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ous factor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인의 혈 중 PFOA와 PFOS 농도와 노출요인 (Concentration of PFOA and PFOS in Whole Blood and Factors Controlling Their Exposure Among Koreans)

  • 서춘희;이채관;이소룡;박미희;이종태;손병철;김정호;김건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5-117
    • /
    • 201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concentration of perfluorooctanoic acid (PFOA) and perfluorooctanesulfonate (PFOS) in blood and factors controlling their exposure among Koreans. Methods: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to include 718 members of the general population residing in five metropolitan cities and the Gangwon Province area from August 2008 to January 2009.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investigate lifestyl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ther related factor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nd extracted using solid-phase extraction and anion-exchange methods, and quantifi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HPLC, Agilent 1200 Series) coupled with a Triple Quad LC-MS/MS system (Agilent 6410). Results: Geometric mean concentrations of PFOA and PFOS in the blood were measured as 1.82 and 6.06 ng/ml, respectively. Mean PFOA and PFOS concentrations generally increased with age in both genders. Blood PFOA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uch variables as age, family income, residential district, and province. Blood PFOS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such variables as gender, age, lifestyle factors such as regular exercise, alcohol consumption, and smoking status. Also, family income, hazardous facilities, job classification, and provinc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differences in blood PFOS concentration levels. Conclusions: Blood PFOA and PFOS concentrations in Koreans were similar with those found in Japan, the USA, and Germany, but less than those in Australia. PFOA and PFOS exposure seems to be affected by a variety of factors in Korea. Therefore, investigation is required for each factor to assess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different variables.

액상커피와 식혜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살균공정의 한계기준 설정 (Critical Limit Establishment of Sterilization Process for HACCP System of Liquefied Coffee and Sikhe)

  • 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247-5253
    • /
    • 2012
  • 본 연구는 식혜와 액상 커피의 제조 공정중 HACCP system을 이용하여 한계 기준 설정을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살균공정의 한계 기준 설정은 충북 진천시 소재의 P사에서 약 30일 (2012년 4월 1~30일) 동안 살균온도와 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멸균전에는 식혜와 액상 커피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었다. 반면에 식혜(238mL Can, 500mL and 300mL PP, 1.8L PP)에서 모든 미생물은 살균($121{\pm}1^{\circ}C$에서 $15{\pm}1$, $35{\pm}1$ and $45{\pm}1$분) 후에는 검출되지 않았고, 액상 커피도 살균($121{\pm}1^{\circ}C$, $20{\pm}1$분)후 검출되지 않았다. 가장 적당한 온도와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살균기 조건은 $121{\pm}1^{\circ}C$, $20{\pm}1$분이었다. 결론적으로, 살균공정은 유해미생물(일반세균, 대장균군, 병원성 미생물)를 예방,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따라서 품질 유지와 생물학적 안전성을 위한 살균 온도와 시간의 한계기준은$121{\pm}1^{\circ}C$에서 $20{\pm}1$분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HACCP 계획은 살균 공정중 모니터링 방법과 모니터링 주기, 문제 해결 방법, 교육, 훈련, 기록 관리 등을 위하여 필요하여 이를 제안하고자 한다.

농작물중(農作物中) 중금속오염도(重金屬汚染度)와 1일섭취량(日攝取量) 및 허용기준설정(許容基準設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rops Pollution with Heavy Metal)

