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food and supplements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산과 미국산 프로폴리스의 항돌연변이 및 항균효과 (Antimutagenic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Korean and American Propolis)

  • 장일웅;박정섭;권형철;정문웅;최동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94-699
    • /
    • 2009
  •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균효과를 시험하여 국내산과 미국산 프로폴리스의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항돌연변이 활성은 Ames test로, 항균활성은 여드름 형성에 관여하는 미생물인 P. acnes, S. Epidermidis, S. aureus, P. aeruginosa에 대한 생육 억제효과를 paper disk 법과 agar dilution 법으로 평가하였다. S. Typhimurium TA98 균주에 있어서 $1-200\;{\mu}g$/plate 농도로 70%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했을 때 Trp-p-1에 의해 유도된 돌연변이에 대해 국내산 0.9-91.3%, 미국산 0.5-104.2%, 2-AA에 의해 유도된 돌연변이에 대해서는 국내산 37.6-94.4%, 미국산 21.0-97.7%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용량 의존적으로 각각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을 paper disk 법으로 평가했을 때 P. acnes, S. Epidermidis, S. aureus, P. aeruginosa에 대해 70% 에탄올 추출물의 $5,000\;{\mu}g$/paper disk 농도에서의 생육 저지환의 크기는 국내산이 각각 5.7, 5.9, 6.8, 5.2 mm, 미국산이 각각 5.7, 6.2, 6.7, 5.9 mm이었다. Agar dilution 법으로 평가한 MIC는 P. acnes, P. aeruginosa S. Epidermidis, S. aureus, P. aeruginosa에 대해 국내산, 미국산 모두 5,000, 1,500, 1,500, $1,500\;{\mu}g/mL$로 나타났다.

Health Status, Dietary Patterns, and Living Habits of the Elderly in Jeon-ju

  • Kim, In-Sook;Yu, Hyeon-Hee
    • Nutritional Sciences
    • /
    • 제5권2호
    • /
    • pp.91-102
    • /
    • 2002
  • A survey of how dietary patterns and living habits were related to individual health status was undertaken amongst the elderly in Jeon-ju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order to collect information which would be useful in preventing chronic diseases and promoting health in the general population. Two hundred and thirty elderly people, 73 min (31.7%) and 157 women (68.3%) from the colleges and households in the Jeon-ju area, were studied in truly and August, 1999. Average scores for men and women, respectively, in nutrition-related questions were as follows: 4.98 $\pm$ 0.24 and 5.24 $\pm$ 0.13 in a nutrition knowledge test (maximum score= 10), 25.92 $\pm$ 0.39 and 26.04 $\pm$ 0.26 for nutrition attitudes (maximum=50), and 11.25 $\pm$ 0.15 and 10.70 $\pm$ 0.12 for dietary habits (maximum= 15). The percentages of smokers and drinkers in the sample were 23.3% and 31.5% among men, and 3.2% and 10.8% among women, respectively, while those who took regular exercise were 67.1% among men and 34.8% among women. Average scores of clinical symptoms for men and women were 27.62 $\pm$ 0.62 and 33.36 $\pm$ 0.47, respectively.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effects of individual dietary patterns and lifestyles on current health status in a healthy group (below the 25 percentile in clinical symptom scores) and an unhealthy group (above the 75 percentile in clinical symptom scores). The results show that the healthy elderly group had relatively good nutrition knowledge, nutrition attitudes, and dietary patterns, ate with family, took nutrition supplements and snacks, and did not smoke. The most healthy group ate out once a month, drank small quantities of alcohol occasionally, and exercised once or twice a week. We believ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developing or coordinating plans or programs f)r improving the health of elderly people.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리보플라빈 (202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riboflavin)

