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ead tilt

Search Result 12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경수부 척수손상 환자의 기립성 저혈압에서 플루드로코티손의 효과 - 무작위 대조군 연구 (Effect of fludrocortisone in cervical spinal cord injury patients with orthostatic hypotension -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이도희;주민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08-115
    • /
    • 2021
  • 본 연구는 기립성 저혈압이 동반된 경수부 척수손상 환자에서 플루드로코티손의 치료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립경사도 검사를 통해 기립성 저혈압으로 진단된 경수부 척수손상 환자 26명을 무작위로 배정하였고, 보존적 치료 혹은 추가로 플루드로코티손 치료 중 한가지를 시행하였다. 플루드로코티손은 주마다 0.1mg에서 0.2mg로 증량하여 총 2주간 투약하였고, 초기 및 2주 후의 혈압 및 심박수, 혈액학적 검사 수치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치료 2주 후에 치료군에서 기저 혈압의 유의미한 상승이 나타났다(p<.05). 기립성 혈압 감소의 비율 분석에서 치료군의 기립성 혈압 감소가 덜 나타나는 경향성을 보였다. 플루드로코티손 치료군의 7.69%에서 경증의 이상 반응을 보고하였다. 이를 통해 플루드로코티손이 기저 혈압의 상승 및 기립성 저혈압 감소를 통해 심혈관계 합병증 방지 및 재활치료 지속 등의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으며, 척수손상 환자의 기립성 저혈압에서 하나의 치료 방안으로 고려해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External Auditory Canal Atresia with Otitis Media in a Dog

  • Kim, Ah Reum;Han, Changhee;Hwang, Gunha;Kim, Rakhoon;Go, Woohyun;Lee, Ji Yeong;Lee, Jongbong;An, Soyon;Hwang, Tae Sung;Lee, Dongbin;Lee, Jae-Hoon;Lee, Hee Chun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59-162
    • /
    • 2021
  • A 5-year-old, intact male, poodle dog with right external auditory canal obstruction and subaural mass was presented.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that right external auditory canal opening was absent and right head tilt was identified. Aspiration in right subaural mass revealed a small amount of dark brown exudate. Streptococcus canis and Staphylococcus spp. were identified on the microbial culture. Radiography of the skull was revealed absence of air-filled ear canal at the right external ear canal (EEC) level. Computed tomography (CT) revealed well capsulated, hypoattenuated mass in the right EEC region. On the contrast enhanced CT images, rim enhancement around the mass and ear canal obstruction were identified. Fluid attenuated material filled with right bulla. Mild thickening of the right tympanic bulla wall with mild lytic lesion of the ventral wall were found. Based on the images findings, the case was tentatively diagnosed as right external auditory canal atresia with otitis media. Total ear canal ablation and lateral bulla osteotomy was performed. The entire ear canal was removed, numerous hair in the canal and the thickening wall were founded. Right ear canal was sent for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and found to otitis externa. The patient was followed up for two weeks and there were no complications. This report described the CT diagnosis of right EEC atresia with otitis media rarely reported in small breed dogs.

말티즈 견에서 발생한 스테로이드 반응성 진전 증후군 (Steroid Responsive Tremor Syndrome in a Maltese Dog)

  • 강병택;정동인;박철;김주원;김하정;임채영;고기진;조수경;이소영;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37-339
    • /
    • 2006
  • 4년령의 중성화된 암컷 말티즈 견이 급성으로 발병하고 4일 동안 지속된 진신 진전 우측으로의 사경 수평성 안구진탕, 그리고 약간의 보행실조에 대한 평가를 위해 내원하였다. 환견은 의식이 뚜렷하고 외부자극에 잘 반응하였다. 신경계 검사 상에서 양안의 수평성-, 위치성 안구진탕 그리고 약간의 보행실조가 나타났다. 또한 양안의 위협반사가 소실된 상태였다. 중등도의 전신 긴장성 진전이 사지와 두부에서 특이적으로 관찰되었다. 혈액검사, 방사선, 그리고 자기공명영상에서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뇌척수액의 세포학적 검사를 통해 약간의 비화농성 염증 소견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염증성 그리고 특발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스테로이드 반응성 진전 증후군이 강하게 의심되었다. 환견은 면역억제 용량으로 투여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에 매우 잘 반응하였다. 따라서 진전을 유발하는 다른 원인들을 배제하고, 임상증상 및 치료에 대한 반응에 근거하여 스테로이드 반응성 진전 증후군으로 최종 진단하였다. 이것은 국내에서 스테로이드 반응성 진전 증후군의 최초 보고이며, 이 질환의 임상적 그리고 신경학적 특징들을 기술하고 있다.