  • 염용태;배은상;윤배중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3권1호
    • /
    • pp.3-12
    • /
    • 1980
  • Certain heavy metals which may lead peoples to poisonous status are widely used in industry and their uses have been increasing along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of this country. Such an increasement of metal uses aggravates the status of environmental pollution affecting foodstuffs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life supporting factor of animal and humanbeing. Concerning the safety measures to minimize food-borne transmission of such hazardous metals, surveillance is the backbone of them and probably more so with a potential problem such as intoxication. Theoretically, this surveillance should include the determination of levels of heavy metal toxicants in foods, the determination of food consumption patterns and typical total diet, and the estimation of total load of the metal contaminant from all sources of exposure including air, water, and occupational sources. In recent year, actually, such estimates on the total daily intake of some heavy metals from foods have been made in several developed countries and a wide variation of date by season, locality, and research method was recognized. Also in this country, this kind of research data is vitally needed to make up for the serious shortage or lack of references to estimate the total amount of heavy metal intake of the people. In this study, a modification model for estimation of the total daily intake of cadmium copper, nickel, zinc, and lead through foods was applied and concentrations of the above metals in crops cultivated in this country were measured with atomic absorption spectro photometer to get the following results. 1. Level of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crops Generally, the levels of such metals in essential crops such as rice, cucumber, radish. chinese cabbage, apple, pear, grape, and orange are similar or lower than those in Japan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By the way, a striking result on cadmium concentration was increasement of its concentration in rice from $0{\sim}0.035ppm$ in 1970 to 0.11ppm in this study. However, the value is still far below the. Japanese Permissible Lebel of 1.0ppm. 2. Estimation of total daily intake per capita from foods A new model for estimation was devised utilizing levels of metal concentration in foods, amount of food consumed, and other food factors. Based on the above method, the daily intake of cadmium was estimated to be $70.53{\mu}g/man/day$ in average which was as high as the Limit Value of ILO/WHO(up to $71.4{\mu}g/man/day$). Also, 3.89mg of Zinc, 1.65mg of cuppor, 0.32mg of lead were given as the total daily intake per capita by this research. 3. Efficacy of washing or skinning to decrease the amount of metals in crops After washing the crops sufficiently with commercial linear alkylate sulfonate,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could be reduced to $50{\sim}80%$ showing decreasement rate of $20{\sim}50%$. Also, after skinning the fruits, decreasement rate of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shelved $0{\sim}50%$.

  • PDF

드레싱 제조업체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Evaluation of the HACCP System on Microbiological Hazard during Dressing Production)

  • 권상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57-463
    • /
    • 2013
  • Dressing 가공공정에 대한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위해요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위해요소 분석은 주원료, 용수, 미생물 평가, 작업장별 공중 낙하균과 종업원에 대한 병원성 미생물 검사를 하였다. 충청북도 진천 소재의 SJ 회사에서 2012년 4월 1일부터 30일까지 30일 동안 수행하였다. 그 결과 원료의 미생물은 5회 동안 검출되지 않았으며, 작업장 I과 작업장 II, 포장실, 세척용수, 검사실에서 사용된 용수의 총균수는 $3.0{\times}10^1$ CFU/mL 이하로 검출되었다. 드레싱 생산과정 중 열처리 및 혼합 과정에서 총균수는 평균 $3{\times}10$ CFU/mL가 검출되었으나 대장균과 진균류,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공중 낙하균(총균수와 진균류)은 각각의 작업장에서 법적 허용치 이하로 검출되었다. 작업자들의 총균수 미생물 평가에서 모두 양성반응이었으나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위생관리 기준은 HACCP 시스템을 위한 미생물의 한계기준과 일반세균과 병원성 미생물과 같은 위해요소를 예방 및 감소시키기 위하여 설정하여야 한다.

입상 활성탄을 이용한 말라카이트 그린의 흡착평형, 동력학 및 열역학 연구 (Adsorption Equilibrium, Kinetics and Thermodynamics Studies of Malachite Green Using Granular Activated Carbon)

  • 이종집
    • 공업화학
    • /
    • 제24권2호
    • /
    • pp.184-189
    • /
    • 2013
  • 수용액으로부터 유독한 말라카이트 그린 성분을 제거하는데 있어서 입상 활성탄의 활용가능성을 회분식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흡착변수로서 흡착온도, 접촉시간과 초기농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흡착평형자료로부터 Langmuir와 Freundlich 흡착등온식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298, 308 및 318 K에서 흡착평형은 Langmuir 흡착등온식이 더 잘 맞았으며, 계산된 분리계수 값으로부터 입상 활성탄에 의한 말라카이트 그린의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력학적 실험으로부터, 흡착공정은 유사이차반응속도식에 잘 맞으며, 속도상수($k_2$) 값은 말라카이트그린의 초기농도와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활성화에너지, 엔탈피, 엔트로피 및 자유에너지변화와 같은 열역학파라미터들은 흡착공정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조사하였다. 활성화에너지의 계산값은 입상 활성탄에 대한 말라카이트 그린의 흡착이 물리적 공정임을 나타냈다. 자유에너지변화값($\Delta$G = -3.68~-7.76 kJ/mol)과 엔탈피변화값($\Delta$H = +26.34 kJ/mol)은 흡착공정이 298~318 K범위에서 자발적이고 흡열과정으로 일어난다는 것을 나타냈다.

