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vy metals contamination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29초

동물성 생약에 함유되어 있는 몇 가지 중금속에 대한 실태 조사 (Monitoring of some heavy metals in oriental animality medicines)

  • 백선영;정재연;이지혜;박경수;강인호;강신정;김연제
    • 분석과학
    • /
    • 제22권3호
    • /
    • pp.201-209
    • /
    • 2009
  • 국내에서 유통 중인 동물성 생약 38개 품목 총 325개 시료를 대상으로 ICP-MS와 수은자동분석기기를 이용하여 납, 카드뮴, 비소, 수은의 오염실태 조사를 수행하였다. 검출된 농도 범위는 납 $0.02{\mu}gkg^{-1}$ $(D.L){\sim}11.29mgkg^{-1}$, 카드뮴 $0.01{\mu}gkg^{-1}$ $(D.L){\sim}2.50 mgkg^{-1}$, 비소 $0.12{\mu}gkg^{-1}$ $(D.L){\sim}5.27mgkg^{-1}$이었으며, 수은의 경우 검출 범위를 초과한 한 개의 시료를 제외하면 $0.01{\sim}77.11mgkg^{-1}$으로 나타났다. 전체 동물성 생약 38품목 중 납, 카드뮴, 비소, 수은 모두가 잔류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된 동물성 생약은 별갑과 오배자 2개 품목이었고, 22개 품목에서 납의 오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수은의 경우 농도 범위가 비교적 넓게 나타난 녹각 등 16개 품목뿐만 아니라 전체 시료의 54.46%가 잔류허용기준치를 초과하였다. 따라서 납과 수은에 대한 지속적인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오염원인 추적을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Microplastic Contamination in Mackerel

  • Kwon, Woo-Taeg;Kim, Kui-Sung;Lee, Woo-Sik;Kwon, Lee-Seung;Rha, Young-Ah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9-12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level of micro plastics in Korean mackerel and to investigate the detection method of micro plastics in fish. This study analyzed the detection and composition of micro plastics using natural mackerel and wild mackerel. 30% hydrogen peroxide and surfactant were added to GF/C filter paper in order to detect micro plastics in the sea. If micro plastics are exposed to the ocean for a long time,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the water will make pollutant bioaccumulation more serious. Microscopic consequences The risk to human health of plastics has already been studied by many researchers and the risks to human health already caused by marine microorganisms and zooplankton are becoming clear.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length and height of the mackerel when it is cooked from the standpoint of food in terms of practical implication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probability of micro-plastic-contaminated mackerel to reach and be consumed by end-consumers is low in academic implications. Residual contaminants adsorbed on micro plastics are absorbed by digestive organs and cause disruption, and further research on micro plastics is needed in the future.

자력선별과 토양세척법을 연계하여 금속폐기물과 TPH로 복합 오염된 토양 동시 정화 (Soil Washing Coupled with the Magnetic Separation to Remediate the Soil Contaminated with Metal Wastes and TPH)

  • 한이경;이민희;왕수균;최원우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1호
    • /
    • pp.1-12
    • /
    • 2019
  • 금속 폐기물과 TPH(total petroleum hydrocarbon: 석유계 총탄화수소)로 복합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하여 자력선별법을 연계한 토양세척 배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오염토양의 아연과 TPH 농도는 각각 1743.3 mg/kg과 3558.9 mg/kg으로 심하게 오염되어 있었으며, 아연, 납, 구리, TPH 항목들이 '2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정화목표)을 초과하였다. 중금속 제거를 위해 1차 산세척을 실시하였으나 납과 아연은 산세척 후에도 '2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하였으며, 2차 연속 세척에 의해서 아연과 납의 제거효율은 각각 8 %와 5 % 증가에 그쳐, 정화목표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오염토양의 중금속 초기농도를 줄이고 세척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세척 전 미세입자(직경 < 0.075 mm)를 선별하였으며, 오염토양의 4.1 %가 분리되었다. 미세입자 선별만으로 오염토양의 초기 아연과 납 농도는 1256. 3 mg/kg(27.9 % 감소)과 325.8 mg/kg(56.3 % 감소)으로 감소하였으나, 미세입자 선별 후 오염토양을 1차 세척한 결과 아연 농도가 '2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보다 높게 나타나,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추가 제거방법이 필요하였다. 본 토양이 무분별한 금속폐기물 투기에 의해 오염되었다는 사실로부터, 미세입자 선별의 대안으로 자력선별법을 적용하였으며, 토양의 16.4 %가 자력선별에 의해 제거되었다. 자력선별 후 오염토양의 아연과 납 농도는 637.2 mg/kg (63.4 % 감소)과 139.6 mg/kg (81.5 % 감소)로 감소하여, 1회 토양세척과 미세입자 선별에 의한 중금속 제거 효과보다 높았다. 자력선별 후 오염토양을 산용액으로 1차 세척한 결과, 오염토양 내 모든 중금속과 TPH농도가 '2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이하로 낮게 유지되어, 본 오염토양과 같이 금속폐기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토양의 경우 자력선별법을 연계한 토양세척에 의해 중금속과 TPH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금속광산 하류 논토양의 중금속에 대한 인체흡수도 평가 (Assessment of Human Bioavailability Quotient for the Heavy Metal in Paddy Soils Below Part of the Closed Metalliferous Mine)

