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ealth and safety risks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23초

Mutagenicity Assessment of Drinking Water in Combination with Flavored Black Tea Bags: a Cross Sectional Study in Tehran

  • Alebouyeh, Farzaneh;Bidgoli, Sepideh Arbabi;Ziarati, Parisa;Heshmati, Masoomeh;Qomi, Mahnaz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7호
    • /
    • pp.7479-7484
    • /
    • 2015
  • Diseases related to water impurities may present as major public health burdens. The present study aimed to assess the mutagenicity of drinking water from different zones of Tehran, and evaluate possible health risks through making tea with tea bags, by Ames mutagenicity test using TA 100, TA 98 and YG1029 strains. For this purpose, 450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over the period of July to December 2014 from 5 different zones of Tehran. Except for one sample, no mutagenic potential was detected during these two seasons and the MI scores were almost normal (${\leq}1-1.6$) in TA 100, TA 98 and YG1029 strains. Although no mutagenic effects were considered in TA 98 and TA 100 in the test samples of our three evaluated tea bag brands, one sample from a local company showed mutagenic effects in the YG1029 strain (MI=1.7-1.9 and 2) after prolonged (10-15 min.) steeping. Despite the mild mutagenic effect discovered for one of the brand, this cross sectional study showed relative safety of water samples and black tea bags in Tehran.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of YG1029 to the mutagenic potential of water and black tea, even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by s9 fraction, this metabolizer strain could be considered as sensitive and applicable to food samples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mutagens.

근거에 기반한 의약품의 유익성-위해성 평가 (Evidence-Based Benefit-Risk Assessment of Medication)

  • 이의경
    • 보건의료기술평가
    • /
    • 제1권1호
    • /
    • pp.22-26
    • /
    • 2013
  • Objectives: Balancing benefits and risks through the drug life cycle has been discussed for many decad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processes and tools currently proposed for benefit-risk assessment of medicinal drugs. It aimed to establish scientific and efficient drug safe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synthetic analysis of benefit-risk evidence. Methods: We conducted a review of exiting literatures published by regulatory agencies or initiatives. Not only quantitative methodologies but also qualitative method were compared to understand their key characteristics for the benefit and risk assessment of drugs. Results: Recently, benefit-risk assessments have more structured approaches to decision making as part of regulatory science. Regulatory agencies such as European Medicines Agency, FDA have prepared plans to apply benefit-risk assessment to regulatory decision making. Also many initiatives such as IMI (Innovative Medicine Initiative) have conducted research and published reports about benefit-risk assessment. For benefit-risk assessment, four kinds of methods are necessary. Frameworks such as BRAT (Benefit Risk Action Team) framework, PrOACT-URL provide guidance for the whole process of decision-making. Metrics are measurements of risk benefit. The estimation techniques are methods to synthesis and combine evidences from various sources. The utility survey techniques are necessary to explicit preferences of various outcome from stakeholders. Conclusion: There is the lack of widely accepted, validated model for benefit-risk assessment. Nor there is an agreement among academia, industry, and government on methods for the quantitative valuation. It is also limited by available evidence and underlying assumptions. Nevertheless, benefit-risk assessment is fundamental to improve transparency, consistency and predictability for decision making through the structured systematic approaches.

가정에서 잠재적 위험성 식품을 다루는 주부들의 습관과 섭취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Handling Practices and Consumption of Potentially Risky Foods in Family Home)

  • 윤기선;윤현주;구성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47-158
    • /
    • 2005
  • 본 식품안전 설문지 조사 연구는 가정에서 주부들이 육류, 가금류, 어패류, 날달걀, 육류 가공 식품, 신선한 과일과 야채와 같은 잠재적 위험성 식품을 취급하는 류관 및 섭취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행해졌다. $40\%$ 이상의 응답자가 잠재적 위험성 식품을 다룬 후 손은 비누를 사용하지 않고 씻거나 행주로 닦는다고 대답하였다. 과반수 이상의 응답자가 날달걀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 위험성을 인식함이 없이 완전히 조리가 되지 않은 달걀 요리를 먹었다고 하였다. 특히, 날달걀을 깨뜨린 후 $34.0\%$가 손을 세척 하지 않아 날달걀을 다루는 동안 교차 오염의. 위험성이 높음을 나타내었다 채소, 과일의 세척은 $60\%$ 이상의 조사 대상자가 흐르는 물에 그냥 닦는다고 응답하였다 지난 1년 간 잠재적 위험성을 지닌 음식의 섭취를 살펴보면, ‘생선 초밥이나 회'와 ’생굴‘의 섭취가 $78.9\%$$45.2\%$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많은 주부들이 잠재적 위험성 식품을 취급하고 섭취할 때 특히 '교차 오염', 냉각 습관', ’냉장 보관기간', ‘섭취 방법' 등에서 안전하지 못한 행동들 함으로써 많은 위험성이 내재되어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자녀를 둔 주부들의 학교 급식 참여도를 고려할 때, 주부들이 안전하게 잠재적 위험성 식품을 다루도록 하기 위해 주부들을 위한 식품안전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충남 지역 일부 학교의 PM10과 중금속 농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Concentration of PM10 and Heavy Metal in Public Schools at Chung-Nam Area)

