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t transfer efficiency reduction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9초

튜브형상에 따른 배기가스 재순환 냉각 장치 열전달 성능 평가 (Heat Transfer Analysis of EGR Cooler with Different Tube Shape)

  • 손창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12-117
    • /
    • 2007
  • With the Euro-4 regulation coming into effect, the domestic car industry is forced to look for newer options to reduce NOX in the exhaust. EGR(Exhaust Gas Recirculation) Cooler is an effective method for the reduction of NOX form a diesel engine. High efficiency, low pressure loss and compactness are desirable features of an EGR Cooler. The cooling performance of EGR depends on the shape of tubes and the location of the entrance and exit. This paper reports the computational work conducted to estimate the performance of EGR cooler with three different cross section tubes and a triangular spiral tube. Three dimensional computation results show that the triangular tube is more effective than circular and rectangular tube. The most effective geometry is a triangular spiral tube with offset inlet and outlet locations.

블라인드 내장형 창호시스템의 에너지 성능 및 경제성 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Energy Performance And Economic Evaluation of Windows System with Built-in Type Blinds)

  • 조원화;임남기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7-10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전열해석 프로그램인 피지벨(PHYSIBEL)을 사용하여 블라인드 내장형 창호시스템의 일사차단성능 및 단열성능에 따른 에너지 성능을 평가하였다. 피지벨 해석시 창호별 구성 재료의 열적특성과 해석조건을 결정하기 위해서 Mock-up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동주택 기준층 1개 세대(33평형)를 대상으로 연간에너지 소비특성, 연간전열량, 연간 냉난방 비용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연간전열량은 일반 창호시스템 대비 블라인드 내장형 창호시스템에서 블라인드를 올린 경우 냉방시 10%, 난방시 11% 절감할 수 있으며, 블라인드를 내린 경우 냉방시 25%, 난방시 30%정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라인드 내장형 창호시스템의 냉 난방 부하 절감량은 일반 창호시스템에 비해 냉방시 283.3KWh, 난방시 76.3KWh 로 냉 난방 에너지 절감효과는 단위세대당 359.6KWh 절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단위세대당 연간 에너지원단위(TOE) 약 0.078toe, 이산화탄소톤($tCO_2$) $0.16tCO_2$을 절감시킬 수 있어 온실가스 저감에도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블라인드 내장형 창호시스템의 냉 난방비용 절감액은 일반창호시스템과 비교하여 연간 냉방비용 10만원, 난방비용 5만원으로 연간 냉 난방 비용을 약 15만원 정도 절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엔진 배기 폐열회수로 인한 배기 특성 변화 (Change in Engine Exhaust Characteristics Due to Automotive Waste Heat Recovery)

  • 김기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723-472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1-D 해석 프로그램인 AMESim을 활용하여 열전소자와 디젤엔진을 모델링하여 이를 New European Driving Cycle (NEDC) 운전모드에서 구동시킨 자동차에서 나오는 폐열을 이용해 열전소자로 발전을 하고 이에 따른 결과를 분석해보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열전소자 모델링 시 배기폐열 회수율 및 전기 에너지 변환률 뿐만 아니라 재료적 특성을 고려하여 열전달부분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디젤 산화 촉매(DOC)를 설계하여 열전소자로 인한 폐열회수가 디젤 산화촉매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결과 배기가스의 성분별 증감을 조사하였다. 열전소자를 이용한 폐열회수는 자동차 연비개선에 도움이 되지만, 배기가스의 온도를 떨어뜨려 촉매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 CO와 HC 배출이 최대 14%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열전소자를 이용한 배기 폐열 회수 시스템 개발 시에 배기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디젤기관의 성능과 배기관 특성에 의한 필터트랩의 열재생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rmal Regeneration of Filter Trap by Diesel Engine Performance and Characteristics of Exhaust Pipe)

  • 오용석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0-55
    • /
    • 1999
  • The exhaust emissions from diesel vehicle are known to be harmful to human health and environment. Recently, one of the most environment problems is particulate matter. In this study, through the actual exper iment and heat transfer of exhaust pipe in light duty diesel engine equipped with the ceramic filter trap of throttling typ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1. In case of light duty diesel engine equipped with ceramic filter trap of throttling type, Power and torque of engine were decreased about 5%, compared with the case without trap system. It means that was not so much effect on base engine performance.2. If the length of exhaust pipe when equipping with ceramic filter trap is suitably controlled, the range of regeneration will be expand much more.3.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efficiency of ceramic filter trap system was about 70%-80%, so it was proved a good system to reduce particulate matter.In experiment, test was conducted to estimate engine emission in 2,476cc light duty diesel engine which was equipped with ceramic filter trap.

