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lianthus tuberosus L.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202초

산란계의 혈액 및 계란지질에 관한 고수준의 미세캡슐화 이눌린 급여효과 (Effect of Feeding the High Levels of Microcapsulated Inulin on Egg and Blood Lipid Profile in Laying Hens)

  • 박상오;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14-223
    • /
    • 2012
  • 본 연구는 산란계 사료 내 돼지감자(Helianthus tuberosus L.)로부터 제조한 미세캡술화 이눌린(microcapsulated inulin, MI)의 고수준 첨가가 혈액지질, 계란콜레스테롤 및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5주령 갈색산란계를 이용하여 4주 동안 실험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실험처리구는 MI 무첨가 대조군, 800 ppm, 900 ppm 및 1,000 ppm로 구분하였다. 혈액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계란 콜레스테롤은 MI 무첨가군과 비교할 때 첨가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계란 포화지방산 조성은 MI무첨가군과 비교할 때 첨가군에서 낮았으나 불포화지방산은 그 반대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미세캡슐화 이눌린을 산란계 사료 내 첨가해주면 혈액지질 감소에 의해 계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군락상태에 있는 초본식물의 엽온의 일조변화 (On the Diurnal Change of Leaf Temperature of Herbaceous Plants in Plant Community)

  • 임양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7권3호
    • /
    • pp.107-112
    • /
    • 1974
  • Leaf temperature is complicated with the microclimate and the dry matter production in a plant community. But a daily change of leaf temperature varying by the locality in plant body or plant community is not yet clear. To resolve such a question, following experiment was designed; Helianthus tuberosus L., Glycine max L., Zea mays L., Impomoea batatas Lam., and Cucurbita moschata var. toonas Makino were planted in the different sandy loam, $2m{\times}2m-quadrat$, which has a eastern, southern, western and northern edge. In each plot 17-25 plants were planted and the distances between individuals spaced uniformly. And leaf temperature were measured by MR3-C type thermistor from 14th May through 20th August. It is seems that the upper leaf is affected by solar radiation, the lower leaf by released heat from the earth and the middle leaf by the conditions of both zone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 leaf that is on terminal, central, left and right margins and base part, temperature of control plant in a leaf was sloped during about two hours from noon. It is noticeable as a "noon sleeping" phenomenon.henomenon.

  • PDF

볶음 처리한 우엉과 돼지감자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oasting Wooung (Burdock, Arctium lappa L.) and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 이연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70-877
    • /
    • 2016
  • 본 연구는 손쉽게 가정에서 볶음 처리하여 우엉차와 돼지감자차를 만들어 영양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검색하여 다양한 기능성 식품으로 가능성을 보고자 하였다. 볶음 처리한 우엉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및 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10.43, 8.50, 1.77, 3.43 및 75.87%로 나타났으며, 볶음 처리한 돼지감자는 각각 10.67, 7.83, 1.23, 2.80 및 77.47%를 보였다. 볶음 처리한 우엉의 수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4.8 g/100 g,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1.5 g/100 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돼지감자의 수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2.4 g/100 g,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1.6 g/100 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우엉과 돼지감자에서 무기질함량 중에서 가장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은 칼륨>마그네슘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볶음 처리한 우엉은 총 25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1,382.112 mg/100 g이었고,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766.031 mg/100 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돼지감자는 총 24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2,678.018 mg/100 g이었고,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157.294 mg/ 100 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우엉과 돼지감자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32.56, 29.56 mg GAE/g으로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6.54, 16.71 mg CE/g으로 나타났다. 볶음 처리한 우엉 및 돼지감자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의 $IC_{50}$ value은 각각 12.99, 19.74로 나타났으며,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보다는 낮았지만 모두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다. 볶음 처리한 우엉 및 돼지감자의 hydroxyl radical 소거능의 $IC_{50}$ 값은 각각 25.96, 22.93으로 나타났으며, 양성대조군인 비타민 C보다는 낮았지만 모두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을 보였다.