  • 이정은;조진아;김기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3호
    • /
    • pp.321-329
    • /
    • 2022
  • 리보플라빈 (비타민 B2)은 한국인에게 섭취 부족의 우려가 있는 비타민으로서 에너지 대사를 포함한 산화/환원 반응의 조효소로서 작용한다. 적절한 섭취수준을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적혈구에서의 리보플라빈 농도나 EGRAC, 혹은 소변의 리보플라빈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적혈구 리보플라빈 수준은 400 nmol/L (15 ㎍/100 mL) 이상을 적정수준, 270 nmol/L (10 ㎍/100 mL) 이하를 결핍으로 하거나 EGRAC 값이 1.2 이하인 경우 적정수준, 1.4이상이면 결핍으로 판정한다.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개정 시 19-64세 성인의 2020 리보플라빈 평균필요량은 남자 1.3 mg/d, 여자 1.0 mg/d로 설정되었으며, 64-74세 남자 1.2 mg/d, 여자 0.9 mg/d, 75세 이상 남자 1.1 mg/d, 여자 0.8 mg/d로 성인 보다 낮게 설정되었다. 2020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19세 이상 우리나라 성인의 리보플라빈 평균 섭취량은 1.69 mg/d이며, 권장섭취량 대비 124.9% 였고, 보충제 섭취자들의 보충제로부터의 리보플라빈 섭취량은 평균 10.26 mg/d로 식품으로부터 섭취하는 1.50 mg에 비해 약 6.8배 높은 수준이었다 [18].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에서 연령별, 성별 리보플라빈 권장섭취량은 각 생애주기 구간별 평균필요량에 변이계수 10%를 적용하여 평균필요량의 120% 수준으로 설정되었다 리보플라빈의 대표적 식품 급원으로는 유제품, 난류, 육류, 가금류와 생선류의 동물성 식품과 두류, 녹색채소류, 곡류 등이 있으며 2020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리보플라빈 급원 식품으로 기여도가 높은 식품은 달걀, 라면, 돼지고기, 우유, 간장, 쇠고기, 배추김치, 닭고기, 고추가루, 시리얼 순이다. 최근 리보플라빈의 경우 비타민 보충제 외에도 다양한 건강기능성 식품섭취로 인해 보충제를 섭취하는 사람들의 경우 보충제로부터의 섭취수준이 식품으로부터의 섭취량을 훨씬 초과하고 있어 리보플라빈 영양상태 평가 시 보충제로부터 섭취하는 수준에 대한 평가가 향후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개정에서는 만성 질환 예방에 대한 부분은 아직 과학적 증거의 불충분으로 고려되지 않았으나 향후 만성질환과 관련된 역학연구 및 중재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식품영양학 전공 및 비전공 여대생의 식습관 및 건강관심도에 관한 비교 연구 - 삼육대학교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f Dietary Habits, Mini Dietary Assessment Scores, and Health Interest between Femal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and Other Departments, Sahmyook University)

