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vy Rainfall

검색결과 897건 처리시간 0.028초

자료기간 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거동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hanges in Rainfall Quantil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Data Period)

  • 안재현;김태웅;유철상;운용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569-580
    • /
    • 2000
  • 지구온난화와 같은 기후변화로 인해 최근에 한반도에서 급증하고 있는 집중호우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12개 우량관측소 지점의 연 최대 강우량 계열에 대한 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확률강우량의 시간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료기간을 30년으로 한 후 1년씩 이동하면서 l00년 빈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고, 80% 이상의 지점에서 최근의 집중호우가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료기간을 1년씩 누가하면서 100년 일최대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집중호우가 발생했던 해의 연 최대 강우량 포함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증가 경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수공고조물의 설계를 위한 빈도해석시 자료기간 산정의 중요성과 기존 하천시스템의 홍수방어능력에 대한 재평가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2011년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발생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Heavy Rainfall for Landslide-triggering in 2011)

  • 김석우;전근우;김진학;김민식;김민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1호
    • /
    • pp.28-35
    • /
    • 2012
  • 강우는 산사태를 야기하는 주된 요인으로 최근 우리나라에서 대부분의 산사태는 단기간의 집중호우로 인해 발생하고 있으나, 강우특성과 산사태 발생간의 관계는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2011년 6월 7월에 남부지방과 중부지방에서 집중호우로 야기된 18개의 산사태를 대상으로 연속강우 개시 이후의 누적강우량(mm)과 강우강도(mm/hr) 및 선행강우량(mm)을 해석하여 산사태 발생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사태는 모두 연속강우 개시 이후 1~3일간의 집중호우에 의해 강우강도가 30 mm/hr이상, 혹은 누적강우량이 200 mm이상인 경우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림청의 산사태 경보발령 기준을 상회하는 범위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상남도에서 보고된 산사태 발생영역과도 일치하였다. 또한, 강우개시 이후 산사태 발생까지의 소요시간(T)은 평균 강우강도(ARI)가 증가할수록 점차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사이의 관계는 지수함수식 "T = $94.569{\cdot}exp$($-0.068{\cdot}ARI$)($R^2$=0.64, p<0.001)"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산림청의 산사태 주의보 경보발령 기준에 있어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으며, 토사재해에 대한 경계피난체계 등의 비구조물 대책의 수립에도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관통과우, 수간류 및 임외우에서 Al, Mn 및 Ni의 농도 변화 (Changes of Concentration of Al, Mn and Ni in Throughfall, Stemflow and Rainfall)

  • 이총규;김우룡;김종갑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5호
    • /
    • pp.295-298
    • /
    • 1999
  • 산림지역의 강우분석에 의한 중금속 농도를 분석한 결과, Al의 수종별 농도는 공단지역의 해송림이 상수리나무림보다 1.3배 높았고, 도시지역은 해송림이 2.1배 높았다. 공단지역과 도시지역 수간류의 Al 농도는 수관통과우와 임외우 보다 각각 2.3배와 192.5배, 4.8배와 55배 높은 농도였고, 임외우는 두 지역에서 같은 농도로 낮았다. Mn의 농도는 수종별 농도는 도시지역의 해송림이 1,4배 높았다. Mn의 강우별 농도는 수간류가 수관통과우 보다 6.1배 높았고, 임외우 보다 121배 높은 농도였다. 강우의 계절별 농도를 분석한 결과에서 Al은 공단지역에서 12월의 강우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3월, 6월, 8월 순으로 분석되었지만, 도시지역은 계절별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지역별 중금속의 농도는 공단지역에서 Al>Mn>Ni의 순이었고, 도시지역은 Mn>Al>Ni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 PDF

측정 분해능이 0.1mm인 우량계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aingage with a Resolution of 0.1mm)

  • 이부용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19-422
    • /
    • 1999
  • A new method is developed to measure rainfall with high accuracy and resolution. The principle of new method is to detect a weight change of a buoyant weight according to a change in water level of raingage measured by the use of a strain-gage load cell. Field test of the method was carried out on 30 September 1998, when there was heavy rainfall with total amount of 189.60m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spite of heavy rainfall, this new method showed the total error of only 1.5% against the total amount of 189.60mm. 2) This new mechanism accomplished high accuracy and resolution at filed test in heavy rainy day. 3) The present study provided a possibility to develop a new raingage with an 0.01mm in rainfall measurement.

  • PDF

기후변화시나리오와 비정상성 빈도분석을 이용한 도시유형별 목표연도 설계강우량 제시 및 치수안전도 변화 전망 (Predicting the Design Rainfall for Target Years and Flood Safety Changes by City Type using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and Climate Change Scenario)

  • 정세진;강동호;김병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871-883
    • /
    • 2020
  • Due to recent heavy rain events, there are increasing demands for adapting infrastructure design, including drainage facilities in urban basins. Therefore, a clear definition of urban rainfall must be provided; however, currently, such a definition is unavailable. In this study, urban rainfall is defined as a rainfall event that has the potential to cause water-related disasters such as floods and landslides in urban areas. Moreover, based on design rainfall, these disasters are defined as those that causes excess design flooding due to certain rainfall events. These heavy rain scenarios require that the design of various urban rainfall facilities consider design rainfall in the target years of their life cycle, for disaster prevention. The average frequency of heavy rain in each region, inland and coastal areas, was analyzed through a frequency analysis of the highest annual rainfall in the past year. The potential change in future rainfall intensity changes the service level of the infrastructure related to hand-to-hand construction; therefore, the target year and design rainfall considering the climate change premium were presented. Finally, the change in dimensional safety according to the RCP8.5 climate change scenario was predicted.