돼지감자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diabetic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 이창훈;이연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8-13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돼지감자 꽃, 잎, 뿌리가 가진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다양한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돼지감자 꽃, 잎, 뿌리의 폴리페놀 함량은 32.80 mg GAE/extract g, 43.46 mg GAE/extract g, 24.53 mg GAE/extract g으로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5.64, 18.67, 11.65 mg GAE/extract g으로 나타났다. 돼지감자 꽃, 잎, 뿌리의 메탄올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은 각각 77.78%, 66.07%, 26.93%로 나타났으며, hydroxyl radical 소거능 활성은 각각 55.33%, 38.30%, 34.89%로 나타났다. 돼지감자 꽃, 잎, 뿌리메탄올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돼지감자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활성 역시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돼지감자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5 mg/mL)의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꽃, 잎, 뿌리에서 각각 41.08%, 55.67%, 60.76%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났으며, ${\alpha}-amylase$ 저해활성은 꽃, 잎, 뿌리에서 각각 49.95%, 59.88%, 66.25%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돼지감자(Helianthus tuberosus L.)의 첨가량과 증자처리에 따른 약주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yakju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steam-cooked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 최준수;최규택;김찬우;박희동;이새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5-169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돼지감자 첨가에 따른 약주의 최적 공정을 선정하고자 돼지감자의 증자처리 유무와 첨가량을 달리하여 약주를 제조하였고, 이들의 양조적성을 평가하였다. 돼지감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가용성 고형분이 증가하였지만, 효모가 발효과정 중 이용할 수 없는 비발효당의 함량이 증가하여 발효과정 전반에 걸쳐 환원당이 많이 잔존한 관계로 알코올이 적게 생성되었다. 또한, 증자처리에 따라 돼지감자 분말의 가수분해가 용이해져, 증자한 돼지감자로 빚은 약주의 알코올 생성량은 무증자 처리한 약주보다 크게 증가하였다. 약주의 산미와 관련된 pH와 총산의 경우, 돼지감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발효과정 중 pH는 감소하고 총산은 증가하였으며, 증자한 돼지감자로 빚은 약주에서 pH가 증가하고 총산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돼지감자가 첨가된 약 주의 유리당 분석 결과, 돼지감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inulin을 포함하여 잔존 유리당이 높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증자처리 과정에서 inulin이 가수분해되어 효모의 알코올 발효가 용이해져 잔존하는 유리당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 유기산 함량은 돼지감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증자된 돼지감자로 빚은 약주에서 유기산 함량이 감소하였다. 아미노산 함량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증자한 돼지감자로 빚은 약주의 아미노산도 역시 크게 감소하였다. 유리아미노산 중 단맛에 관여하는 glycine, alanine, proline, phenylalanine은 무증자 돼지감자 10%를 첨가한 약주에서 높게 나타났다. 돼지감자 첨가 약주의 아세트알데히드와 메탄올 함량은 식품공전 상의 허용기준치 내로 검출되었으며, 증자된 돼지감자로 제조한 약주에서 ethyl acetate와 fusel oil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돼지감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ethyl acetate는 증가하고, fusel oil은 감소하였다. 제조한 약주의 관능평가를 한 결과, 돼지감자 첨가 시에 전체적으로 단맛이 증가하였으며, 무증자 돼지감자를 첨가한 약주에서 향미, 신맛,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무증자 돼지감자 10%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돼지감자가 inulin과 fructooligosaccharide와 같은 기능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무증자 돼지감자를 원료 대비 10% 첨가하는 것이 돼지감자를 활용한 고품질 기능성 약주를 제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기능성 돼지감자 첨가 약주 제조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돼지감자 종자의 휴면성과 발아유도를 위한 종자처리 (Seed Dormancy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and Seed Treatment for Germination Induction)

