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ring ability of elderly peopl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초

일반인의 청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earing Ability of Ordinary People on the Quality of Life)

  • 김석환;오지영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2-167
    • /
    • 2018
  • Background: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an analysis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hearing and quality of life and to prepare effective troubleshooting. Methods: In this study, we analyzed using the data of the 6th term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f the Disease Management Headquarters. And, out of 7,380 people, 3,598 adults over the age of 40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hearing test were selected as final research subjects and analyzed.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ult of the analysis affects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hearing. The quality of life associated with hearing loss was unpleasant, motor ability, anxiety/depression, and everyday life affected in order of self management. And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study subjects were found to be gender, elderly, unmarried, low hearing, low household income, absence of economic activity, and low teaching standards. Conclusion: The conclusion is that strengthening education for realistic management and prevention rather than treatment for unconditional hearing impairment will overcome low self esteem and loneliness and alleviate any uncomfortable life that people with hearing loss give. It is expected to be possible.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 for Hearing Impaired people Using Arduino

  • Jeon, An-Gyoon;Jeong, Dong-won;Lee, Sang-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4호
    • /
    • pp.214-220
    • /
    • 2019
  • Hearing impaired people are apt to be in danger because they can't detect danger with sound. Hearing impaired people have less risk-detection ability than non-disabled people because of lack of hearing. There are many devices to help the hearing impaired, such as hearing aids. A hearing aids can be helpful, but it may not be available depending on the degree or type of hearing loss for example, to the hearing-impaired people with little remaining hearing of high frequencies, ordinary hearing aids are not very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high frequency consonants and it requires a high cost, from thousands to tens of thousands of dollars. Also, it is difficult for the underprivileged, such as the low-income bracket and the elderly, to use them because they are difficult to manage. Therefore,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low-cost wearable device to assistant a hearing-impaired people using Arduino. Also, it accepts values from switches or sensors and can control external electronic devices such as LEDs and motors to create objects that can interact with the environment. In this is paper, through sound sensors, the ambient sound was taken as an analogue value and transmitted to the aduino board, and the vibration motor was operated when the noise was generated, so that the user could be aware of the occurrence of danger.

노인요양시설 노인들의 건강상태, 일상생활능력, 수면상태와 우울의 관련성 (Relationship Among the Health State, Daily Living Activities (ADL, IADL), Sleep State, and Depression Among Old People at Elderly Care Facilities)

  • 김명숙;김종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609-2619
    • /
    • 2015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노인들의 우울과 건강상태, 일상생활수행능력, 수면상태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노인요양시설에서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노인요양시설 노인들의 우울 관련성은 시력상태, 치아상태, 수면의 질, 수면상태 등과 관련이 있었으며, 시력상태가 나쁜 군, 치아상태가 나쁜 군, 수면의 질이 나쁜 군, 수면장애가 있는 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우울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우울과 연령과는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치아상태, 수면의 질 등이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요양시설 노인들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시력상태, 치아상태, 수면상태, 청력상태 등이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요양시설 노인들의 우울과의 관련성은 개인이 인지하는 건강상태와 관련이 높으며, 건강관리와 간호중재도 개인별 건강상태에 세심한 관심과 시력상태, 치아상태가 낮은 노인관리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음성명료도 시험에 의한 노인 교육시설의 청취환경 조사 (Investigation of the listening environment of classrooms for elderly people using speech intelligibility tests)

  • 박찬재;김보경;한찬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8-30
    • /
    • 2021
  •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청력 비완전자인 노인을 위한 학습공간의 음향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사전연구로서 본 연구는 현재 운영 중인 노인 교육시설의 청취환경을 조사하고 이를 이용 중인 노인의 음성 인지성능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청주시 소재 2개 노인 교육시설을 대상으로 물리적 음향성능을 측정하고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다. 또한, 음절법과 단어법을 이용한 음성명료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전반적인 청취환경에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경소음, 신호대잡음비, 잔향시간, 음성전달지수와 같은 물리적 음향성능 측정 결과 대한민국 일반교실의 음향성능 기준을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음성명료도 평가 결과 20대 건청인에 비해 노인 그룹의 점수가 20점 이상의 차이로 월등히 낮았으며,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점수 또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 사용 중인 일반인 대상 교육시설의 음향성능 기준이 노인 교육시설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난청 고령자의 우울정도, 인지기능, 의사소통능력 및 정량뇌파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Depression, Cognition, Communication, and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m in Hearing Impaired Elderly)

