized) for 60, 120 and 180 min. The extract yield and the total soluble solids content of decoctions were measured, and the amounts of the reference compounds in decoctions were investigated by the analysi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s : The extract yield and the total soluble solid content were higher in decoctions extracted by the pressurized method than those from decoction with non-pressurized method. The patterns of yield and contents showed a proportional increase to the extraction time. In analysis of the linear regression for four reference compounds such as liquiritin, nodakenin, hesperidin, and glycyrrhizin, the good linearity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more than 0.9999 was observed. The highest contents for four reference compounds were observed at 180 min of both the pressurized method and the non-pressurized method.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essure in extraction method and the extraction time affect the compositional constituents in BJIGT decoctions. The extraction time of 180 min could be chosen in both pressurized and non-pressurized method as optimal extraction condition.

Anti-adipogenic effect of the flavonoids through the activation of AMPK in palmitate (PA)-treated HepG2 cells

  • Rajan, Priyanka;Natraj, Premkumar;Ranaweera, Sachithra S.;Dayarathne, Lakshi A.;Lee, Young Jae;Han, Chang-Hoon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4.1-4.15
    • /
    • 2022
  • Background: Flavonoids are natural polyphenols found widely in citrus fruit and peel that possess anti-adipogenic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 detailed mechanisms for the antiadipogenic effects of flavonoids are unclear.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observed the anti-adipogenic effects of five major citrus flavonoids, including hesperidin (HES), narirutin (NAR), nobiletin (NOB), sinensetin (SIN), and tangeretin (TAN), on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ctivation in palmitate (PA)-treated HepG2 cells. Methods: The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and triglyceride (TG) contents were quantified by Oil-red O staining and TG assay, respectively. The glucose uptake was assessed using 2-[N-(7-Nitrobenz-2-oxa-1,3-diazol-4-yl)amino]-2-deoxy-d-glucose (2-NBDG) assay. The levels of AMPK, acetyl-CoA carboxylase (ACC), and glycogen synthase kinase 3 beta (GSK3β) phosphorylation, and levels of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2 (SREBP-2) and 3-hydroxy-3-methylglutaryl-CoA reductase (HMGCR) expression were analyzed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potential interaction between the flavonoids and the γ-subunit of AMPK was investigated by molecular docking analysis. Results: The flavonoid treatment reduced both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and TG content in PA-treated HepG2 cells significantly. In addition, the flavonoids showed increased 2-NBDG uptake in an insulin-independent manner in PA-treated HepG2 cells. The flavonoids increased the AMPK, ACC, and GSK3β phosphorylation levels and decreased the SREBP-2 and HMGCR expression levels in PA-treated HepG2 cells. Molecular docking analysis showed that the flavonoids bind to the CBS domains in the regulatory γ-subunit of AMPK with high binding affinities and could serve as potential AMPK activators. Conclusion: The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the anti-adipogenic effect of flavonoids on PA-treated HepG2 cells results from the activation of AMPK by flavonoids.

제주산 한라봉 과피 추출물의 지방세포에서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Jeju Hallabong Tangor (Citrus kiyomi${\times}$ponkan) Peel Extracts in 3T3-L1 Adipocytes)