  • PDF

국내 4개 중유발전소 실증실험을 통한 발전연료 대체용 바이오중유의 연소특성 연구 (The Four Power Plants Field Demonstration Research on Combustion Characteristic of the Bio Oil for Fuel Switching)

  • 백세현;김현희;박호영;김영주;김태형;고성호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23
    • /
    • 2015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field demonstration for fuel switching to bio-fuel oil in 4 commercial heavy oil fired power plants. The 100% fuel switching field demonstration was successfully carried out in two tangential-firing boilers at a capacity of 75 and 100 MWe respectively without major equipment retrofit, and also 25% bio-fuel oil blending for two opposite firing boilers at a capacity of 350 and 400 MWe respectively. Despite the low density and heating value, the bio fuel was successfully replaced heavy fuel oil at the full load by only adjusting operational parameters. Incase of bio fuel oil combustion, heat absorption of radiative heat transfer section was reduced while convection section has opposite trend. In pollutants emission, a major reductionin SOx as well as 10-20% reduction in NOx were achieved by the fuels witching. On the other hand, boiler efficiency was slightly underestimated.

NO Reduction and High Efficiency Combustion by Externally Oscillated Staging Burner

  • Lim, Mun-Sup;Yang, Won;Chun, Young-Nam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158-163
    • /
    • 2009
  • It is difficult for a burner to achieve an increase in combustibility and a reduction of NOx emission, simultaneously. The reason is because thermal NOx could be reduced at low temperature, while the combustibility should be decreased. To solve this problem, an externally oscillated staging burner was developed, and experiment was conducted according to effective parameters. The combustibility could be improved through the accelerated transfer of heat, mass and momentum obtained by external oscillation. Also, NO is reduced by the decrease of residence time of burning gas in the local highest-temperature spot, which is decreased by the external oscillation and fuel staging. Experiments on variabl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ference flame, and the flame generating the lowest NO concentration was selected. The conditions of reference flame were oscillation frequency 250 Hz, sound pressure 1 VPP, and air ratio 1.1, and NO and CO concentrations were 1ppm and 20 ppm, respectively.

열전도 패드가 적용된 6U 큐브위성용 태양전지판의 열적 특성 분석 (Thermal Characteristics Investigation of 6U CubeSat's Deployable Solar Panel Employing Thermal Gap Pad)

  • 김혜인;김홍래;오현웅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1-59
    • /
    • 2020
  • 초소형 위성인 큐브위성의 경우 위성체의 제한적인 중량 및 부피를 고려하여 경량화 및 전기적 회로설계 측면에서 유리한 PCB 기반의 전개형 태양전지판이 폭넓게 적용되고 있으나, PCB의 낮은 두께 방향 열전도율로 인해 태양전지셀의 방열이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6U 큐브위성용 태양전지판은 PCB 기반의 태양전지판으로 제작되고, 판넬 외곽에 장착된 알루미늄 보강재 접속부에 열전도 패드가 적용된다. 따라서 판넬 전면부의 태양전지셀에서 방열면인 판넬 후면으로 열전달이 원활하도록 하여 PCB 적용에 따른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방열성능을 극대화함으로서 태양전지셀 온도 하강에 따른 전력생성효율 향상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열전도 패드가 적용된 태양전지판의 열제어 측면에서의 유효성 입증을 위해 궤도 열해석을 통해 기존 PCB 태양전지판과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필렌 화염을 이용한 선박용 철판 가공 시 온실가스 감소 효과 및 재료의 인장 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Greenhouse Gas Reduction and Marine Steel Plate Tensile Properties When Using Propylene Flame in the Cutting Process)