  • 신경옥;정근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41-351
    • /
    • 2010
  • 본 연구는 삼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식품영양학 전공 여대생 79명과 비전공 여대생 77명) 총 156명을 대상으로 식품영양학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식습관, 식생활 평가, 음주와 흡연 등의 기호식품 섭취 및 건강 관심도에 관한 사항 등을 비교하기 위하여 2009년 9월부터 2009년 12월 사이에 실시하였다. 1. 전체 여대생들의 평균 신장과 체중은 각각 161.56${\pm}$4.42 cm, 51.98${\pm}$5.07 kg이었으며, 체질량지수는 19.92${\pm}$1.86 kg/$m^2$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식품영양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신장, 체중 및 체질량지수 평균값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식품영양학 전공자는 비전공자에 비해 김치 이외의 채소를 식사 때마다 먹는 비율(39.2%)과 튀김이나 기름에 볶는 요리를 주 2회 이상 먹는 비율(38.0%)이 높았으며, 과일이나 과일 주스를 매일 먹는 비율(29.1%)과 삼겹살 갈비 등 지방이 많은 육류를 주 2회 이상 먹는 비율(15.2%)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3. 하루에 1회 정도 간식을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간식의 섭취에 있어서 식품영양전공자의 경우 우유 및 유제품(37.1%), 과일(40.0%), 패스트푸드 및 튀김류(25.7%)의 섭취가 비전공자에 비해 높게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4. 식품영양 전공자의 영양소 섭취 상태는 비타민 C와 비타민 E의 섭취량이 높았으며, 비전공자의 경우 비타민 $B_1$과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이 높게 조사되었다(p<0.05). 5. 식품영양 전공자는 7.6%만이 건강에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건강을 유지하기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규칙적인 운동 35.5%, 규칙적인 식사 및 영양 보충 32.9%로 답하였다. 식품영양 전공자는 27.8%, 비전공자는 31.2%가 운동을 한다고 답하였으며, 운동은 일주일에 1~2회 하는 것(43.5%)으로 조사되었고, 1회 운동 시 소요되는 시간은 전체 조사 대상자의 45.7%가 30분~1시간 정도라고 답하였다. 6. 식품영양 전공자의 경우 24.1%, 비전공자의 경우 29.9%가 영양제를 복용하고 있었으며, 복용하고 있는 영양제의 종류로는 비타민제제가 69.1%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7.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들이 흡연보다는 음주를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 응한 여대생의 87.8%는 음주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음주를 하지 않는 여대생은 12.2%에 불과하였다. 특히 비전공자의 92.2%는 음주를 한다고 답하였다. 일반적으로 식품영양 전공 여대생들이 영양적 지식을 바탕으로 식품의 선택과 영양소 섭취량이 비전공 여대생에 비해 더 양호할 것으로 생각되나, 본 연구에서의 식품영양 전공 여대생들의 식생활 평가는 비전공자 여대생에 비해 아주 우수한 편은 아니었으며, 영양소 섭취 상태에서 식품영양 전공자들은 항산화물질인 비타민 C와 비타민 E의 섭취량이 높은 반면에, 비전공자들은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이 높게 조사되었다. 따라서 식품영양 전공 여대생의 경우, 배운 지식을 실생활에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의 유도가 필요하며, 식생활 개선을 위한 계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비전공자의 경우 주입식의 지식보다는 경험을 통한 영양교육이 절실히 요구되며, 다양한 도구들은 이용한 식품영양에 관한 교양 수업의 방법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대중매체의 정확한 정보의 전달을 통해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영양교육 형태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Dietary zinc intake and sources among Koreans: finding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9

  • Jee-Seon Shim;Ki Nam Kim;Jung-Sug Lee;Mi Ock Yoon;Hyun Sook L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2호
    • /
    • pp.257-268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Zinc is an essential trace mineral which is important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human body and immunological and neurological functions. Inadequate zinc intake may cause zinc deficiency with its adverse consequences. In this study, we aimed to estimate the dietary zinc intake levels and sources among Koreans. SUBJECTS/METHODS: For this secondary analysis, we obtained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6-2019. Individuals aged ≥ 1 yr who had completed a 24-h recall were included. The dietary zinc intake of each individual was calculated by applying data from a newly developed zinc content database to the KNHANES raw data. We also compared the extracted data with the sex-, age-specific reference values suggested in the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s 2020. The prevalence of adequate zinc intake was then evaluated by the proportion of the individuals who met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RESULTS: The mean zinc intake of Koreans aged ≥ 1 yr and adults aged ≥ 19 yrs were 10.2 and 10.4 mg/day, equivalent to 147.4% and 140.8% of the EAR, respectively. Approximately 2 in 3 Koreans met the EAR for zinc, but the zinc intake differed slightly among the different age and sex groups. In children aged 1-2 yrs, 2 out of 5 exceeded the upper level of intake, and nearly half of the younger adults (19-29 yrs) and the elders (≥ 75 yrs) did not meet the EAR. The major contributing food groups were grains (38.9%), meats (20.4%), and vegetables (11.1%). The top 5 food contributors to zinc intake were rice, beef, pork, egg, and baechu kimchi, which accounted for half of the dietary intake. CONCLUSION: The mean zinc intake among Koreans was above the recommended level, but 1 in 3 Koreans had inadequate zinc intake and some children were at risk of excessive zinc intake. Our study included zinc intake from diet only, thus to better understand zinc status, further research to include intake from dietary supplements is needed.