  • 김민경;홍성창;김명현;최순군;이종식;소규호;정구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61-167
    • /
    • 2015
  • 폐금속광산 하류 토양의 중금속 인체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Pb Zn 폐광산 하류 논토양 30점을 대상으로 SBET(Simple Bioavailability Extraction Test) 분석하여 중금속의 인체흡수도(Human bioavailability quotient)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양 중 Cd, Cu, Pb, Zn 및 As의 인체흡수도는 각각 28.1, 17.3, 34.1, 14.6 및 2.3%로 나타났다. 특히 토양 중 Cd, Pb 및 Zn의 인체흡수도 최고치는 73.3, 81.5 및 58.1%로 매우 높았고, 채취지역 및 지점 간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토양 중 Cd, Cu, Pb 및 Zn의 인체흡수도는 pH 값, 유기물, 치환성 칼슘 함량과 정의 상관을, 치환성 칼륨 및 마그네슘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또한 토양 내 As의 인체흡수도는 유기물과 부의 상관, 치환성 칼륨 및 마그네슘과는 정의상관을 보였다. 토양 내 Cd, Cu, Pb 및 Zn의 인체흡수도는 0.1M HCl 침출성, 그리고 총함량과 정의상관을, As성분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특히 Zn의 인체흡수도는 상관계수가 0.1M HCl 침출성함량(r=0.967) 및 전함량(r=0.917)에서 다른 성분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폐광산 하류 토양의 중금속 인체흡수도를 볼 때 광산지역에서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장기간 노출된다면 건강상의 잠재적인 위해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안정화 처리된 폐광산 토양의 생태기능상태 평가를 위한 효소활성도 및 비소호흡유전자의 적용 (Application of Enzymatic Activity and Arsenic Respiratory Gene Quantification to Evaluate the Ecological Functional State of Stabilized Soils Nearby Closed Mines)

  • 박재은;이병태;이상우;김순오;손아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265-276
    • /
    • 2017
  • 폐광산은 방치된 광미 등으로 인하여 주변환경에 복합적인 중금속 오염을 야기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석회석 등의 안정화제와 복토를 이용한 안정화 공법을 기반으로 토양개량사업이 시행 중이다. 복원된 토양의 상부에서는 작물의 재배로 인해 중금속이 고정된 안정화 층이 지화학적 변화를 겪게 되며 이에 따른 중금속의 용출 및 이동이 가능하므로 토양개량사업을 마친 토양에 대한 질 평가 등의 사후 관리는 반드시 필요하다. 토양의 질 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이화학적 분석 또는 생물학적인 분석을 개별적으로 하기보다는 이들을 결합한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토양의 생태기능상태(ecological functional state)를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시료로 경상북도 봉화군 풍정 광산, 전라남도 광양시 점동 광산, 충청남도 서산시 서성 광산 인근 안정화 처리 토양과 안정화 처리가 되지 않은 오염, 비오염 토양을 선정하였다.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인 pH, CEC, LOI와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였고, 미생물 효소활성도와 비소환원유전자를 정량하였다. 다변량 통계분석을 바탕으로 모든 데이터를 분석하여 토양 생태기능상태를 평가하였다. 안정화 심도 토양과 상부복토, 하부오염토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안정화 심도 토양에서 중금속의 농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그리고 풍정광산에서는 안정화 처리 심도 토양이 하부오염토와 유사한 특성을, 점동, 서성 광산에서는 안정화 심도 토양이 상부복토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점동, 서성 광산 주변 상부복토의 생태기능상태가 좋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 토양(土壤) 및 채소류중(菜蔬類中) 중금속함량(重金屬含量) 조사(調査) (Heavy Metal Contents in Soils and Vegetables in the Plastic Film House)