  • 임근발;이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70-377
    • /
    • 1989
  • 국내외에서 수집한 5종(JA 2, JA6, Mammoth French White, D-19, K-8) 돼지감자 화기에서 종자결실을 조사하였고 수집 종자들의 발아특성을 밝히고 환경조건을 달리하여 발아유도를 시도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임실율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어 JA 2의 2.4%에서 Mammoth French White의 14.7% 범위에 있었으며 1주로부터 채취 가능한 종자입수는 JA2의 88개에서 JA6의 1,058 개 범위이었다. 2. 수확 후 3개월 실내 저장된 종자는 약 0%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며 온도, 광 및 GA3에도 발아가 유도되지 않았다. 그러나 실내에서 27개월 저장된 종자는 D-19 품종에서 47.5%까지 발아하였다. 3. 종피제거된 종자는 96.8%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며 종피에 바늘로 구멍을 뚫었을 때에도 82.3% 발아하였다. 따라서 종피제거 방법에 의해 완전한 발아유도가 가능하였으며 돼지감자 휴면종자는 종피에 의해 발아가 억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휴면종자를 약 70일 저온습층처리한 경우 85%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냈으며 이 경우 종피존재여부에 관계없이 어느 경우에나 발아하였다.

  • PDF

돼지감자 실생묘의 생장특성과 바이오매스 생산성 (Growth and Biomass Productivity of Seedlings from Seeds in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 임근발;이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4-52
    • /
    • 1990
  • 돼지감자의 괴경반식 대신 종자반식에 의해서 건전한 유묘와 식물체를 육성함으로써 돼지감자 유전소재의 수집과 보존 및 개량에 종자반식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에서 수집한 9종(Mammoth French White, D-19, JA6, K-8, JA 13, Violet de Renne, Medius, Nahodka, Fuseau 60) 돼지감자 화기에서 종자를 채취하여 종피제거 방법에 의해 종자휴면을 타파한 후 종자로부터 발아유도되어 발생한 유묘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종자반식에 의한 바이오매스 생산성을 괴경반식에 의한 경우와 비교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돼지감자 휴면종자는 종피제거방법에 의해 완전한 발아유도가 가능하였다. 2. 종자에서 발생한 유묘는 왜성형태를 유지하며 동시에 하배축을 비대시켜 하배축을 증대시켜 생리적 왜성(physiolo-gical dwarfing)의 특성으로 발현되는 경우가 겨울동안 온실에서 육묘한 경우에 한하여 나타났다. 3. 종자에서 발생한 유묘의 생리적 왜성은 JA6 품종의 경우 유묘령과 무관하게 12시간 미만의 단일에 감응하여 나타난 결과이었다. 4. 일단 발현된 유묘의 생리적 왜성은 생육기간동안 일장이 증가함에 따라 정상 식물체로 회복되었다. 5. 종자반식에 의한 육묘이식 재배시 괴경수량은 3.51 ton/10a으로 괴경반식에 의한 경우 3.02ton/10a에 비교하여 오히려 많았다. 6. 종자를 직접파종하였을 때 괴경수량은 괴경반식에 의한 경우의 52%에 불과하였다.

