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 - Promoting Behavior

검색결과 553건 처리시간 0.029초

보건교육 전·후 대학 신입생과 재학생 간 건강증진행위, 자기효능감 비교 (Comparison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between New freshmen and University students before and after Health Education)

  • 김성수;이현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295-303
    • /
    • 2014
  • 본 연구는 충청지역 1개 대학에서 교양교과목으로 보건교육 과목을 수강한 기숙사 신입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두 군간 보건교육 전 후 건강증진행위와 그 하위영역인 건강책임, 신체활동, 자아실현 및 스트레스관리와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강생 115명에 대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3년 6월 12-13일 양일간이었다. 건강증진행위는 4점 척도로, 자아효능감은 5점 척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건교육 전에 비해 보건교육 후의 점수 상승이 선행 연구의 일반대학생들보다 컸으며 이는 함께 숙식을 하는 친구들과의 단체생활이 보다 긍정적인 경쟁을 유도한 때문으로 판단된다. 특히, 자기효능감 및 건강증진행위 하위영역인 스트레스관리에서 보건교육의 효과가 신입생, 재학생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입증되었다. 신입생과 재학생 간 비교 시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은 '자기효능감'이었고 보건교육 전 후 모두 재학생이 신입생보다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았다. 따라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숙사생 등 단체 숙식생활자에 대해서는 개별교육 보다는 단체교육을 시행하고, 보건교육 대상자 선정 시 자기효능감이 낮거나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학생 특히, 자기효능감이 재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신입생에 대해 우선적으로 보건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더 좋은 교육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난임 여성의 피로, 건강증진행위 및 우울의 관련성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Depression among Infertile Women)

  • 김미옥;홍주은;이은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73-284
    • /
    • 2019
  • Purpose: As the number of infertile couples has grown, many infertile women have experienced depression during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ir infertilit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in infertile women who underwent reproductive treatmen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49 infertile women who underwent reproductive treatments.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August 1 to December 24, 2018.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fatigue, health-promoting behavior, and depression. Analyses of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5.0 Windows program. Results: Thirty-six of the women in the study (24.2%) were in the probably depressed group and 113 (75.8%) were in the definitely depressed group and 100% of the subjects experienced symptoms of depression. Depres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tigue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atigu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factors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ion in the model (p<.001),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42.6%. Conclus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fatigu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ich is a subfactor of health-promoting behavior, were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To alleviate depression in infertile women, efforts should be made to identify and reduce psychological and physical fatigue. In addition, minimizing relational difficulties that they experience during an infertility diagnosis and treatment and strengthening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an be positive strategies to alleviate depression.

초등학생의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보건과 교육의 효과 (The Effects of Health Education on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영임;박은옥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55-61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ealth education on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17 sessions of health education were provided to the fifth graders in two elementary schools in Gyunggi Province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268 students. The data of 250 students who had responded both pretest and posttest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Results: The scores of health knowledge for mental health, social health, sex and health were lower than other domain. The scores of knowledge for drug abuse/smoking and disease prevention/management were higher than other domain. Overall health knowledge was improved significantly from 0.60 at pretest to 0.81 at posttest (t=15.98, p<.001). The scor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at post test was higher than score at pre test but this change was not significant (t=-0.91, p<.365). Conclusion: Health educ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 knowledge and we need to maintain and activate healt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Health educa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 need to do further research for understanding why and how we impro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 PDF

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지기능의 매개효과 중심 - (Effec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the cognitive function)

  • 김민성;이원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726-737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인지기능을 매개로 하였을 때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고령화 연구패널 2018년 7차 자료에서 만 65세 이상 노인 4,284명을 SPSS 22.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지기능 수준은 치매의심 13.8%, 인지기능저하 23.8%, 정상 62.4%이며 삶의 만족도는 59.304점으로 파악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의 차이는 성별, 연령, 학력, 종교, 혼인 요인에서 유의미하였다. 둘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성별, 연령, 학력, 종교, 혼인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노인의 삶의 만족도는 인지기능을 매개로 하였을 때 독립변수 건강증진행위 중 음주, 규칙적 운동 요인에서 정적인 효과가 유의미하게 확인되었다. 반면에 일상생활활동제한은 유의미한 부적인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건강증진행위가 노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기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일부지역 치과위생사의 건강증진행위가 감정노동과 삶의 질, 직무만족에 융합적으로 미치는 영향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some local dental hygienist convergence impact on emotional labor, quality of life, job satisfaction)

