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Changes in Rainfall Quantil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Data Period

자료기간 증가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거동특성 분석

  • An, Jae-Hyeon (Dept. of Civil Environment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
  • Kim, Tae-Ung (Dept. of Civil Energ., Utah State Univ.) ;
  • Yu, Cheol-Sang (Dept. of Environment Engrg., Korea Univ.) ;
  • Un, Yong-Nam (Dept. of Environment Engrg., Korea Univ.)
  • 안재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 김태웅 (유타누주립대학교대학원토목공학과) ;
  • 유철상 (고려대학교 환경공학과) ;
  • 운용남 (고려대학교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0.10.01

Abstract

To account for the influence of heavy storm in Korea by climate change like global warming, the frequency analyses for annual maximum rainfall sequence in 12 rainfall gauge stations are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the temporal change, the rainfall quantile of each station is estimated by the 30-yr data period being moved from 1954 to 1998 with 1-yr lag. Through the analysis for l00-yr rainfall quantile it has been shown that the recent heavy storms increase comparing with storms in the past. From the additional estimating of the rainfall quantile of each station by the 30-yr data period being cumulated from 1954 to 1998 with 1-yr, the change of the probable rainfall by including the heavy storm duration is realized. When the hydraulic structures are determined, it is important to select the data size and necessary to reestimate the flood prevention capacity in existing river systems.ystems.

지구온난화와 같은 기후변화로 인해 최근에 한반도에서 급증하고 있는 집중호우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12개 우량관측소 지점의 연 최대 강우량 계열에 대한 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확률강우량의 시간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료기간을 30년으로 한 후 1년씩 이동하면서 l00년 빈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고, 80% 이상의 지점에서 최근의 집중호우가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료기간을 1년씩 누가하면서 100년 일최대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여 집중호우가 발생했던 해의 연 최대 강우량 포함에 따른 확률강우량의 증가 경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수공고조물의 설계를 위한 빈도해석시 자료기간 산정의 중요성과 기존 하천시스템의 홍수방어능력에 대한 재평가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부 (1993). 1993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 보고서
  2. 김 승 (1999). '이상기후에 따른 홍수관리대책.', 이상기후 워크샵, 기상청, pp 14-16
  3. 오재호, 홍성길 (1995), '대기중 CO2 증가에 따른 한반도 강수량 변화,'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28권, 제3호,pp 143-157
  4. 윤용남 (1998) '우리 나라 치수방재대책의 향후 추진 방향,'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1권, 제5호, pp 51-60
  5. 윤용남, 유철상, 이재수, 안재현 (1999a) '지구온난화에 따른 홍수 및 가뭄 발생빈도의 변화와 관련하여 1. 연/월강수량의 변화에 따른 일강수량 분포의 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2권, 제6호, pp. 617-625
  6. 윤용남, 유철상, 이재수, 안재현 (1999b). '지구온난화에 따른 홍수 및 가뭄 발생빈도의 변화와 관련하여 : 2. 지구온난화에 따른 일강수량 분포의 변화 추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2권, 제6호, pp. 627-636
  7. 윤용남, 이재수, 유철상, 안재현 (1999c).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수문환경의 변화 연구, '99 학술 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1999. 5, pp 165-168
  8. 이동률, 홍일표, 김남원, 서병하 (1994) '수자원 계획을 위한 과거 강수량 자료의 분석,'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7권, 제3호, pp. 71-82
  9. 이종태 (1998). '98 홍수재해원인과 하천관리의 문제점.'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1권, 제5호, pp. 20-32
  10. 조하만, 최영진, 권효정 (1997). '우리나라 여름철 강수량의 기후적 분포 특성,'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3호, pp. 247-256
  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994).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구 환경관련 대책 연구(I), 과학기술처
  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995),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구 환경관련 대책 연구(II), 과학기술처
  13. Angel, J. R. and Huff, F. A. (1997). 'Changes in Heavy Rainfall in Midwestern United State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3, No.4, pp. 246-249 https://doi.org/10.1061/(ASCE)0733-9496(1997)123:4(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