  • 손부순;송미라;김정덕;조태진;양원호;정태웅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9호
    • /
    • pp.1005-1013
    • /
    • 2008
  •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air quality of the indoor environments of schools, we measured the indoor, outdoor and personal exposure concentration level of $PM_{10}$ for 40 classrooms(20 old, 20 new) in chungnam area from June 22 to July 19 and from November 21 to December 30, 2003. 1. Old classrooms contained more dust than new classrooms; the average of respirable dust is $43.27\;{\mu}g/m^3$ for new classrooms while $53.38\;{\mu}g/m^3$ for old one. The exposure concentration level of respirable dust in new classrooms were in summer higher outdoors than indoors. The values were indoors $46.71\;{\mu}g/m^3$, outdoors $50.46\;{\mu}g/m^3$, and personal $41.62\;{\mu}g/m^3$. Meanwhile in winter indoors had a higher concentration level than outdoors, the values being indoors $39.11\;{\mu}g/m^3$, outdoors $34.86\;{\mu}g/m^3$, and personal $49.01\;{\mu}g/m^3$. 2. Cr concentration level within dust was slightly higher in summer indoors ($101.50{\pm}32.10\;ng/m^3$) and outdoors ($100.89{\pm}35.18\;ng/m^3$) than winter indoors ($85.80{\pm}48.95\;ng/m^3$) and outdoors ($74.43{\pm}38.93\;ng/m^3$), but in personal concentration level, winter was high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health risks from indoor air pollution, and shows possible health problems to students from school indoor air pollution. As such, a logical and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about the importance of indoor air quality should be carried out. Also the results of $PM_{10}$ concentration level measurements emphasize the need for regular measurements of indoor / outdoor and personal concentration level. New classrooms in particular needs to be used after measuring pollutants and safety, and requires installation of a ventilation device in all classrooms to improve air quality.

비살균 원유로 만든 다양한 치즈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 총설 (Safety of Various Types of Cheese manufactured from Unpasteurized Raw Milk: A Review)

  • 김홍석;천정환;임종수;김현숙;김동현;송광영;김수기;서건호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1호
    • /
    • pp.1-15
    • /
    • 2015
  • 2014년 4월 미국낙농수출협회의 자료에 의하면 미국 치즈 가격이 사상 최고로 올랐다(Fig. 1). 이는 부분적으로 한국 등 신흥시장에서 피자와 정크푸드 소비가 늘어난 덕분으로 사료된다. 한국에서 치즈, 특히 피자에 쓰이는 치즈의 인기가 늘면서 한국이 멕시코 다음으로 미국에서 가장 많은 치즈를 수입하는 국가가 되었다. 미국낙농수출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2013년 치즈 수입량은 전년보다 25% 이상 증가한 49,000 M톤을 기록하였고, 미화 달러로 환산하면 한국으로 수출되는 미국 치즈는 지난해 3억 4,800만 달러로 2012년 수치인 2억 7,600만 달러를 휠씬 뛰어넘는 수준이었다. EU Monitor의 자료에 의하면 한국의 피자 배달 시장은 2013년 약 15억 달러를 기록하였는데, 이는 일본의 16억 달러 규모 시장에는 약간 못 미치지만, 일본의 인구는 한국의 2배 정도 된다(US Dairy Export Council, 2014). 또한 중국의 피자 시장은 약 24억 달러로 아직 빠르게 성장할 여지가 있다. 미국이 전 세계로 수출하는 치즈의 양은 지난해 하반기에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하였다. 하지만 아직까지 유럽연합(EU)이 세계 최대 치즈 수출국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인해 관세가 철폐돼, 한국의 미국 치즈 수입이 더 수월해졌다. 물론 현재 한국에서는 살균 또는 이와 동등한 처리가 된 치즈가 수입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자유무역협정(FTA)에 의해서 앞으로 더 품질이 좋은 많은 외국산 치즈가 수입되고, 또한 다양한 비살균 치즈도 다양한 방법으로 수입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비살균 치즈의 안전성 확보를 담보할 수 있는 다양한 관련 법령 개정뿐만 아니라, 과학적인 방법에 근거한 기술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등의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치과위생사의 방사선 안전 관리 실태 및 피폭 불안감 인식 (A Study on Radiation Management Status and Exposure Anxiety Awareness of Dental Hygienist)