  • 박영남;윤성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25-33
    • /
    • 2016
  •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 293명 치과위생사의 건강증진행위와 감정노동, 삶의 질,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WIN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건강증진행위의 10문항 중 '나는 문제와 걱정거리를 가까운 사람과 상의한다'가 3.25로 가장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높은 연령과 학력, 종합병원(대학병원)에서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은 근무경력이 짧은 경우와 가장 긴 경우, 높은 학력, 의원급에서 높았다. 일반적인 특징에 따른 삶의 질은 높은 연령과 학력, 의원급, 수입 2501-3000만원이 가장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높은 연령과 학력, 기혼, 의원급, 수입 2501-3000만원이 높았다. 건강증진행위와 감정노동, 삶의 질, 직무만족도와의 산관성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감정노동, 삶의 질, 직무만족도와 건강증진 행위의 회귀분석 결과 Y(건강증진행위)= 1.452 + 0.318(삶의 질)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치과위생사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건강증진행위를 높이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 서인주;박정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8-210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to evaluate its efficacy. Methods: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was comprised of eight 100-minute weekly sessions. Each session included understanding of health responsibility, nutrition, physical activity, interpersonal relations, stress management, and self actualiza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under the principles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The outcome variables were health promoting behavior, health status, acculturation, self efficacy, and perceived barrier. The participants were 15 immigrant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6 in the control group. Data was analyzed using ${\chi}^2$ test, Fisher's exact test, Mann Whitney U-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U=-3.08, p=.002), left shoulder flexibility (U=-3.02, p=.003), right shoulder flexibility (U=-3.02, p=.003), low back flexibility (U=-3.37, p=.001), social health status (U=-3.38 p=.001)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U=-2.17 p=.030)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physical health status, social health,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herefore, the developed health promotion program needs to be applied to married immigrant women in other kinds nursing care settings in future research.

간호대학생의 건강정보 미디어 이용과 건강관심도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lth Information Media Use and Health Interest 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Nursing Students)

  • 양남영;송민선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5권2호
    • /
    • pp.147-156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health information media use, health interes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he influence factor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Methods: Participants were 144 nursing students in D c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ugust 21st to 30th, 2019. Data were collect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health information media use and health interest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s.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ere grade, health information media use, and health interest, which explained 28.2% of the variance. Conclusion: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improve their abilities for screening of health and using correct health information. In addition, health promo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increasing nursing students' health interests.

다발성골수종 환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 최건희;강희영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7-225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locus of control, self-esteem, self-efficacy and HPB in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HPB). Methods: One hundred patients were recruited into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y personal interviews using questionnaire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with SPSS program to were analyze the data.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r=.787, p<.001), self-efficacy (r=.681, p<.001),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r=.557, p<.001),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r=.517, p<.001), chance health locus of control (r=-.251, p=.012), perceived health status (r=.532, p<.001) and HPB. Significant factors in explaining HPB were self-esteem,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nd together they accounted for 71% of variance.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self-esteem,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ere important factors in explaining HPB in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As self-esteem was an important variable in HPB, health promotion program designed for this population should focus on self-esteem and these other factors to enhance effective health promotion behavior.

치위생과 학생의 건강증진행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The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Students on Dept of Dental Hygiene)

  • 김은미;이향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41-148
    • /
    • 2004
  • 본 연구는 2004년 9월 13일부터 17일까지 전라남도 K시에 소재하는 4개의 대학에 재학중인 치과위생과 학생 1,2,3학년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건강증진 행위와 자기효능감, 인지된 이익, 인지된 장애, 건강통제위, 자아존중감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조사하여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건강증진 행위는 2.60 이었고, 하부요인으로 자아실현 2.89, 건강책임 2.12, 운동 1.89, 영양 2.45, 대인관계 2.97, 스트레스관리 2.63 이었다. 자기효능감은 2.56, 인지된 이익문항은 3.45, 인지된 장애 문항은 2.32, 건강통제위는 3.04, 자아존중감은 2.81이었다. 2.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증진 행위와의 관계에서는 학년, 종교, 경제수준, 가족질병경험, 본인의 질병경험, 인지된 건강상태(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고,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하부영역중 자아실현은 학년, 경제수준, 인지된 건강상태(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종교,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책임은 학년, 종교, 경제수준, BMI(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본인의 질병경험,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운동영역은 모의 교육정도, 가족 질병경험,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영양영역은 경제수준,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인지된 건강상태(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인관계 영역은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5)에서 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스트레스 관리 영역은 학년,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인지-지각요인과의 관계에서는 자기 효능감은 경제수준, 인지된 건강상태(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지된 유익성은 종교(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지된 장애는 경제수준,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본인의 질병경험(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건강통제위는 학년(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자아존중감은 인지된 구강건강상태(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건강증진행위와 자기효능감(r=0.376), 인지된 유익성 (r=0.188), 인지된 장애(r=-0.155), 건강통제위(r=0.064), 자아존중감(r=0.318), 인지된 건강(r=0.084), 인지된 구강 건강(r=0.165)은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이 존재하였다. 5.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조사한 결과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는 자기효능감이었고, 자아존중감, 인지된 유익성, 인지된 구강건강 순서였으며, 이 네 변수를 투입하여 건강증진 행위 18.5%를 설명할 수 있었다.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이용하여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보았으나 설명력이 18.5%로 낮아 좀 더 많은 요인을 찾아내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생활스트레스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Life Stres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 김수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23-43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생활스트레스와 건강증진행위의 관계를 확인하고,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A시 소재 간호대학생 115명으로 자료수집은 2022년 5월 2일부터 5월 27일까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및 Scheffe'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증진행위는 자아존중감과 양의 상관관계(r=.59, p<.001)가 있었으며, 생활스트레스와는 음의 상관관계(r=-.45,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건강상태(β=.507, p<.001), 생활스트레스(β=.249, p=.002), 흡연(β=.156, p=.028) 순으로 나타났으며, 57.0%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 건강상태에 관심을 가지고 생활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