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donic and Utilitarian Value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6초

소비자관여의 감성적 측면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edonic Aspect of Consumer Involvement on Purchase Behavior)

  • 정문영
    • 산학경영연구
    • /
    • 제14권
    • /
    • pp.211-235
    • /
    • 2001
  •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관여수준과 관여형태는 구매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소비자관여와 관여형태에서 감성적 측면이 지니는 중요성과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자료분석을 통해 탐색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감성'이 소비자관여의 중요한 구성차원임이 확인하기 위한 요인분석한 결과, 제품구매의 본원적 동기가 '감성'으로 조사된 제품과 효용에 가치를 두는 제품 모두에서 감성적 차원이 소비자관여의 중요한 구성요소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회귀분석에서 감성적 요소가 정보탐색 등 구매과정에 유의한 공헌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감성이 소비자관여를 결정하며 모든 제품군에서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감성적 동기에 의해 구매되는 제품과 효용적으로 관여되는 제품에서 구매행동의 차이를 분산분석한 결과, 감성적 측면이 소비자의 제품지식 등에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여동기와 관여수준의 상호작용을 분석에서 상표차별화나 준거집단의 영향을 받는 정도 등에서 의미있는 상호작용이 확인되어 감성적 차원이 관여수준의 영향에 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점포환경으로 인한 환기와 즐거움,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쇼핑 가치에 의한 조절변수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Relationship of Arousal, Pleasure, and Behavior Intention from a Store Environment: Focused on Moderating Role of Shopping Value)

  • 이종호;옥정원;박효현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3권4호
    • /
    • pp.21-46
    • /
    • 2008
  • 본 연구는 소비자의 환기수준을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고 환기수준에 따라 즐거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소비자들의 쇼핑 가치 유형이 환기 수준과 즐거움에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즐거움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높은 환기수준은 즐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소비자들의 쇼핑 가치 유형의 조절적 역할은 실용적 쇼핑 가치를 지닌 소비자 집단에서는 환기수준이 낮을 때 즐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쾌락적 쇼핑 가치를 지닌 소비자 집단에서는 환기수준이 높을 때 즐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즐거움은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PDF

패션 상품 쇼핑백 유형에 대한 소비자반응, 광고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shion Product's Shopping Bag types on Customer Response, Advertising Effectiveness, and Purchase Intention)

  • 채희주;이수연;고은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64-579
    • /
    • 2014
  • Packaging of shopping bag is a 'silent salesman'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rketing communication due to the increase of self-service outlets and changing lifestyles of customers. Retail shopping bags, which are defined as bags provided by retailers to customer as a means of transporting merchandise, are a type of secondary packaging.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a fashion product's shopping bag types in sense of shopping value, customers' respons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nd purchase intention. Data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onsumers' responses about shopping bags show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consumers who have either hedonic or utilitarian shopping value. Hedonic shopping value influences on consumers' response as unique, interesting, and attention; however utilitarian value affects prestige in addition to those four significant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consumer response is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shopping value. Thus, using the various types of shopping bags can be influenced on effective advertising. It will also great effect on marketing activity with lower cost. The significant result from this study has proven that the shopping bag is correlates to the definition of pop art today because it can offer an opportunity to look at, play with and buy sophisticated visual stimulus. Therefore, retail and brands have to concern about shopping bag considering their decisive role in the apparel market.

가치수용 모델을 활용한 스마트워치 확산 결정요인 분석 (Exploring Determinants of Smartwatch Diffusion Using a Value Adoption Model)

  • 송근혜;박종현;이승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684-714
    • /
    • 2018
  • 스마트워치의 확산이 예상과는 달리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워치 공급업체들은 현재의 캐즘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스마트워치의 어떠한 속성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시장 확산을 이루어야 하는가를 타당하게 수행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스마트워치가 가져다줄 것으로 예상되는 혜택과 이를 위해 치러야 할 비용을 소비자 관점에서 분석하고, 소비자의 혁신성향이 시장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23개의 유효데이터를 확보하여 구조 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워치의 두 가지 혜택(utilitarian and hedonic)과 세 가지 비용(usability, performance, and finance)이 가치인식을 통해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혁신성향이 가치인식과 사용의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주목할 점은, 소비자들이 스마트워치가 사회적 혜택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할 것이라는 가설이 기각되었다는 점이다. 즉, 스마트워치 사용이 소비자에게 이미지 향상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전략은 스마트워치 확산에 큰 기여를 하지 않을 수 있다. 스마트워치의 시장 확산을 이루기 위해서는 혁신성향이 높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소비자들이 기대하는 혜택을 활용하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종합슈퍼마켓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가치, 소비감정이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erceived Marketing Communication, Value and Consumption Emotion on Store Loyalty in Discount Store)