조피볼락과 참돔의 표적 강도에 관한 연구 (Target Strength of Schlegel′s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and Red Seabream (Pagrus major))

  • 손창환;황두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8권2호
    • /
    • pp.119-128
    • /
    • 2002
  • 우리 나라 연안에서 주로 서식하고 있는 조피볼락(Schlegel's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과 참돔(Red Seabream, Pagrus major) 의 자원량을 추정할 때 보다 더 정확히 추정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in situ TS 측정법과 유사한 환경 속에서 망과 3개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어체의 크기와 자세별 및 주파수 특성에 따른 TS 에 대하여 조사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장(L, cm)에 따른 최대 TS 값을 이용한 조피볼락의 변환 계수(A) 값은 38kHz에서 -63.7dB, 120kHz에서 -64.4dB, 200kHz에서 -62.4 dB로 나타났으며, 참돔은 38kHz에서 -62.6dB, 120kHz에서 -65.4dB, 200kHz에서 -65..dB이었다. 또한, 평균 TS 값을 이용한 조피볼락의 변환 계수 값은 38kHz에서 -68.4dB, 120kHz에서 73.4dB, 200kHz에서 -70.8dB로 나타났으며, 참돔은 38kHz에서 -67.9dB, 120kHz에서 -72.7 dB, 200kHz에서 -73.4dB로 각각 나타났다. 2. 어체 1g당 최대 TS 값을 이용한 조피볼락의 변환 계수( B) 값은 38kHz에서 -52.0dB, 120 kHz에서 -52.7dB, 200kHz에서 -50.7dB로 나타났으며, 참돔은 38kHz에서 -50.9dB, 120kHz 에서 -53.7dB, 200kHz에서 -53.3dB이었다. 또한 평균 TS 값을 이용한 조피볼락의 변환 계수 값은 38kHz에서 -56.7dB, 120kHz에서 -61.7 dB, 200kHz에서 -59.IdB로 나타났으며, 참돔은 38kHz에서 -56.2dB, 120kHz에서 -61.0dB, 200 kHz에서 -61.6dB로 각각 나타났다. 3. 참돔 2마리를 대상으로 한 자세각 분포는 -26$^{\circ}$~25$^{\circ}$로 나타났으며, 그 때의 주파수에 따른 자세별 표적 강도는 38kHz에서 변화 폭이 비교적 적었으며, 120kHz에서는 Head down 되었을때 보다 Head up 되었을 때 3~6dB 정도 높게 나타났다.

개의 전이도적출술 중 전기지혈에 의해 발생한 삼차신경심장반사 1례 (Trigeminocardiac Reflex Induced by Electrohemostasis during Total Ear Canal Ablation in a Dog)

  • 조상민;손원균;장민;김완희;이병천;이인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34-236
    • /
    • 2016
  • A 14 kg, 9-year-old, spayed female, Cocker Spaniel was presented to the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with a history of head tilt and circling. Otitis externa and media were diagnosed by computerized tomography, and total ear canal ablation was performed. In preanesthetic evaluation, systemic hypertension and second-degree atrioventricular block were observed, but there was no regurgitation through the heart valves. Systemic hypertension was managed with amlodipine (0.1 mg/kg, PO, BID) for the anesthesia. The dog was premedicated with cefazolin (22 mg/kg, IV) and midazolam (0.2 mg/kg, IV). Anesthesia was induced with alfaxalone (2 mg/kg, IV) and maintained with isoflurane and 100% oxygen following intubation. During surgery, vital signs (heart rate, respiratory rate, blood pressure, end tidal carbon dioxide partial pressure and body temperature) were maintained within normal ranges, but bradycardia was observed and corrected with glycopyrrolate (5 ug/kg IV, twice). During subcuticular suture, electrohemostasis was applied at the incision line, which was close to the trigeminal nerve. In no time at all, heart rate dramatically decreased from 110 to 60 beats per minute. No additional treatment was done because mean blood pressure was maintained above 70 mmHg. The heart rate recovered according to the decrease of end tidal isoflurane concentration and there were no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anesthesia and surgery. Sudden bradycardia after electrical stimulation around the trigeminal nerve was considered as trigeminocardiac reflex (TCR). It is recommended to be careful of bradycardia from TCR when electrocautery is used in the craniofacial area during surgery.