인천지역 대표 중고등학교 여자 선수의 운동경기 종목별 건강 및 식습관에 관한 조사 (A Survey on Self-reported Health and Eating Habit of Elite Female Adolescent Athletes in Incheon by Sport Type)

  • 성현이;장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66-373
    • /
    • 2005
  • 인천지 역 대표선수인 중ㆍ고등학교 여 자 펜싱 , 사격 , 육상, 수영 선수 총 102명을 대상으로 건강과 식습관에 대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 체 조사대 상자 중 35.9%가 현재 비타민 및 철분 보충제를 섭취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육상선수의 섭취율이 62.5%로 운동경기 종목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본인이 인식하는 건강상태는 전체 조사대상자의 65.3%가 '보통이다', 21%가 '좋다'고 응답하였고, 건강에 대한 관심정도는 전체 조사대상자의 69.5%가 보통이다', 25.3%가 '많다'고 응답하였다. 운동이 정신적 스트레스의 주요원인으로 나타났으며 운동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펜싱&gt;사격&gt;육상)수영 순인 반면에 훈련 중 신체적 부담에 대해서는 수영&gt;육상&gt;펜싱&gt;사격 순으로 나타나서 운동경기 종목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훈련 중 현기증을 느낀 적이 있는가에 대해 사격선수가 다른 종목에 비해 유의적으로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리 주기의 규칙성에 대해 절반이상이 "불규칙하다"고 응답하였다. 가장 문제가 되는 식습관에 대해 결식&gt;폭식&gt;편식&gt;맵고 짠 음식선호 순으로 응답하였다. 주로 결식하는 끼니로 펜싱과 사격선수는 아침식사를, 육상과 수영선수는 저녁식사를 주로 걸러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결식빈도에 대해 펜싱&gt;사격&gt;육상&gt;수영 순으로 자주 결식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운동경기 종목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아침식사의 규칙성에 대해 펜싱과 사격선수가 육상과 수영선수에 비해 '불규칙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주로 섭취하는 간식으로는 스낵 및 과자류, 탄산음료, 초콜릿, 사탕류&gt;우유,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등 유제품&gt;빵, 케이크, 떡(볶이)&gt;라면&gt;햄버거, 피자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인천지역 대표 여자 운동선수의 건강과 식습관은 운동종목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들 청소년 대표 여자 운동선수의 운동수행 능력과 건강을 위해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영양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이 운동종목별로 다양하게 개발되어 실용화되어야 할 것이다.

건강기능식품에서 LC-MS/MS를 이용한 코엔자임Q10 분석법 연구 (Analytical Method Development for Determination of Coenzyme Q10 by LC-MS/MS in Related Health Functional Foods)

  • 이진희;오미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19-525
    • /
    • 2019
  •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단성분보다는 복합제품 개발이 우선시되고, 12가지 기본제형이외에도 일반식품형태의 제품으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에서 기능성(지표)성분을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복합제품 등에서 정성·정량 가능한 코엔자임Q10을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액체크로마토그라프-질량분석기(LC-MS/MS)를 이용하여 건강기능식품 중 코엔자임Q10의 정성·정량시험법을 확립하였다. 확립된 시험법에 대해 특이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확도, 정밀도에 대한 검증을 통하여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중 유통검체 14건을 확보하여 시험의 적용가능성도 검토하였다. 직선성에서는 R2>0.999 이상임을 확인하였고,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각각 26.0 및 78.9 ㎍/L이었다. 또한 평균 회수율은 98.6-107.0%로 나타났으며, 반복정밀도는 상대표준편차 4.0%이하, 실험실간 재현성은 2.4%로 나타나 정확성, 재현성이 우수하였으며 이는 AOA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기준에 모두 적합한 수준이었다. 시중 유통 제품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84.0-118.7%로 모두 적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법은 건강기능식품 중 코엔자임Q10의 정성·정량분석에 이용될 수 있으며, 우수한 품질의 건강기능식품유통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bility of Lactobacillus GR-1 and RC-14 to Stimulate Host Defences and Reduce Gut Translocation and Infectivity of Salmonella typhimurium