발효유류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for HACCP System Application to fermented milk)

  • 박성빈;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438-444
    • /
    • 2015
  • 본 연구는 발효유류의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시스템 적용을 위한 목적으로 하였다. 발효유류의 주원료, 작업장 시설과 작업자 등에 대하여, 2013년 11월 5일~2014년 4월 13일까지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소재에 있는 YD 업체에서 제공받았다. 제조공정도는 일반적인 발효유류 제조업체의 제조공정을 참고로 작성하였다. 제조공정도는 원료(원유, 액상과당, 올리고당, 유산균), 부재료, 포장재의 입고, 보관, 투입, 예열, 혼합, 균질, 살균, 예냉, 배양, 냉각, 여과, 내포장, 외포장, 보관 및 출하공정으로 Fig. 1과 같이 작성하였다. 원료의 미생물학적위해요소 분석결과는 Table 1과 같다. 본 연구결과 발효유의 원재료와 살균($90^{\circ}C{\pm}5^{\circ}C$에서 $35{\pm}3$분) 후에는 위해미생물검사 결과는 안전하나 제조환경과 작업자의 미생물검사 결과 체계적인 세척 및 소독을 실시하여 미생물학적 위해를 감소시키고, 작업자 위생교육 등을 통하여 개인위생개념 향상과 작업장 내 공기중의 미생물 관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볶음김치스프 제조공정중 살균공정에 대한 미생물학적 한계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crobiological Critical Limit in Sterilization processing of Fried Kimchi Soup)

  • 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018-4024
    • /
    • 2012
  • 본 연구는 볶음김치스프 제조공정중 살균공정의 살균온도와 시간에 대한 한계기준 설정을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살균공정의 한계기준 설정은 경기도 이천시 소재의 P사에서 약 30일 (2012년 5월 1일~30일)동안 살균온도, 살균시간, 관능평가, 보관실험 및 보관 중 pH변화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살균 전, 일반세균, 대장균군과 내열성 세균수(세균아포수)는 $6.00{\times}10^5$, $7.50{\times}10^2$ 그리고 $2.75{\times}10^2$ 검출되었다. 그러나 $90{\pm}5^{\circ}C$에서 $22{\pm}5min$ 동안 살균한 모든 시료에서는 일반세균, 대장균군, 내열성세균수(세균아포수)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평가 결과는 $90{\pm}5^{\circ}C$에서 $22{\pm}5min$ 동안 살균했을 때 가장 맛있는 김치으로써 결정되었다. 결론적으로, 볶음 김치의 살균공정은 유해미생물(일반세균, 대장균군, 내열성세균수)를 예방,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따라서 품지 유지와 생물학적 안전성을 위한 살균 온도와 시간의 한계 기준은 $90{\pm}5^{\circ}C$에서 $22{\pm}5$분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HACCP 계획은 살균 공정중 모니터링 방법과 모니터링 주기, 문제 해결 방법, 교육, 훈련, 기록 관리 등을 위하여 필요하여 이를 제안하고자 한다.