Effects of Manual Intervention and Self-Corrective Exercise Models of the General Coordinative Manipulation on Balance Restoration of Spine and Extremities Joints

  • Moon, Sang Eun;Kim, Mi Hwa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73-58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manual intervention and self-corrective exercise models of general coordinative manipulation(GCM) on the balance restoration of spine & extremities joints with distortions and mal-alignment areas. The subjects were the members who visited GCM Musculoskeletal Prevent Exercise Center from March 1 2012 to December 31 2013 because of spine & extremities joints distortion and mal-alignments, poor posture, and body type correction. All subjects were diagnosed with the four types of the GBT diagnosis. And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the mobility vs stability types of the upper & lower body, they were classified into Group 1(40 persons) and Group 2(24 persons). For every other day for three times a week, GCM intervention models were applied to all subjects for four weeks, adding up to 12 times in total. Then the balance restoration effects were re-evaluated with the same meth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Balance restoration effects of VASdp(Visual analysis scale pain & discomfort) and ER(Equilibrium reaction: ER) came out higher in GCM body type(GBT) II III IV of Group 1. 2) In case of balance restoration effects in Moire and postural evaluation areas, Group 1 was higher and cervical and scapular girdle were higher in Group 2. The balance restoration of the four GBT types was significant in all regions(p<.05), and the scapular girdle came out as high in the order of GBTII IV I. 3) In case of thoracic-lumbar scoliosis and head rotation facial asymmetric cervical scoliosis ribcage forward, the balance restoration effects of the upper body postural evaluation areas came out the highest in Group 1 and Group 2, respectively. The balance restoration effects of the four GBT types were significant in all regions(p<.05), and came out the highest in lumbar scoliosis GBTIII I, ribcage forward and thoracic scoliosis GBTII IV. 4) The balance restoration effects of the lower body postural evaluation areas came out higher in Group 1 and Group 2 for pelvis girdle deviation patella high umbilicus tilt and hallux valgus foot longitudinal arch: FLA patella direction, respectively. The balance restoration effects of the four GBT types were significant in all regions(p<.05), and came out the highest in pelvis girdle deviation GBTIII I and patella high-direction GBTIV II I. 5) The balance restoration effects between the same GBT came out significant (p<.05) in all evaluation areas and item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as the manual intervention and self-corrective exercise models of the GCM about the mal-alignment of the spine & extremities joints across the whole body indicated high balance restoration effects(p<.05) in spine & extremities joints in all evaluation areas.

Multi-face Convergence 공연을 위한 제작 기술 (Production Technology for Multi-face Convergence Performance)

  • 유미;손태웅;김상일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475-486
    • /
    • 2020
  • 본 논문은 첨단 공연 및 전시를 위한 미디어아트 기술에 대한 논문으로 틸트 브러쉬를 사용하여 가상현실 속에서 인터랙티브 스트로크를 생성하도록 한 후 이를 미디어 파사드 기법을 통하여 공연에 실시간으로 투사하였다. 우리의 전통 극 중 봉산탈춤에서 선적인 움직임을 추출하였으며, 틸트 브러쉬로 구현된 선의 움직임을 'Multi-face Convergence'라고 이름을 붙인 미디어아트 공연에 사용하였다. 모션 데이터가 가상공간에 들어오면 면으로 이루어진 지오메트리가 가상현실 공간에 생성되게 된다. 생성된 스트로크는 다양한 브러쉬 타입을 설정할 수 있으며, 공연 시에는 역동적인 움직임에 어울리는 붉은 불의 이펙트가 가미된 스트로크를 사용하였다. 가상현실에서 구현된 인터랙티브 스트로크는 1인 관객을 위한 가상현실 디바이스인 HMD(Head-mounted Display)를 넘어 다수의 관객들이 감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디어 파사드 기술을 사용하여 공연 공간에 투사하였으며 봉산탈춤을 추는 무용수와 동시에 어우러질 수 있도록 하였다. 가상현실이라는 매체는 폐쇄성이 높은 매체로 공연에 녹아들어 표현하기에는 적절치 않은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본 공연에서는 미디어 파사드라는 기법으로 그 한계를 넘어섰다. 본 연구는 세계 최초로 인터랙티브 스트로크를 전통춤 퍼포먼스에 결합하여 퍼포머가 표현하는 선의 현상을 미디어 파사드 기술로 공연장에 투사하는 공연 기술 방식을 제안한다.