  • 강은주;형주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2-181
    • /
    • 2015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방사선안전 관리 실태 및 방사선 위해 불안감에 대하여 조사하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방사선 안전 관리 수준을 향상하고 나아가 방사선 취급에 대한 올바른 인식 전환과 불안감을 줄이는데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4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전라북도 일부 지역 치과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방사선안전 관리에 대한 교육은 교육받지 않았다는 응답자(63.0%)가 교육받은 응답자(37.0%)보다 높게 나타났고 방사선안전 관리 지식도는 총 5점 중 평균점수는 $3.74{\pm}0.83$으로 평균보다 높았으며, 방사선안전 관리 행위 실천은 평균점수가 $2.58{\pm}1.11$로 평균보다 낮았다. 방사선 위해 불안감은 평균점수는 $3.88{\pm}0.92$로 높았으며, 임신 중일 때 태아의 건강 문제가 염려된다는 $4.43{\pm}0.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방사선안전 관리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하루 방사선 총 촬영 횟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방사선안전 관리행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연령대', '최종학력', '한 달 소득', '근속연수', '업무영역', '현재 직위', '현재 방사선 촬영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또한, 방사선안전 관리 지식은 방사선안전 관리행위 실천과 음의 상관관계(r=-0.232), 방사선 위해 불안감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62). 대상자의 방사선 위해 불안감 영향은 방사선안전 관리 지식이 높을수록(${\beta}=0.252$, p<0.001), 방사선 촬영 업무 기간이 짧을수록(${\beta}=-0.341$, p<0.05)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치과위생사는 방사선 안전 관리에 관한 지식은 있으나 행위 실천이 부진한 실태와 방사선 위해에 대한 높은 불안감을 개선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향후 환자와 진료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에 대한 정신적, 신체적 위해를 예방하여 방사선에 대한 안전 관리 수준을 향상하게 시켜 진료환경을 개선하고 나아가 방사선 취급에 대한 올바른 인식 전환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상추, 오이 섭취에 따른 rotenone의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the Exposure to Rotenone in Lettuce and Cucumber)

  • 최지희;우혜임;정예지;노현호;경기성;김두호;백민경;엄애선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02-306
    • /
    • 2013
  • 대표 농산물 섭취에 따른 친환경유기농자재 rotenone의 노출량 위해성 평가를 위하여 총식이조사(Total Diet Study, TDS)자료를 바탕으로 선정한 대표 농산물인 상추 및 오이에 포장시험을 통한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상추, 오이의 rotenone 오염도를 확인하기 위해 잔류성 시험결과를 토대로 rotenone의 잔류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upper bound (UB) 적용 시 평균 0.00~0.68 mg/kg 이었으며, lower bound (LB) 적용 시 평균 0.00~0.45 mg/kg이었다. 전체인구집단에서 평균오염도의 상추, 오이 섭취를 통한 rotenone 위해도는 UB의 경우 0.00~18.41%이었고, LB의 경우 0.00~12.19%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국내 연구원들의 생물안전 개념에 대한 현황 (Laboratory Biosafety Status of Researchers in Korea)

  • 김대식;김미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71-76
    • /
    • 2018
  • 본 연구는 2017년 1월 3일~3월 25일까지 실험실 연구자를 대상으로 생물 안전성에 대한 현황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국내 감염병 병원체 취급대학 및 의과대학 소속 실험실에서 병원성 미생물을 취급하는 실험실 연구자 총 500명을 설문 조사하여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는 높은 수준의 인지도를 보였으나 전반적인 생물 안전성 규칙 및 규정을 준수하지는 않았다. 실험실의 생물안전 시설의 등급 여부에 관한 문항에 관한 질문에는 '알고 있다'가 55.8%,'모른다'가 44.2%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적절한 안전 조치가 개인을 보호 할 수 있으며, 안전 장비와 생물 안전 계획이 충분하지 않음에도 실험실이 안전하다고 믿었다. 생물안전 교육에 관련된 조사에서 연구자의 80%는 실험실 안전에 대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고 20%는 안전교육을 받은 적이 없었다. 생물안전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66%, 교육내용에 대한 만족도는 46%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자들은 이미 생물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지만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였다. 또한 생물 안전성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훈련 프로그램 및 교육시스템을 강화하는 것이라는 의견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실험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실험실 생물 안전에 대한 보다 개선된 교육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건강기능식품 안전관리 연구방향 (Research Direction for Functional Foods Safety)