  • Reid, Gregor;Charbonneau, Duane;Erb, Julie;Poehner, Russ;Gonzalez, Silvia;Gardiner, Gillian;Bruce, Andrew W.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2호
    • /
    • pp.168-173
    • /
    • 2002
  • Gastrointestinal infections kill over two million people each year, and pathogen contamination of livestock causes many cases of food poisoning. Two candidate intestinal probiotic strains, L. rhamnosus GR-1 and L. fermentum RC-14 were found to inhibit the growth of Salmonella typhi, Shigella dysenteriae, E.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L. innocua, Enterococcus faecalis, and Bacteroides fragilis. In a series of mouse experiments, L. rhamosus GR-1 and L rhamnosus GG protected against S. typhimurium infection and translocation to the liver and spleen, reduced mortality and induced intestinal phagocytic and immunoglobulin responses. In a second series of experiments, the combination of L. rhamnosus GR-1 and L. fermentum RC-14 was superior to L. rhamnosus GG and placebo in protecting the mice from the lethal effect of salmonella. In summary, the use of combinations of probiotic lactobacilli as dietary supplements or foods could be considered for people at high risk of salmonella intestinal infection. Given the post-infection complications that can arise, such natural methods warrant further exploration especially given the increasing problem of antibiotic resistance and the lack of alternative measures available to many developing countries.

어린이를 위한 일반식품에의 일부 미량영양소 임의영양 강화 안전 수준 평가 (A Strategy for Safe Addition of Selected Micronutrients to Foods for Children)

  • 오세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2호
    • /
    • pp.128-134
    • /
    • 2009
  • For children, voluntary addition of micronutrients to foods must be done without health risk to any of them. This study examined safe maximum levels of vitamin A and C, and calcium for children based on nutrient intake data from the 2001-2002 and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n Korea, while using the safe strategy for addition of micronutrients to foods suggested by EU. For the respective 2001-2002 and 2005 NHANES data proportions of potentially fortifiable energy intake ranged 0.36-0.40 and 0.31-0.34 and the $95^{th}$ percentile intake of energy were 2,325-3,296 kcal and 2,286-3,814 kcal depending upon age groups. Ninety-fifth percentile intake levels of vitamin A were over or close to UL, even without considering supplement intake for some age groups, which suggest that vitamin A fortification to foods required further consideration. For calcium, 12-14 year old children were the most sensitive group for excessive intake and nutrient fortification to foods. In these children, maximum levels for fortification were 242-290 mg and 484-580 mg with 0.135 and 0.068 proportions of fortified food (PFF) assumed, respectively, without considering calcium intake from supplements. With consideration of calcium intake from both diet and supplement, the maximum levels for fortification were 20-36% of those without supplement intake. The maximum fortification levels of vitamin C were the lowest in 3-5 year old children, showing 77-187 mg and 68-164 mg with and without supplement intake,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del used for risk assessment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help risk managers to set maximum levels for safe addition of micronutrients to foods.

Rapid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hair-growth compounds in adulterated products by ultra HPLC coupled to quadrupole-orbitrap MS

  • Lee, Ji Hyun;Park, Han Na;Kang, Gihaeng;Kim, Nam Sook;Park, Seongsoo;Lee, Jongkook;Kang, Hoil
    • 분석과학
    • /
    • 제32권2호
    • /
    • pp.56-64
    • /
    • 2019
  • Recently, a number of adulterated products, which are advertised as hair-growth enhancer have been emerged among those who suffer hair loss disease. For continuous control of illegal products, in this study,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simultaneous screening of 12 compounds that enhance hair-growth was established to protect public health by ultra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to quadrupole-orbitrap mass spectrometry (UHPLC-Q-Orbitrap-MS). Fragmentation pathways of them were proposed based on $MS^2$ spectral data obtained using the established method. In this analysis, the LODs and LOQs ranged from 0.05 to 50 ng/mL and from 0.17 to 167 ng/mL, respectively. The square of the linear correlation coefficient ($R^2$) was determined as more than 0.995. The intra- and inter-assay accuracies were respective 88-112 % and 88-115 %. Their precision values were measured within 5 % (intra-day) and 10 % (inter-day). Mean recoveries of target compounds in adulterated products ranged from 84 to 115%.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f stability was less than 12 % at $4^{\circ}C$ for 48 h. The method was employed to screen 14 dietary supplements advertised to be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hair loss. Some of the products (~21 %) were proven to contain synthetic drugs that promote hair growth such as triaminodil, minoxidil, and finaster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