Gated Cardiac Blood Pool scan에서의 심장 주위 배후방사능 관심영역 설정시 산란선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구 (Study a Technique for Reducing the Influence of Scattered Rays from Surrounding Organs to the Heart during Gated Cardiac Blood Pool scan)

  • 김정열;박훈희;남궁혁;조석원;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2권1호
    • /
    • pp.33-38
    • /
    • 2008
  • Purpose: The Gated cardiac blood pool scan is non-invasive method that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left ventricular function. Also this scan have shown the value of radionuclide ejection fraction measurements during the course of chemotherapy as a predictor of cardiac toxicity. Therefore a reliable method of monitoring its cardiotoxic effects is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inimize the overestimate of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 by modified body position to reduce the influence of scattered rays from surrounding organs of the heart in the background region of interest. Materials and Methods: Gated cardiac blood pool scan using in vivo $^{99m}Tc$-red blood cell (RBC) was carried out in 20 patients (mean $44.8{\pm}8.6$ yr) with chemotherapy for a breast carcinoma. Data acquisition requires about 600 seconds and 24 frames of one heart cycle by the multigated acquisition mode, Synchronization deteriorates toward the end of the cycle and with the distance from the trigger signal (R-wave) by ECG gating. Gated cardiac blood pool scan was studied with conventional method (supine position and the detector head in $30-45^{\circ}$ left anterior oblique position and caudal $10-20^{\circ}$ tilt) and compared with modified method (left lateral flexion position with 360 mL of drinking water). LVEF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automatically computer mode. Results: The ROI counts of modified scan method were lower than LV conventional method ($1429{\pm}251$ versus $1853{\pm}243$, <0.01). And LVEF of modified method was also decrease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 ($58.3{\pm}5.6%$ versus $65.3{\pm}6.1%$, <0.01). Imaging analysis indicated that stomach was expanded because of water and spleen position was changed to lateral inferior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modified method in MUGA reduce the influence of scattered rays from surrounding organs. Because after change the body position to left lateral flexion and drinking water, the location of spleen, left lobe of liver and stomach had changed and they could escaped from background ROI. Therefore, modified method could help to minimize the overestimate LVEF (%).

  • PDF

게이트심장혈액풀 스캔에서 자동 관심영역 설정과 수동 관심영역 설정 모드의 비교 분석에 관한 고찰 (Study the Analysis of Comparison with AROI and MROI Mode in Gated Cardiac Blood Pool Scan)

  • 김정열;강천구;김영재;박훈희;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2권3호
    • /
    • pp.222-228
    • /
    • 2008
  • 목적 : 게이트심장혈액풀 스캔의 각 단위 영상에서 심실내 방사능치를 측정하여 좌심실의 시간-방사능 곡선을 구하여 심박출계수를 구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좌심실과 배후방사능 관심영역을 정해야 하는데 올바른 관심영역 설정은 심박출계수의 정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관찰자에 의한 수동 관심영역을 설정 시 시간이 많이 걸리고 많은 경험을 필요로 하며 주관적인 측면이 포함되어 관찰자간의 오차가 발생하는 이유로 대부분의 컴퓨터에는 자동 및 반자동으로 각 단위영상 내 좌심실 외형을 그릴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 관심영역 설정과 수동 관심영역 설정에 따른 좌심실 심박출계수를 비교 분석하여 컴퓨터 자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이 수동 관심영역 설정보다 객관적이고 재현성이 높은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재료 및 방법 : 항암화학요법 치료 대상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PHILIPS사의 ADAC laboratories, Argus Single head Gamma Camera를 이용하여 영상을 획득하였으며, 사용된 방사성 의약품은 체내 표지법을 이용하여 $^{99m}Tc$-RBC를 사용하였다. 영상획득 조건은 다중 게이트 획득 방식으로 매 R-R간격마다 서로 상응하는 단위 영상을 600초 동안 계수치를 얻어 24개의 단위영상을 획득하였다. 앙와위 자세에서 좌전사위 30~45도, 10~20도의 미측경사(caudal tilt) 조건으로 영상 획득 한 후 방사선사 3명이 각각 1회씩 컴퓨터 자동관심영역 설정 모드와 수동 관심영역 설정 모드를 이용하여 좌심실의 심박출계수를 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컴퓨터 자동 관심영역 설정과 수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에서의 좌심실 심박출계수 평균은 각각 $65.8{\pm}5.9%$$71.4{\pm}12.4%$였다. 두 평균 간의 차이는 $5.5{\pm}9.9%$로 두 관심영역 설정 방법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3). 또한 관찰자간의 신뢰도 검정에서는 수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으로 분석하였을 때 보다 자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이 관찰자간 일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gamma^{MROI}=0.793$, Cronbach's $\alpha$ $M^{ROI}=0.911$ Vs $\gamma^{AROI}=0.964$, Cronbach's $\alpha^{AROI}=0.986$). 영상분류에 따른 분석에서는 최적 중격상에서 두 관심영역 방법에 따른 좌심실 심박출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Delta}LVEF^{BSV}=0.7{\pm}2.3%$, p=0.233), 좌심실 분리가 잘 안 된 영상에서는 좌심실 심박출계수가 자동 관심영역 설정방법에서 더 높게 나타나는 차이를 보였다(${\Delta}LVEF=10.9{\pm}11.4%$, p=0.001). 또한 신뢰도 검정에서는 두 관심영역 설정 방법 모두 좌심실 분리가 잘 안 된 영상보다 최적 중격상에서 일관성이 높게 나타났다(수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 $\gamma^{BSV}=0.836$, Cronbach's $\alpha^{BSV}=0.936$ Vs $\gamma=0.748$, Cronbach's $\alpha=0.888$ / 자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 $\gamma^{BSV}=0.939$, Cronbach's $\alpha^{BSV}=0.978$ Vs $\gamma=0.948$, Cronbach's $\alpha=0.981$). 결론 : 최적 중격상을 획득하여 분석한다면 수동과 자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 따른 좌심실 심박출계수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동과 자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에 대한 일관성을 비교하였을 때 자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에서 높은 일관성을 나타냈다. 결국 영상획득 시 좌심실 최적 중격상의 좌전 사위상을 획득하여 관심영역을 설정한다면 수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보다 자동 관심영역 설정 방법이 객관적이고, 재현성이 높은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아 신경-심인성 실신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neurocardiogenic syncope in children)