  • 정기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10-417
    • /
    • 2010
  • 건강효과나 보건효과를 표방한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이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이들 제품은 분명한 식품형태의 것으로부터 정체, 캡슐 상 까지여서 의약품과 오인 혼동될 우려가 높으며 전문적 지식이 없는 사람이 통상의 식품으로서 판매하고 있는 일이 많고 건강기능식품용 질병의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건강기능식품제도의 창설이나 법적 규제에 의해 혼란스런 건강기능식품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 왔지만 아직 소비자에게는 제대로 전달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건강기능식품이 질병의 치료에 이용되는 문제나 위법으로 의약품성분을 첨가한 제품이 유통되는 문제는 끊이지 않고 있고 이러한 문제는 인터넷 등의 정보 전달수단의 발달에 따라 더욱 확대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문제는 제품자체의 문제와 이용방법의 문제로 크게 나눌 수 있지만 어느 쪽이나 적절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해서 그 실태가 틀림없이 인식되어야만 어느 정도 개선 헬 수 있다고 생각된다. 건강가능식품과 관련되어 야기 될 수 있는 문제들은 위법제품, 유해물질 혼입, 알레르기 병자에 대한 투여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 의약품과의 상호작용, 성분표시가 있어도 그 순도와 함량이 극히 애매해 검출되지 않을 수도 있는 문제, 대사활성화가 일어나는 제품, Alkaloid가 함유된 경우 및 비타민 미네랄의 과잉섭취와 부족에 의한 건강피해 리스크 등 많은 경우가 있다. 건강기능식품과 관련한 부작용 사례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불량 건강기능식품 업체가 그 효과와 효능을 과장해서 선전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실제로 허위 과대 광고로 인해 적발된 사례가 연평균 821건에 달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홈페이지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문제의 개선과 홍보를 위해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건강기능 식품의 적정사용과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간 상호작용을 피하기 위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건강기능식품문제의 개선을 위해서는 승인된 제품에 대한 정보 부작용 수집의 제도화 및 재평가 제도의 정착, 인체적용 전 시험과 인체적용 시험조건에 대한 표준화가 시급하다. 또한 적절한 정보제공 활동을 위해서는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등 이종 데이터간의 유기적 연동을 위한 통합 DB시스템 및 사용자가 데이터를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요망된다.

Exploring the Microbial Commun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Livestock Feces Using the Whole Metagenome Shotgun Sequencing

  • Hyeri Kim;Eun Sol Kim;Jin Ho Cho;Minho Song;Jae Hyoung Cho;Sheena Kim;Gi Beom Keum;Jinok Kwak;Hyunok Doo;Sriniwas Pandey;Seung-Hwan Park;Ju Huck Lee;Hyunjung Jung;Tai Young Hur;Jae-Kyung Kim;Kwang Kyo Oh;Hyeun Bum Kim;Ju-Hoon L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1호
    • /
    • pp.51-60
    • /
    • 2023
  • The foodborne illness is the important public health concerns, and the livestock feces are known to be one of the major reservoirs of foodborne pathogens. Also, it was reported that 45.5% of foodborne illness outbreaks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 animal products contaminated with the livestock feces. In addition, it has been known that the persistence of a pathogens depends on many potential virulent factors including the various virulent genes. Therefore, the first step to understanding the public health risk of livestock feces is to identify and describe microbial communities and potential virulent genes that contribute to bacterial pathogenicity. We used the whole metagenome shotgun sequencing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foodborne pathogens and to characterize the virulence associated genes in pig and chicken feces. Our data showed that the relative abundance of potential foodborne pathogens, such as Bacillus cereus was higher in chickens than pigs at the species level while the relative abundance of foodborne pathogens including Campylobacter coli was only detected in pigs. Also, the microbial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ivestock feces revealed that the gene families related to "Biofilm formation and quorum sensing" were highly enriched in pigs than chicken. Moreover, the variety of gene families associated with "Resistance to antibiotics and toxic compounds" were detected in both animals. These results will help us to prepare the scientific action plans to improve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public health risks of livestock fe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