  • 김형재;원희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30-440
    • /
    • 2021
  • 본 연구는 난청 고령자의 우울정도, 인지기능, 의사소통능력 및 정량뇌파를 분석하고, 관련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시도하였다. Y 시 소재의 S 청능재활 센터를 내원한 60세 이상의 난청 고령자 중 모집공고문을 통해 남성 37명, 여성 26명이 2020년 6월 20일부터 2020년 9월 3일까지 자발적으로 참여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대상자의 전반적인 특성, 우울정도,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의사소통능력의 척도인 단어인지도는 한국표준 단음절어를 사용하여 진단용 청력검사기로 평가하였다. 정량뇌파는 전전두엽 Fp1과 Fp2에 건식 전극을 사용하여 2채널 뇌파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으로 인구 사회학적 특성 파악을 위한 빈도분석, 변수간 Pearson's correlation분석, 3분할 집단 간 One-way ANOVA분석을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의사소통능력은 전전두엽 좌우 대칭성(**p<.01)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우뇌 정신적 산만 및 스트레스(*p<.05)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우울정도와 인지기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의사소통능력에 따른 3분할 집단별 차이 검정에서도 전전두엽 좌우 대칭성(**p<.01)이 우울정도와 인지능력보다 높은 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정량뇌파에서 측정된 전전두엽 좌우 대칭성이 난청 고령자의 의사소통능력의 강력한 생체적 지표 가능성을 시사 하였다.

지역사회 노인의 연령에 따른 이름대기 능력, 청력장애, 우울 수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Naming Abilities, Hearing Handicap, and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 이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97-10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연령집단별로 지역사회 노인의 대면이름대기 능력, 생성이름대기 능력, 청력장애 수준, 우울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들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노인의 두 가지 이름대기 능력(대면이름대기와 생성이름대기)을 설명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노인 65명을 65~74세 연소 노인, 75~84세 고령 노인, 85세 이상 초고령 노인으로 구분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대면이름대기 검사로는 K-BNT-15를, 생성이름대기 검사로는 동물 이름대기 검사를, 주관적 청력장애의 측정은 K-HHIE를, 주관적 우울 정도 측정은 GDS를 사용하였다. 첫째, 연령 집단에 따라 대면이름대기 능력과 우울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연령과 우울 수준, 청력장애 수준과 우울 수준 간에 정적 상관을, 교육 수준과 우울 수준 간에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대면이름대기 점수는 연령이, 생성이름대기 점수는 우울 수준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년층의 이름대기 능력, 청력장애 정도, 우울 수준을 연령대별로 세분화하여 살펴보고, 이들이 단순히 노화의 결과가 아니라는 것과,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보다 융합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고령운전자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기능 연구 (인터랙션 디자인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Autonomous Vehicle Feature for the Elderly Driver (Focusing on Interaction Design))

  • 최규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74-481
    • /
    • 2019
  • 우리나라는 2018년 고령자 인구가 전체인구의 14.4%를 차지하여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진입하였고 2026년에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예정이다. 특히, 2050년에는 고령자 인구가 전체 인구의 38%로서 고령자 수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나라 중에 하나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1]. 고령자 인구의 증가는 자연스럽게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데, 2017년 우리나라 교통사고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 교통 사고는 2만 6,713건으로 848명이 사망하고 부상자 3만 8,627명이 발생했다. 2011년과 비교하면 사고 건수와 부상자 수는 약 2배, 사망자 수는 1.4배 증가했다[3]. 본 연구는 교통사고 증가의 주된 요인이 시각/청각 능력의 저하, 인지 및 정보처리 능력의 저하, 근력의 저하 등 고령운전자의 특성에 의한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운전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령운전자를 위한 자율주행차량(레벨2)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새로운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운전자를 위한 자율주행차량 기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도로환경에 따른 명료한 정보 제공/운전자의 물리적 신체 특성 고려/단순한 인터페이스/차량내 안전장치의 보강이라는 고령운전자를 위한 자율주행차량의 4가지 기능을 도출하였다.

