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Hedonic Aspect of Consumer Involvement on Purchase Behavior

소비자관여의 감성적 측면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정문영 (상지대학교 경상대학 경상학부)
  • Published : 2001.07.31

Abstract

The level and motivational basis of consumer involvement have been recognized as having important effects on purchase behavior. To explore the importance of hedonic aspects of involvement upon consumer purchase behavior, survey data on involvement degree and type concerning 8 product classes from 388 respondents was analyzed.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of all, hedonic factor is evidenced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consumer involvement. In addition, hedonic dimension of involvement is prove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 purchase behavior in general. Secondly,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behavioral tendencies between purchasing product with hedonic value(coffee) and utilitarian motive(washing machine) shows that consumers have relatively high in degree of brand differentiation, brand commitment, product knowledge in purchasing product with hedonic value. This means that hedonic aspect of product and thus hedonic involvement has not less important in predicting consumer behavior. Finally, several interactive effects, which suppot to and conflict against the previous research findings, between level and type of involvement upon purchase behaviors are detacted. This implies that hedonically induced involvement has moderating roles in the effects of consumer involvement on purchase behavior.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관여수준과 관여형태는 구매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소비자관여와 관여형태에서 감성적 측면이 지니는 중요성과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자료분석을 통해 탐색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감성'이 소비자관여의 중요한 구성차원임이 확인하기 위한 요인분석한 결과, 제품구매의 본원적 동기가 '감성'으로 조사된 제품과 효용에 가치를 두는 제품 모두에서 감성적 차원이 소비자관여의 중요한 구성요소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회귀분석에서 감성적 요소가 정보탐색 등 구매과정에 유의한 공헌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감성이 소비자관여를 결정하며 모든 제품군에서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감성적 동기에 의해 구매되는 제품과 효용적으로 관여되는 제품에서 구매행동의 차이를 분산분석한 결과, 감성적 측면이 소비자의 제품지식 등에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여동기와 관여수준의 상호작용을 분석에서 상표차별화나 준거집단의 영향을 받는 정도 등에서 의미있는 상호작용이 확인되어 감성적 차원이 관여수준의 영향에 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