  • 정구복;정기열;조국현;정병간;김규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52-160
    • /
    • 1997
  • 우리나라 전국 주요 시설재배지 토양을 표토 0-15cm와 심토 15-30cm 깊이로 구분하여 522점의 시료를 채취하고 중부지역에서 채소류 147점을 수확기에 채취하여 이들 토양 및 채소시료중에 함유된 Cd, Cu, Pb, Zn 및 As 함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토양중 0.1N-HCl 가용성 중금속의 평균함량은 카드뮴 0.208(0.027~0.605), 구리 3.69(0.18~31.37), 납 2.49(0.02~33.55), 아연 23.3(2.1~113.2), 비소 0.65(0.03~2.2)mg/kg 이었다. 시설재배지 토양의 중금속 함량은 모두 '89년 조사한 일반 밭토양 자연함량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고, 특히 카드뮴 및 아연함량이 시설재배지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시설 경작년수가 증가함에 따라 카드뮴, 구리 및 아연함량이 증가하였고 퇴비종류별로는 돈분퇴비 시용농가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그러나 시설재배지 토양의 중금속함량은 토양환경보전법의 토양오염 우려 및 대책기준과 비교하여 매우 낮은 함량수준으로 나타나 작물재배에 안전한 수준이었다. 채소 생체중의 중금속 평균함량은 카드뮴 0.015~0.047, 구리 0.341~0.802, 납 0.080~0.356, 아연 1.08~8.04, 비소 0.021~0.059mg/kg 으로 나타나 카드뮴 및 납의 경우 EU의 채소류 식품검토안(Cd : 0.10mg/kg, Pb : 0.50 mg/kg)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 PDF

스발바드군도 스피츠베르겐섬 콩스피요르드에 서식하는 갈조류의 중금속 농도 (Metal Concentrations in some Brown Seaweeds from Kongsfjorden on Spitsbergen, Svalbard Islands)

  • 안인영;최희선;지정연;정호성;김지희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121-132
    • /
    • 2004
  • Concentrations of Al, As, Cd, Co, Cr, Cu, Fe, Mn, Ni, Pb, Zn were determined in four arctic brown algae (Laminaria saccharina, L. digitata, Alaria esculenta, Desmarestia aculeata) in an attempt to examine for their metal accumulation capacity and also to assess their contamination levels. Macroalgae were collected from shallow subtidal waters (<20m) of Kongsfjorden (Kings Bay) on Spitsbergen during the period of the late July to early August 2003. Metal concentrations highly varied between sampling sites, species and tissue parts. Input of melt-water laden with terrigenous sediment particles seemed to have a large influence on baseline accumulations of some metals (Al, Fe, Mn, Pb etc.) in the macroalgae, causing a significant spatial variation. There were also significant concentration differences between the young and old tissue parts in L. saccharina, L. digitata and A. esculenta. While Al, Fe, Mn, Pb were higher in the perennial parts (stipes and holdfast below meristematic region), Cd and As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young blades above the meristematic region. Zn and Cr, on the other hand, showed little differences between the tissue parts. The highest metal concentrations were found in D. aculeata, which seems to be due to its filamentous fine branches leading to high surface/volume ratios. The lowest concentrations were found in the two Laminaria spp., the blades of which are thicker than D. aculeata and A. esculenta. No distinct signs of contamination were detected in the brown algal species analyzed. Added to thi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ies suggest the potential utility of L. saccharina, L. digitata and A. esculenta as biomonitors for metal pollution monitoring in this area.