재가급여 장기요양인정 노인들의 신체기능 상태 및 관련요인 (Physical Functioning and Related Factors in the Elderly People Admitted Long-term Home Care Insurance)

  • 윤석한;이광성;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338-2348
    • /
    • 2013
  • 본 연구는 재가급여 장기요양인정노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신체적 기능 상태를 평가하고 그에 관련된 요인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거주하고 있으면서 재가급여 요양자로 등록되어 있는 65세 이상 노인 618명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1년 12월 1일부터 2012년 3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의 ADL에 대한 기능장애군의 분포는 45.6%로 나타났으며, IADL에 대한 기능장애군의 분포는 48.4%로 나타나 ADL보다 IADL에서의 기능장애 비율이 더 높았다. ADL과 IADL에서의 기능장애군에 속할 위험비는 여자보다 남자에서, 혼자 산다는 군보다 배우자나 자녀와 함께 산다는 군에서, 생활비조달을 자신이 한다는 군보다 자녀가 해 준다는 군에서, 의료보호군보다 건강보험군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외출을 자주 한다는 군보다 거의 하지 않는 다는 군에서, 취미활동을 자주 한다는 군보다 거의 하지 않는 다는 군에서,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다는 군보다 좋지 않다는 군에서, 신체의 부자유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눈의 부자유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귀의 부자유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치아의 부자유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요실금이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건망증이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재가급여인정노인들의 신체적 기능 상태는 ADL보다 IADL 기능이 더 감소되어 있었으며, ADL과 IADL 모두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건강상태의 다양한 요인이 관련되어 있었다.

국내 노인생애체험전시관의 공간디자인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Space Design and Design Elements of Aging Simulation Centers)

  • 김영주;이윤희;신화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11-121
    • /
    • 2008
  • In recent years, Korean population aged 65 and over has grown faster(7.2% in 2000, 14.4% projected in 2018 and 20.0% in 2026) than the other age groups and average life expectancy has increased from 65.8 years in 1980 to 75.9 years in 2000. The Aging Simulation Center(ASC) was built for people to give educational chance for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and the environment for the aged. People are able to recognize the changes including hearing loss, vision changes, and changes in the ability to touch and move after experiencing the simulated daily life of older persons. In general, ASC is composed of residential setting area and exhibition area of daily commodities for the elderly and care person. Currently, there are four ASC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design and design elements of ASCs and to suggest design implementation for better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elderly. For the research purpose, design characteristics such as floor plans and spatial design elements of three ASCs were analyzed and compared. As a whole, space design of three ASCs was almost same without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ASC is considerably helpful environment to understand aging. However, some of design elements such as lighting should be supplemented for safety issue. It is recommended for future design of ASC to include exterior space including outdoor stairs, paths and roads and so on. In addition, reception and preparation area should be arranged with universally designed furniture.

고령화 세대의 스마트폰 사용자를 위한 GUI 디자인 융복합 가이드라인 연구 (Study of GUI design convergence guideline for the users of aged generation)

  • 전인규;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323-331
    • /
    • 2015
  • 21세기는 전 세계적으로 빠른 속도로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중 실버세대의 사용자들은 시각적, 청각적, 물리적인 노화가 진행되고 있고, 정보의 80% 이상을 처리하는 시각이 노화함에 따라 GUI 디자인융복합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GUI의 기본 구성 요소인 색상, 글자(text), 아이콘(icon) 요소에 대해 실버세대를 대상으로 조사함으로써 적합한 시각적인 요소를 도출하여 실버세대의 스마트폰 사용자를 위한 스마트폰 GUI 디자인 융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논문 및 관련서적 등의 내용을 고찰하여 UX디자인 전문가와 평가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설문에 필요한 화면을 디자인 및 제작하였다. 65세 이상의 고령자 101명을 조사하여 실버세대를 위한 스마트폰 GUI 디자인융복합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