A Study of Convective Band with Heavy Rainfall Occurred in Honam Region

  • Moon, Tae-Su;Ryu, Chan-Su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01-613
    • /
    • 2015
  • On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life cycle of mesoscale convective band in type of airmass that occurred in the Honam area from June to September for only 4 years in the period of 2009~2012, 10 examples based on the amount of rainfall with AWS 24 hours/60 minutes rainfalls, Mt. Osung radar 1.5 km CAPPI/X-SECT images and KLAPS data for convective band with heavy rainfall event were selected. There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by using the convective band with heavy rainfall occurred along the convergence line of sea wind in the form of individual multi-cellular cell and moving direction of convective band appeared in a variety of patterns; toward southwestern (2 cases), northeastern (4 cases), congesting (2 cases), and changing its moving direction (2 cases). The case study dated of the 17th Aug. 2012 was chosen and implemented by sequentially different evolution of its shape along the convergence line of sea wind cell and moving direction of convective band as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s at the lower layer have increased to the upper layer 500 hPa, that the individual cells were develop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rough their merger, but owing to divergence caused by weakened rainfall and descending air current, the growth of new cell was inhibited resulting in dissipation of convective cells.

강우량 증가에 따른 홍수량 변동 및 홍수범람 분석 (Analysis of Flooding Variation and Flood Inundation According to Increasing Rainfall)

  • 강보성;양성기;정우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5-424
    • /
    • 2015
  • As global warming has accelerated to weather in recent years, and The frequent floods are creating heavy rains and typhoons followed by considerable damage in Jeju. This study estimated design flood discharges and flood stage in Jeju, considering climate change in connection with RCP scenario, the 5th IPCC Report recently published. It also analyzed the period which might be subject to the risk of flooding in downstream of Oedo Stream. As a result, it has analyzed that there might be a risk of flooding when there were 80 years or more rainfall events in 35 years that rainfall would have increased by 10%, 69 years that 100 years or more heavy rain and rainfall would have increased by 20%, and 104 years that 100 years or more heavy rain and rainfall would have increased by 20%.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results of rainfall increasing trend caused by climate change will be helpful to minimize the damage of floods which will secure the future of Jeju.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in Thailan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Kingpaiboon, Sununtha;Netwong, Titiya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804-806
    • /
    • 2003
  •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is essential in the design of hydraulic structures such as dams, weirs and flood control structures. Up to the present, PMP has been derived from any proper single storm which can have a large error. PMP values should be evaluated from many historic heavy storm events from all over the country. Since this can be done at the spots of storm occurring and the calculated PMP from all spots in the country can be correlat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herefore to evaluate PMP from historic heavy storm data from 1972 to 2000 by using meteorological method, then to correlate and to present the results using GIS. The maximized rainfall depths can be calculate from depth of heavy rainfall and dew point temperature, and then can be analyzed for each rainfall duration to obtain spatial rainfall distribution by using GIS. The depth-area-duration relationship of maximized rainfall can be obtained and this helps to develop enveloped curves .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 set of contour maps of PMP for each rainfall duration for all over the country and the depth-area-duration relationships for the area of 100 to 50,000 km.$^{2}$ at duration of 1, 2 and 3 days.

  • PDF

침수유발 강우량을 이용한 강원특별자치도 호우특보 기준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heavy rain warning in Gangwon State using threshold rainfall)

  • 이현지;강동호;이익상;김병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1호
    • /
    • pp.751-764
    • /
    • 2023
  • 강원특별자치도는 태백산맥을 중심으로 지방에 따라 기후 특성이 매우 다르며, 국지성 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지역이다. 호우재해는 발생 시간이 짧고, 시공간적 변동성이 매우 커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한다. 최근 10년(2012~2021)간 강원지역 호우피해 발생 횟수는 28건이고, 평균 발생 피해액은 456억 원가량으로 집계되었다. 호우재해를 저감하기 위해선 지역단위의 재난관리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나 현재 운영 중인 호우특보 기준은 획일화되어 지역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한 특보구역을 대상으로 침수유발 강우량을 고려한 호우특보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보구역별 침수유발 강우량 대푯값 분석 결과 평균값이 호우특보 발령 기준과 유사했고, 이를 본 연구의 호우특보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호우특보 기준 검토를 위한 강우사상으로 2019년 태풍 미탁, 2020년 태풍 마이삭과 하이선, 2023년 태풍 카눈 강우사상을 적용했고, Hit Rate 정확도 검증 결과 강릉평지 72%, 원주 98%로 본 연구는 실제 특보를 잘 반영함을 확인했다. 본 연구의 호우특보 기준은 위기경보 단계(관심, 주의, 경계, 심각)와 위계가 동일하여 선제적 호우재해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호우재해 대응의 획일적 의사결정 시스템을 보완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별 재해위험성을 고려한 호우특보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USE OF QUICKS CAT WIND TO ESTIMATE THE VERTICAL VELOCITY IN TYPHOON AND SNOWSTORM

  • Heol Ki-young;Ha Kyung-Ja;Lee Dong-Kyu;Jeong Jin-Yo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54-57
    • /
    • 2005
  • This study examines moisture supplement from the warm ocean in snowfalls of two cases and heavy rainfall of Typhoon case. The QuickSCAT wind is used to evaluate the convergence of moisture fluxes in the storms from the sea in estimation of the amount of heavy snowstorm and rainfall. The results show that enough water vapor transport from ocean to atmosphere induced the severe storms, because strong QuickSCAT -derived vertical velocity nearly concurred with heavy snowfall and rainfall. In the present study, we attempted to show that QuickSCAT wind can be used to forecast the severe weather events, such as heavy snowfall and rainfal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