아플라톡신 오염 및 저감화 방안 (Contamination and Detoxification of Aflatoxins)

  • 조소연;강인호;심영훈;양동혁;오세욱;이병희;현성예;장승엽;정춘식;이용수;김영식;강신정
    • 생약학회지
    • /
    • 제38권3호통권150호
    • /
    • pp.205-216
    • /
    • 2007
  • South Korea is the representative consumption country of herbal medicines and most of herbal medicines circulating in Korea have been importing from the developing countries of Southeast Asia such as China, Vietnam, Indonesia and so forth. Domestic hygiene and safety are continuously proposed because herbal medicines which are circulating have the possibility could remain contaminants or residues. Physicochemical contaminants such as heavy metal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radionucleosides, microbial toxins, biological contaminants such as microorganisms and animals, agrochemical residues such as pesticides, substances used for fumigation, antiviral agents, and solvent residues are classified as major contaminants and residues in herbal medicines from 2005 September WHO.$^{1)}$ Currently our administration have established a permission standard and the inspection criteria against the heavy metal, the residual pesticides and a residual sulfur dioxide. Furthermore our administration is continuously monitoring and conducting researches for the policies and their scientific ground against herbal medicines. But the appearances or discoveries of the harmful new species due to environmental and industrial developments are becoming social problems.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continuously consider and investigate regarding hereupon. Recently, the contamination of the mycotoxins against foods such as cereals, nuts and the powdered red pepper have developed and started became problematic issue, and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against the herbal medicine is proposed. And since populations who are using the herbal medicines very limited to several nations, recognition and researches about contamination of mycotoxins in herbal medicines are very insufficient. Therefore it will be need to more focus on the international regulation of quality control and safety for herbal medicines. Now on, we are going to introduce the importance, occurrence, characteristic properties, World-wide research trends and detoxification of aflatoxins, which is known as the most potent mutagen, carcinogen and teratogen mycotoxins.

대기중의 중금속 분석을 위한 여지의 전처리 방법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Pre-treatment Method of Filter for Analysing the Heavy Metals in Air Quality)

  • 김광래;이상칠;어수미;김민영;신재영;이재영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2년도 춘계 국제 학술대회
    • /
    • pp.16-19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standardized analysis method in order to decide accurate concentrations of hazardous metals in the air. Acid decomposition method used usually was compared to microwave digestion method. Comparing results of tested background concentration in blank filter, we found that the magnitude of element concentration was Na, Ca, K, Mg, Al and Ba by order. The element concentrations of Glass fiber filter were higher than those of Quartz fiber filter, and the number of undetected components in Glass fiber filter was lower than that in Quartz fiber filter. Thus it is supposed that the concentration of background elements in Glass fiber filter was higher than those in Quartz fiber filter The extraction rate of microwave digestion method was superior to those of acid decomposition method during the test of blank filter as well as SRM of NIST. In case of the SRM of NIST, the average extraction efficiency of acid decomposition Method and microwave pretreatment is 53.8∼82.7%, 81.3∼97.1%, respectively. This result might be caused by the closed system of Microwave, which make outflow and loss of components less. Also microwave digestion method has other merits such as the minimization of time, reagents, and contamination. Furthermore, if the extraction condition, extraction time and used acids are optimized, the better results will be represented.

  • PDF

Fungal Endophytes of Alnus incana ssp. rugosa and Alnus alnobetula ssp. crispa and Their Potential to Tolerate Heavy Metals and to Promote Plant Growth

  • Lalancette, Steve;Lerat, Sylvain;Roy, Sebastien;Beaulieu, Carole
    • Mycobiology
    • /
    • 제47권4호
    • /
    • pp.415-429
    • /
    • 2019
  • Soil contamination by metals is of particular interest, given that their retention times within the profile can be indefinite. Thus, phytostabilization can be viewed as a means of limiting metal toxicity in soils. Due to their ability to grow on contaminated soils, alders have repeatedly been used as key species in phytostabilization efforts. Alder ability to grow on contaminated sites stems, in part, from its association with microbial endophytes. This work emphasizes the fungal endophytes populations associated with Alnus incana ssp. rugosa and Alnus alnobetula ssp. crispa (previously A. viridis ssp. crispa) under a phytostabilization angle. Fungal endophytes were isolated from alder trees that were growing on or near disturbed environments; their tolerances to Cu, Ni, Zn, and As, and acidic pH (4.3, 3, and 2) were subsequently assessed. Cryptosporiopsis spp. and Rhizoscyphus spp. were identified as fungal endophytes of Alnus for the first time. When used as inoculants for alder, some isolates promoted plant growth, while others apparently presented antagonistic relationships with the host plant. This study reports the first step in finding the right fungal endophytic partners for two species of alder used in phytostabilization of metal-contaminated mining si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