  • 임희진;서지은;장윤희;한복경;정중기;박수범;최혁준;황진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88-1694
    • /
    • 2014
  • 본 연구는 한라봉 과피 추출물과 효소 처리시킨 한라봉 과피추출물의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의 항비만 효과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Cytolase를 이용한 플라보노이드 형태 전환으로 한라봉 과피 추출물에 다량 존재하던 narirutin이 naringenin으로 또는 hesperidin이 hesperetin으로 변환되었다. 지방전구세포에 분화배지와 함께 10일간 HLB와 HLB-C, 양성대조군으로 Sinetrol을 다양한 농도로 처리한 결과 모든 세포군에서 0.5 mg/mL 농도에서는 세포생존율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적정 처리 농도를 0.5 mg/mL로 확정하였다. Oil red O 염색을 통해 지방세포의 분화 정도를 측정한 결과 양성대조군인 Sinetrol 처리군 보다 같은 농도의 HLB와 HLB-C 처리군이 분화를 억제시켰다. 지방세포 분화 억제의 분자생화학적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분화 관련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을 RT- PCR과 western blotting을 통해서 실험한 결과, 0.5 mg/mL 농도의 HLB와 HLB-C 처리군에서 대조군과 Sinetrol군에 비해 $C/EBP{\alpha}$, SREBP1c의 유전자가 감소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고 $C/EBP{\alpha}$$PPAR{\gamma}$의 단백질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미 형성된 지방세포의 분해 작용에 HLB와 HLB-C가 영향을 주는지 평가하기 위해 완전히 분화된 지방세포에 24시간 동안 0.5 mg/mL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Sinetrol과 HLB는 지방분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HLB-C는 지방세포의 분해 작용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한라봉 과피 추출물이 지방세포 분화 억제와 지질분해 활성이 있고 이는 cytolase로 효소 처리를 할 경우에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오히려 지질분해 활성은 감소하였다. 한라봉 과피 추출물의 in vitro 상에서 검증된 항비만 효능이 향후에 in vivo 상에서 지방분화 억제와 지방분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 검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향후 한라봉뿐 아니라 다른 감귤류를 이용하여 다양한 probiotics 미생물에 존재하는 효소와 다른 상업화 효소 등을 통한 물질전환 효과를 비교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산지별 유자의 수확시기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활성 비교 (Comparison of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uzu (Citrus junos Sieb. ex Tanaka) Based on Harvest Time)

  • 문소현;아와리스;고은영;박세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2호
    • /
    • pp.283-291
    • /
    • 2015
  • 본 연구는 고흥과 제주도로부터 수확된 유자의 수확시기에 따른 과실의 품질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8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일 수확된 유자 과실을 사용하여 유자의 크기, 중량, 과형지수, 당도, 수분함량등 외관적 특징과 총 페놀함량, 항산화 활성 그리고 감귤류의 대표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나린진과 헤스페리딘의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고흥과 제주도로부터 수확된 과실의 외관적 특징을 비교할 때 8월 9월에 수확된 유자는 초록색을 띄며 수확시기가 지날수록 노란색으로 변하면서 성숙되었고 수확적기인 11월과 12월에는 진한 노란색을 띄었다. 제주도 유자가 고흥 유자에 비해 다소 크나 유의적인 차이는 크게 없었으며. 수확시기에 따른 구형지수는 점차 감소하여 구형에서 타원형으로 변하였고 당도는 증가하였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제주도 유자가 고흥 유자에 비해 다소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8월에 수확한 어린숙기의 유자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수확적기인 11월, 12월 유자 보다 높은 수준의 함량을 보였으며 산지에 따라 10월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다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지별, 수확시기에 따른 항산화 활성은 총 페놀화합물 함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8월 수확한 미숙 유자의 항산화 활성은 높은 수준의 활성을 보였으며 산지에 따라 10월과 11월까지 감소하다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나린진과 헤스페리딘 함량 또한 제주도 유자가 고흥유자에 비해 다소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8월 수확한 미성숙과의 유자는 높은 수준의 함량을 보였으며 수확시기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수확적기인 11월과 12월은 유의적인 차이 없이 거의 비슷한 함량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로 보아, 미성숙과에서 식물체에 존재하는 많은 페놀성 물질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다량 함유하며 강한 항산화 효과가 있어 다양한 생리활성을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다양하게 활용한다면 여러 질병의 예방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남해산 유자 과피 열수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Made from Yuza(Citrus junos SIEB ex TANAKA) Peel Cultivated in Namhae)

