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4초

옷가지와 안경 착용에 따른 머리전달함수의 스펙트럼 왜곡 (Spectral Distortion of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Due to Wearing Clothes and Glasses)

  • 조현;황성목;이윤재;박영진;박윤식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3-107
    • /
    • 2009
  • Because individual HRTFs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s) vary from a person to a person, a HRTF database has been measured by researchers to investigate the inter-subject variation, and to generate high fidelity virtual sound image. Individual HRTFs not only vary between subjects but also vary due to wearing clothes and glasses in daily life. However, influence of different dressing condition on the measured HRTF was not sufficiently investigated. To quantify the effect of wearing clothes and glasses, dummy's HRTF is measured in an anechoic chamber with various dressing condition, and is evaluated in the sense of spectral distortion. HRTFs are measured both in the median plane and in the horizontal plane. In the median plane, under 6kHz, effect of different wearing clothes and glasses is negligible. Over 6kHz, however, effect of clothing distorts HRTF about 6dB in the sense of spectral distortion. Moreover, at high frequencies, effect of glasses is no longer negligible. In the horizontal plane, at some azimuths, even additional light cloth over the dummy can change the spectrum of HRTF (6dB spectral distortion) especially when sound source is at contralateral positions. Therefore, HRTF measurement with different wearing conditions can broaden the capability of HRTF customization whose technique utilizes a HRTF database.

  • PDF

머리전달함수 측정법의 실험적 비교 (Comparison of Measurement Methods for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HRTF))

  • 안태수;이두호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12호
    • /
    • pp.1260-1268
    • /
    • 2009
  • Three methods(the stepped sine method, the statistical method(random excitation method) and the maximum-length sequence(MLS) method) for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s(HRTFs) are experimentally compared in view point of accuracy and efficiency. First, the stepped sine method has high signal-to-noise ratio, but low efficiency. Second, the statistical method is fast measurement speed, but weak to noise than the other methods. Finally, the MLS method shows both good efficiency and high signal-to-noise ratio, but it needs additional software or equipment such as MLS signal generator. For comparison of measurement accuracy, HRTFs of KEMAR dummy are measured for various azimuths and elevations. Error norms for magnitude and phase of HRTFs are defined and calculated for the measured HRTFs. The calculated error norms show that the methods give similar results in magnitude and phase except a little phase difference in the MLS method.

머리전달함수를 이용한 로봇의 화자 위치 추정 (Detection of Speaker Position for Robot Using HRTF)

  • 황성목;박윤식;박영진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37-640
    • /
    • 2005
  • We propose a sound source localization method using the Head-Related-Transfer-Function (HRTF) to be implemented in a given platform. HRTFs contain not only the information regarding proper time delays but also phase and magnitude distortions due to diffraction and scattering by the shading object. Therefore, a set of HRTFs for any given platform provides a substantial amount of information as to the whereabouts of the source. In this study, we introduce new phase criterion in order to find the sound source lo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HRTF database empirically obtained in an anechoic chamber with the given platform. Using this criterion, we analyze the estimation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n a household environment.

  • PDF

헤드폰을 이용한 자유 음장 청취에서의 최적 반사 음파 전달 특성을 갖는 머리 전달 함수 모델링 (Modeling of the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s with Optimum Reflection Wave Transfer Characteristics in Free-Field Listening over Headphones)

  • 임정빈;김천덕;강성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25
    • /
    • 1997
  • 이 연구에서는, 반사 음파 전달 특성에 의한 공간감 효과를 이용하여 음상 정위를 개선할 수 있는 HRTF 모델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실험 결과, 최적으로 평가된 반사 음파 전달 특성을 갖는 HRTF 모델은, 직접 음파 전달 특성만으로 구성된 HRTF 모델과 비교하여 음상 전위가 약 23% 이상 개선되었다. 그리고, 적절한 공간감이 음상 정위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요소임을 알았다.

  • PDF

Neumann 더미헤드를 사용한 머리 전달함수 ( HRTF ) 의 측정 (A Measurement of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s Using the Neumann Dummy Head)

  • 서상원;김재우;이명진;김용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 논문집
    • /
    • pp.201-205
    • /
    • 1998
  • 시스템공학연구소 감성공학연구부에서는 수행중인 "멀티미디어 컨텐트용 입체음향처리 S/W개발"과제의 일환으로 머리전달함수(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HRTF)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무향실에서의 HRTF 데이터 측정 과정 및 얻어진 HRTF들에 대한 음상정위청취 평가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청취 평가에서는 피험자들이 측정된 HRTF와 MIT Media Lab의 KEMAR 더미헤드 HRTF를 사용하여 각 방향에 대해 필터링된 음원을 듣고 음상정위 주관평가를 시행하였는에, 측정된 HRTF를 사용하여 양호한 음상정위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이진 탐색 트리를 이용한 개인화된 머리 전달 함수의 탐색 (Selection of Personalized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Using a Binary Search tree)

  • 이기승;이석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09-415
    • /
    • 2009
  • 가상 음원의 공간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머리전달 함수는 개인 별로 각기 다른 특성을 갖는다. 개인화된 머리 전달 함수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특정한 장치를 필요로하며, 이에 따라 타인으로부터 얻어진 머리 전달 함수를 청취자의 특성에 맞도록 개인화 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머리 전달 함수의 개인화 방법으로 여러 개의 미리 측정된 머리 전달 함수 중에서 사용자에 가장 적합한 머리 전달 함수를 찾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청취자에게 적합한 머리 전달 함수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기 위해 이진 탐색 트리를 이용한 분할 기법을 사용하였다. 분할 시 왜곡 척도는 사람이 귀에 방향감의 차이를 가장 잘 인지하는 왜곡 척도를 실험적으로 결정하였다. 캘리포니아 데이비스 대학에서 제공하는 CIPIC 머리 전달 함수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본 기법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10명의 실험자가 참여한 청취 테스트에서 제안된 기법을 통해 탐색된 머리 전달 함수는 청취자 본래의 머리 전달 함수와 비교하여 가상 음원의 방향감에 있어서 매우 근접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기존의 해부학적인 파라메터를 이용한 머리 전달 함수의 탐색 기법과 비교하여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최소자승법과 음향학적 모델링 기반의 적은 개수의 측정점에 대한 머리전달함수 보간 기법 (Interpolation method of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 based on the least squares method and an acoustic modeling with a small number of measurement points)

  • 이석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38-344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머리전달함수 보간 알고리즘을 제안하며, 특히 작은 크기의 측정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를 고려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머리전달함수의 음향학적 모델링에 기초하며, 모델링 계수를 추정함으로써 머리전달함수를 보간한다. 이 때 측정 위치의 개수가 부족할 경우 모델링 계수를 추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따라서 본 알고리즘은 벡터-기반 크기 패닝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확장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본 알고리즘은 벡터-기반 크기 패닝 기법 기반의 데이터 확장 단계와, 최소자승법 기반의 모델링 계수 추정 단계의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CIPIC(Center for Image Processing and Integrated Computing) 머리전달함수 데이터베이스의 측정 데이터 중 일부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 약 1.5 dB ~ 4 dB의 최소 자승 오차가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