  • 양회창;주윤황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19-28
    • /
    • 2012
  • 포화상태에 이른 우리나라 종합슈퍼들의 심각한 경쟁으로 인한 부작용을 해결할 수 있는 단서를 찾기 위해 본 연구는 종합슈퍼들의 다양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인들이 소비자들의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인들과 소비감정, 점포충성도 각각에 대해 소비가치와 소비감정이 유인가(valence)를 이끌어낼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미래의 소비자인 대학생들의 관점에서 구성한 연구모델을 분석함으로써 장기적인 차원에서 종합슈퍼들이 경쟁력 강화를 위해 얻을 수 있는 단서를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먼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각 요인들로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광고, 퍼블리시티, 판매촉진, 구전, 물리적 환경을 채택하였으며, 가치는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합슈퍼들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각 요인들이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광고, 퍼블리시티, 판매촉진, 구전, 물리적 환경의 각 요인들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하위 요인들 중 어떤 요인이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지를 확인한 결과에는 구전요인(β =.53, p<.01)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에 대해서는 대학생들은 다른 요인들에 비해 구전 요인을 좀 더 점포를 신뢰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한다고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둘째, 종합슈퍼들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각 요인들과 점포충성도의 관계에서 쾌락적 가치와 실용적 가치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유일하게 퍼블리시티와 점포충성도간에 실용적 가치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것은 실용적 가치가 퍼블리시티와 점포충성도 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최근까지 이슈화된 종합슈퍼들에 대한 매스미디어의 부정적 기사들에 대해 대학생들이 민감하게 반응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각 요인들과 소비감정 간에 소비가치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쾌락적 가치만이 퍼블리시티와 소비감정에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모든 요인들이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학생들이 인지하는 소비가치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과 점포충성도 간의 관계보다 소비감정 간에 더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각 요인들과 점포충성도의 관계에서 소비감정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판매촉진을 제외하고 모든 요인들이 완전 매개 또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감정이 점포충성도를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종합슈퍼들이 긍정적 소비감정의 증대를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함을 의미한다고 판단된다. 말미에는 이 연구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영향을 제시하였으며 향후에는 범위를 넓혀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함께 세대 간 차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PDF

인터넷 쇼핑가치에 따른 중국 패션제품 소비자 세분집단의 온라인 구전 및 구매행동 (Segmentation of Chinese Fashion Product Consumers according to Internet Shopping Values and Their Online Word-of-Mouth and Purchase Behavior)

  • 윤미;유혜경;황선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17-326
    • /
    • 2016
  •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egment Chinese consumers who purchase fashion products through internet commerce according to internet shopping values, to compare their online word-of-mouth acceptance and dissemination behavior, and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urchase behavior of the segments. 715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rough internet survey from January $19^{th}$ to March $16^{th}$, 2015 and a total of 488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The respondents were twenty to thirty nine years old men and women living in all over China.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s were ident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based on the shopping values, the respond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ambivalent shopping value group, hedonic shopping value group, utilitarian shopping value group and indifferent group. Among these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online word-of-mouth acceptance as well as dissemination level and motivation. In overall, ambivalent shopping value group showed high online word-of-mouth acceptance as well as dissemination motivation. The groups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othing selection criteria, frequently purchased internet shopping sites, online clothing shopping frequency and information sources. The groups also differed in terms of age, residential area, education level, occupation and incom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nd marital status among the groups.

소비자의 쇼핑가치, 브랜드인지도 그리고 다발가격 화장품의 판촉유형이 화장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nsumer's Shopping Value, Brand Awareness and Types of Promotion on Purchase of Bundled Cosmetics)

  • 전향희;황선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9_10
    • /
    • pp.1321-1332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shopping value, brand awareness, and the types of sales promotion on the purchase of bundled cosmetics. In experiment, 1) shopping value 2) brand awareness 3) types of sales promotion were manipula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onsumer preference and purchasing intention of bundle of cosmetics were measured as dependent variables. This research was an experimental design which was $2{\times}2{\times}2$ mixed factorial design. For the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three-way ANOVA were used by utilizing SAS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sumer of hedonic shopping value have a positive effect on preferring price-cut sales, especially if brand awareness is high. Second, the consumer of utilitarian shopping value preferred price-cut sales to special offer, irrespective of brand awareness. This result indicates that consumers who gets more involved in and enjoys shopping are likely to have more brand awareness than others. This. seems to be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shopping. Consumer who have utilitarian shopping value concerned in price. The result showed the 3-way interaction effects on the consumer preference of bundle of cosmetics.