  • 이경연;이진영;김명현;이정은;김용대;이은주;임영수;김원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5호
    • /
    • pp.512-517
    • /
    • 2008
  • 목 적 : 실신은 소아와 청소년기에 비교적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중에서도 신경-심인성 실신은 실신의 원인 중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며, 경련 증상과 혼동되기 쉬운 질환이다. 이에 저자들은 실신을 주소로 내원한 15세 이하 환자 중, 신경-심인성 실신 환자들과 간질을 포함한 신경성 질환 환자들을 비교하여, 신경-심인성 실신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5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2년간 청주성모병원과 충북대학교 병원 소아과에 실신을 주소로 내원한 6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을 실신의 원인에 따라 분류한 후, 신경-심인성 실신 군과 신경학적 질환 군 사이에 내원당시 나이, 성별, 실신의 장소, 계절 및 시간, 경련 등의 동반증상, 실신 유발인자, 실신 전 증상, 실신의 지속시간, 과거 실신의 횟수, 출생력, 동반질환, 과거병력, 가족력, 신경학적 검사 및 이학적 검사, 혈액검사, 심전도검사, 뇌파검사, 기립경 검사, 뇌 CT 혹은 MRI 검사결과 등을 비교하였다. 신경-심인성 실신 군 환자들은 다시 기립성 실신 군, 상황에 따른 실신 군, 기타 원인에 의한 실신 군으로 나누고, 세 군 간에 기립경 검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 신경-심인성 실신 군은 전체 69명의 실신 환자 중 53명(76.8%) 이었고, 신경학적 질환 군이 11명(15.9%) 이었다. 신경-심인성 실신 군과 신경학적 질환 군 간에 실신 전 증상과 뇌파를 제외한 변수들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신 전 증상은 신경-심인성 실신 군에서 49명 중 23명(46.9%), 신경학적 질환 군에서 11명 중 1명(9.1%)으로, 신경-심인성 실신 군에서 실신 전 증상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 0.038). 뇌파검사의 이상은 신경학적 질환 군에서 10명 중 9명(90%), 신경-심인성 실신 군에서는 52명중 3명(5.8%)에서 나타나, 신경학적 질환 군에서 뇌파의 이상 빈도가 유의하게 많았다(P<0.01). 신경-심인성 실신 환자 53명 중 34명에서 기립경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양성결과를 보인 환자는 8명(23.5%) 이었다. 상황에 따른 실신 환자 군, 기립성 실신 환자 군, 기타 원인 군 간에 기립경 검사 결과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실신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신경-심인성 실신을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실신 전 증상 등을 포함한 자세한 병력청취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실신의 원인으로 경련 등의 신경학적 질환이 의심될 때는 뇌파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