  • PDF

돼지감자 유래 1-sst와 1-fft 유전자의 형질전환 발현에 의한 벼의 fructan 생합성 증진 (Increment of fructan biosynthesis in rice by transformation of 1-sst and 1-fft genes isolated from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 강권규;송범헌;이경아;이혜정;박진하;정유진;조용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102-109
    • /
    • 2010
  • Fructan은 식물이 저온에 노출 되었을 때 다양한 조직에 축적됨으로써 여러 스트레스에 저항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fructan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인 1-sst와 1-fft 유전자를 돼지감자 구근으로 부터 분리하였다. 분리한 1-sst와 1-fft 유전자는 Ti-plasmid vector인 KJG V-B2 vector에 35S promoter에 의해 발현할 수 있도록 형질전환용 벡터를 구축하였다. Agrobacterium tumefaciens법에 의해 1-sst와 1-fft 유전자의 형질전환 벼를 육성하였고, 1-sst, 1-fft 및 HPT 유전자 특이적인 primer를 사용하여 PCR 분석한 결과 유전자가 벼의 callus 게놈내에 안정적으로 삽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Southern 및 RT-PCR 분석에서도 같은 결과를 얻었다. 형질전환 벼의 후대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전자가 발현되는 homo 계통을 선발하였고 이를 이용해 1-sst와 1-fft 유전자의 삽입이 확인된 형질전환 벼에서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RT-PCR 및 Real-Time PCR를 수행한 결과 형질전환 벼에서 1-sst와 1-fft 유전자 모두 안정적으로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1-sst와 1-fft 유전자가 삽입된 형질전환 벼를 이용한 기능 분석 연구를 통해 식물체가 저온에 노출되었을 때 1-sst와 1-fft의 작용에 의해 fructan 생합성량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fructan 생합성 관련 유전자가 삽입된 형질전환 벼는 탄수화물대사 및 저온, 건조 등의 환경 stress에 대한 내성에 대해 좋은 육종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돼지감자 수집클론의 우리나라 환경 적응성 (Performance of Several Jerusalem Artichoke Clones ( Helianthus tuberosus L. ) Screened for Adaptibility in Korea)

  • 임근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05-314
    • /
    • 1997
  • Nineteen clones of Jerusalem Artichoke (JA) from several countries were collected through the series of experiments about JA started in 1979. Collected clones were screened for adaptibility in Korea and showed introduction path way. The results about an ecological response of collected clones including flowering, tuberization, biomass production, sugar contents and grouping of collected clones for use of genetic material were as follows; 1. Nineteen clones collected were ffom Korea(2), Japan(l), USA(Z), Canada(2), France(4), Germany(7), and USSR(1). 2.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op collected clones were divided to the types of branch-non branch, short and long plant height, and early and late maturity. Tuber characteristics were mainly grouped to the types of white skin color-violet skin color, clusters-single unit, round-elongate, and knotty-smooth. 3. Total sugar yields 6-om top at flowering time were 490 - 630kgl10a and 6-om the tuber were 420 -490 kg/ IOa through the high yielding clones. The top-high yielding clones were Mammoth French White, Fuseau 60, Nahodka, and JA3. The higher tuber yields were got from the clones of D- 19, Colombia, Bianka and Mammoth French White. 4. Collected clones were grouped to three and first group was characterized to early maturity and short plant height and second group to medium and finally, third group to late maturity and high plant height. 5. High yielding of top was 6-om the I group of early maturity and short plant height and high yielding of tuber h m III group of late maturity and high plant height.

  • PDF

가야산국립공원의 식물상과 보전방안 (Flora and Conservation Plan of Gayasan National Park)

  • 유주한;전세근;설정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9-130
    • /
    • 2013
  •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national park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in the Gayasan national park. The flora were summarized as 102 families, 328 genera, 469 species, 4 subspecies, 59 varieties and 9 forms. The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2 taxa; Pedicularis hallaisanensis Hurus. and Gymnadenia conopsea for. albiflora Y.N.Lee.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13 taxa; Crypsinus hastatus (Thunb.) Copel., Ligusticum tachiroei (Franch. & Sav.) M. Hiroe & Constance, Primula modesta var. fauriae (Franch.) Takeda, Lilium distichum Nakai ex Kamibay and so forth.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15 taxa; Betula ermanii Cham., 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Galium koreanum (Nakai) Nakai, Heloniopsis koreana Fuse, N.S. Lee & M.N. Tamura and so forth.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66 taxa; Betula chinensis Maxim., Spiraea fritschiana Schneid.,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Nakai) Kitam.,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Adoxa moschatellina L. and so forth. The plants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were 22 taxa; Salix hallaisanensis H.L$\acute{e}$v., Sanguisorba argutidens Nakai, Viola albida Palib.,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0 taxa; Chenopodium album L., Lepidium apetalum Willd., Trifolium pratense L., Bidens frondosa L., Helianthus tuberosus L. and so fo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