고객의 시간 지향성: 소매업체에서의 서비스 편의성과 쇼핑 성과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 (Customer's Time Orientation: Moderating Effects on the Service Convenience-Shopping Performance Linkages in Retail Contexts)

  • 김미정;박철주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123-133
    • /
    • 2016
  • Purpose - Understanding how service convenience drives shopping performance is imperative for retailers such as department and large discount stores. Retailers have to enhance shopping productivity by reducing the costs of shopping, as convenience triggers customers' perceived shopping value, leading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ultimately patronage behavior. Consumers, generally considering time as a scarce resource, are more sensitive to the time costs of tasks in regard to shopping trip, differently from forming perceptions of convenience in time orientatio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s' time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s among service convenience of retailers and shopping performances such as shopping value and service performanc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epartment and discount store chains were chosen as the point of analysis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f real-life consumers and all respondents were screened to ensure only those who had visited in the department and discount store chains within past six month prior to the day of data collection. Out of 600 self-reported surveys that were distributed, a total of 530 responses were returned and after excluding 20 incomplete responses, the final sample size was 510. The three hypotheses were proposed and tested in this study. The one hypothesis wa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time orientation for the effects of service convenience on shopping value (hedonic and utilitarian shopping value). The other two hypotheses were on the comparisons between high and low time-oriented customers with the effects in shopping value from service performance. Hierarchical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es. Results -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ffect of service convenience on utilitarian shopping value and the positive effect of utilitarian shopping value on customer satisfaction are greater in low time orientation than high time orientation customers. Conversely, when customers are highly oriented toward time, the effects of hedonic shopping valu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re greater than for customers who are lowly oriented toward time. Conclusions - This study has two-fold significance. Firs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consumer behavior and services marketing literature by incorporating customers' time orientation into the service convenience-shopping performance. Although the effect of service convenience on shopping performance might differ from customers' perceptions concerning shopping, there has been little investigation or comparison between customers' perception on time. This study is a first attempt to consider how the effects of service convenience on shopping value and service performance vary with differing levels of customers' time orientation. This study advances prior studies by showing that the service convenience-shopping value and service convenience-service performance relationships vary across different combinations of the customer's time orient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tailers need to enhance the experiential aspects of the stores for their high time-oriented customers. Conversely, for the low time-oriented customers, the retailers should boost the visual distinctiveness and ease of store navigation.

통신 방송 융합 서비스 수용에 관한 연구 : DMB를 중심으로 (Understanding the Adoption of Telecommunications-Broadcasting Convergence Services : The Case of DMB)

  • 김은진;안중호;박철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3-69
    • /
    • 2007
  • 통신과 방송의 융합은 오늘날 디지털 환경의 가장 대표적인 혁신이자 신기술로 이미 포화상태에 이른 개별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어 통신 사업자와 방송 사업자 등을 비롯한 관련 산업군의 많은 기업들이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그러나 해당 서비스 및 시장의 성장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데, 그 원이 중 하나로 사용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기존의 통선 기술은 사용자의 도구적 목적을 지원하는 반면, 방송 서비스는 내재적 가치인 오락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적인 통신과 방송 영역이 융합되었을 때 사용자의 태도와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모델은 내재적 동기인 유희적 가치와 외재적 동기인 실용적 가치, 그리고 융합 서비스의 실제 사용에 있어 내 외부적 조건이 되는 인지된 통제성을 주요 변인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표적인 통신 방송 융합 서비스인 DMB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쇼핑가치에 따른 무인패션점포 이용의도 -기술수용모형의 적용- (The Effects of Shopping Value on the Usage Intention of Unmanned Fashion Stores -Applica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서상우
    • 패션비즈니스
    • /
    • 제23권2호
    • /
    • pp.140-155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usage intention of unmanned fashion stores through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o verify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cluding the shopping value as consumers' characteristic. An online survey, consisting of 626 consumers as participants, was conducted from March 13 to 19.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is study use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urthermore, a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was conducted for hypothesis testing. According to the results, perceived ease of use affects perceived usefulness, which thereby affects the usage intention of unmanned fashion stores through attitude. Moreover, the analysis of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cluding the shopping value as the intrinsic motivation of the consumers showed that the hedonic shopping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influenced the usage intention of unmanned fashion stores through attitu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