  • 김도현;김동욱;서형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39-647
    • /
    • 2022
  • 선박의 건조공정 중 강재의 절단과 곡 가공, 용접에 있어 화염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현재 조선소의 강재 절단과 가공 과정에서는 아세틸렌이 화염 연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폭발 사고의 위험성과 상대적으로 적은 발열량의 한계로 최근에는 프로판 연료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프로판 연료는 상대적으로 가공 속도가 느리고, 가공 시 슬래그의 발생빈도가 높아 품질이 저하된다. 대체 연료로써 프로필렌이 주목받으며 가공 속도와 품질향상에 대한 기대가 증가하고 있다. 프로필렌은 발열량이 우수한 연료로 강재 가공 간 생산성과 가공 품질의 우수성을 갖추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프로판, 프로필렌 화염을 이용한 철판 가공 시 각 연료의 연소 특성을 분석 및 비교하였다. 프로필렌 화염을 이용한 철판 가공 시 배출되는 온실가스와 유해가스를 프로판 연료의 배출량과 비교하여 저감효과를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가공 연료에 따른 입열량이 선박용 강재의 기계적 강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열 분포실험과 인장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로, 대체 연료인 프로필렌을 사용할 때 프로판 연료에 비해 온도분포가 고르게 나타났다. 기계적 강도 실험 결과로 인장강도의 저하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변형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실제 조선소의 강재가공 및 절단과정에 적용하였을 때,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분석 및 보완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100마력 고온초전도 동기전동기 개발 (Development of a 100 hp HTS Synchronous Motor)

  • 손명환;백승규;이언용;권영길;조영식;김종무;문태선;김영춘;권운식;박희주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기기및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B
    • /
    • 제54권2호
    • /
    • pp.94-100
    • /
    • 2005
  • 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KERI) has successfully developed a 100hp-1800rpm-class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HTS) motor with high efficiency under partnership with Doosan Heavy Industries & Construction Co. Ltd. This motor has a HTS field winding and an air-cooled stator. The advantages of HTS motor can be represented by a reduction of 50% in both losses and size compared to conventional motors of the same rating. The cooling system is based on the heat transfer mechanism of the thermosyphon by using GM cryocooler as cooling source. The cold head is in contact with the condenser of a Ne-filled thermosyphon. Independently, the rotor assembly was tested at the stationary state and combined with stator. The HTS field winding could be cooled into below 30K. Test of open-circuit characteristics(OCC) and short-circuit characteristics(SCC) and load test with resistive load bank were conducted in generator mode. Also, load tests in motor mode driven by inverter were finished at KERI. Maximum operating current of field winding at 30K was 120A. From OCC and SCC test results synchronous inductance and synchronous reactance were 2.4mH, 0.49pu, respectively. Efficiency of this HTS machine was 93.3% in full load(100hp) test. This paper will present design, construction. and experimental test results of the 100hp HTS machine.

하이브리드 자동차 에어컨용 전동식 압축기 모터 시스템의 열유동 해석 연구 (A Study on the Thermo-Flow Analysis of Air Conditioning Electric Compressor Motor System for Hybrid Electric Vehicles)

  • 김성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592-597
    • /
    • 2013
  • 인버터 일체형 전동식 압축기 내부의 모터 및 인버터에서 발생된 열은 차가운 냉매에 의해 냉각되기 때문에 열적인 문제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압축기 모터 및 인버터의 열전달 성능은 압축부와의 상호 열전달에 의하여 압축기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외기 환경 및 시스템 운전조건에 따라, 모터 및 인버터의 온도 증가는 이러한 모터 시스템의 출력 밀도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인버터는 온도 상한치 관리에 의해 작동이 멈추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동식 압축기 모터 시스템의 열유동 해석을 수행하였고, 모터 및 인버터의 방열성능 향상에 대해 분석하였다. 현 모델의 해석 결과는 압축기 운전영역에서 모터가 전반적으로 낮은 온도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인버터의 경우는 고속조건에서 관리 온도인 $85^{\circ}C$ 이내 범위를 만족하지만, 저속 가혹조건에서 제한 온도를 $10^{\circ}C$ 정도 초과하였다. 따라서 가혹 운전조건에서의 방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압축기 유로개선 뿐만 아니라 모터 및 인버터의 발열 저감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