  • 신정혜;양승미;강민정;이수정;김성현;성낙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9-87
    • /
    • 2010
  • 남해 지역 유자의 품질 특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확보함과 동시에 재배지역별 유자의 생리활성을 비교하고자 유자 과피의 열수 추출물을 제조하여 주요 생리활성 물질을 정량하고 항산화 활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설천산이 $116.06{\pm}0.88\;mg$/100 g으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으며, hesperidin 함량은 $40.92{\pm}1.51{\sim}42.82{\pm}0.55\;mg\;mg$/100 g 범위였다. Naringin은 이동산에서 $20.09{\pm}0.50\;mg$/100 g으로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이었다. 유자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도 증가되었는데 설천산은 저농도와 고농도 모두에서 타 시료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아 $10,000\;{\mu}g/mL$ 농도에서는 $85.70{\pm}0.37%$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력도 전자공여능과 유사한 경향이었다. 즉, $500\;{\mu}g/mL$ 첨가시에 비하여 $10,000\;{\mu}g/mL$ 농도에서는 6~8배 정도 환원력이 증가하여 흡광도 값은 $0.67{\pm}0.055{\sim}0.82{\pm}0.011$의 범위였다.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10,000\;{\mu}g/mL$ 농도에서 이동산과 설천산이 각각 $86.73{\pm}1.41%$$84.85{\pm}1.35%$로 창선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10,000\;{\mu}g/mL$ 농도에서도 40% 미만으로 비교적 그 활성이 낮았다. $500{\sim}2,500\;{\mu}g/mL$ 농도에서 유자 과피의 열수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최고 18% 정도였으며, NO 소거활성은 $10,000\;{\mu}g/mL$ 첨가시 설천산과 이동산에서 각각 $45.42{\pm}0.76%$$41.53{\pm}1.60%$로 창선산에 비해 유의적으로 활성이 높았다. $\beta$-carotene-linoleic acid 계에서 항산화능은 $10,000\;{\mu}g/mL$ 농도에서 설천산이 $42.22{\pm}1.03%$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분쇄방법에 따른 조, 기장, 수수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with Different Pulverizing Methods)

  • 서명철;고지연;송석보;이재생;강종래;곽도연;오병근;윤영남;남민희;정헌상;우관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90-797
    • /
    • 2011
  • 대표적인 잡곡인 조, 기장, 수수에 대하여 핀밀을 이용한 분쇄와 저온초미분쇄기를 이용한 방법으로 제분하여 이들에 대한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분석한 결과 핀밀로 분쇄한 경우 평균 입자직경은 각각 102.12, 89.52 및 $102.25\;{\mu}m$로 나타났으며, 저온초미분쇄는 각각 9.43, 9.52 및 $10.18\;{\mu}m$로 핀밀에 비해 10배 이상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함량은 분쇄방법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조지방 함량은 저온초미분쇄가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식이섬유 함량은 저온초미분쇄보다 핀밀분쇄 시료에서 높은 함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gamma}$-oryzanol 함량은 조에서 핀밀 및 저온초미분쇄 시료에서 각각 116.07 및 $145.30\;{\mu}g$/g으로 나타났으며, 추출수율은 저온초미분쇄 시료가 핀밀 분쇄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탄닌 함량은 대체적으로 분쇄방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4.58 및 15.03 mg/g ER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henolic compound를 정량 분석한 결과 조는 pyrogallol, gallic acid, (+)-catechin, salicylic acid, ferulic acid, rutin 등이, 기장은 pyrogallol, rutin, gallic acid, kaempfrol, salicylic acid 등이, 수수는 (+)-catechin, salicylic acid, pyrogallol, myricetin, hesperidin, chlorogenic acid 등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수수 메탄올 추출물의 radical 소거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온초미분쇄시료 추출물이 각각 178.10 및 251.56 mg TE/g ER로 핀밀분쇄 시료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쇄방법에 따른 시료의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 및 활성을 검정한 결과 항산화성분은 대체적으로 핀밀분쇄 시료에 비해 저온초미분쇄 시료에서 약간 높은 함량으로 보였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항산화활성은 수수와 기장에서 저온초미분쇄 시료 추출물이 핀밀분쇄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