K대학교 실험실의 실내공기질 실태 및 관리방안 (Indoor Air Quality of Laboratories in K- University and the Management Strategy)

  • 이동현;정효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23-330
    • /
    • 2012
  • 본 연구는 안전보건 관리에 있어 관심이 미약하였던 대학 실험실에서의 유해화학물질 발생 수준과 그로 인한 위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0년 5월 26일부터 6일간 서울시에 소재한 K대학을 대상으로 학과별 실내 오염인자를 측정, 분석하였다. 그 결과 MSDS 비치 여부와 노출저감시설 설치 유무, 보호구 지급 현황은 기초과학실험실인 화학과, 물리학과, 의학과 등에서의 관리가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치의학과, 미술학과에서는 유해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활동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실험실 내의 폼알데하이드와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는 미술학과가 다른 실험실에 비하여 현저히 높게 검출되었고 유사학과별로 집단화 한 그룹의 폼알데하이드 농도는 미술학과, 생활과학과가 포함된 기타학과에서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전반적으로 화학물질 노출로 인한 건강영향에 대한 인식이 저조하고 그에 대한 관리가 미흡한 학과의 실험실에서 높은 수준의 위험성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Establishment of the Korean Tolerable Daily Intake of Bisphenol A Based on Risk Assessments by an Expert Committee

  • Choi, Chan-Woong;Jeong, Ji-Yoon;Hwang, Myung-Sil;Jung, Ki-Kyung;Lee, Kwang-Ho;Lee, Hyo-Mi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285-291
    • /
    • 2010
  • Recently, reproductive and neurobehavioral effects of bisphenol A (BPA) have been documented, and thus a review was requested for BPA management direction by the government.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a Korean tolerable daily intake (TDI) for BPA. An expert committee, consisting of specialists in fields such as toxicology, medicine, pharmacology, and statistics, was asked to evaluate BPA health based guidance values (HbGVs). Although many toxicological studies were reviewed to select a point of departure (POD) for TDI, rat and mouse reproductive studies by Tyl et al. (2002, 2006), which were performed according to GLP standards and OECD guidelines, were selected. This POD was the lowest value determined from the most sensitive toxicological test. The POD, a NOAEL of 5 mg/kg bw/day, was selected based on its systemic toxicity as critical effects. An uncertainty factor of 100 including interspecies and intraspecies differences was applied to calculate the TDI.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a TDI of BPA for Korean was suggested at 0.05 mg/kg bw/day. In addition, the BPA exposure level based on food consumption by the Korean population was estimated as 1.509 ${\mu}g/kg$ bw/day, and the HI was evaluated at 0.03 when the TDI of 0.05 mg/kg bw/day was applied. This HI value of 0.03 indicated that hazardous effects would not be expected from BPA oral exposures. Although highly uncertain, further studies on low dose neurobehavioral effects of BPA should be performed.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 (ALARA) principle be applied for BPA exposure from food packaging materials in newborn infants and children.

화학물질 해양오염사고에 대한 미국의 방제체제 연구 (A Study on Response System of Marine Pollution Accident by Chemicals in United States)

  • 최종욱;이승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61-67
    • /
    • 2007
  • 2007년 6월 14일, OPRC-HNS 의정서의 발효로 해양에서 대형 위험 ${\cdot}$ 유해물질 (HNS) 오염사고발생시 범국가적 차원에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사고대응체제 구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이미 화학물질에 대한 긴급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는 미국에서의 화학물질 해양오염사고에 대한 국가방제체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특징으로는 단일화된 신고접수체계와 통합된 사고지휘시스템을 운용하고 재난대응기관간 공동책임제로 인하여 장비의 공유 및 기술협조 등 협력이 원활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재난관리 및 대응에 있어 주정부 및 지방정부에 많은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고 있으며 정부(지방정부 포함)에서 방제작업을 실시할 경우 소요된 방제비용의 3배를 오염행위자에게 부과한다. 실제 방제작업은 민간방제업체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다만, 행위자의 노력에도 그 능력을 초과할 경우에 한하여 국가가 대응하고 이에 대한 경비로 별도 기금(Superfund)을 운용 ${\cdot}$ 보전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은 화학물질 사고대응에 있어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오염물질을 회수하는 방제활동은 지양하고 있다. 한편, 화학사고에 대한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연안경비대 및 환경청 등의 대응요원은 교육과정을 이수하여야 하며 특수자격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