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zardous Substances

검색결과 515건 처리시간 0.033초

LC-MS/MS를 이용한 한국에서 유통되는 농산물의 잔류 농약 평가 (Evaluation of Residual Pesticides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Using LC-MS/MS in Korea)

  • 이화미;허수정;이현숙;박승영;김남선;신용우;최근화;김성일;남슬이;조대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91-402
    • /
    • 2013
  • 본 연구에서 한국 유통 농산물 17품목(쌀, 사과, 배, 오렌지, 복숭아, 딸기, 바나나, 파인애플, 포도, 키위, 수박, 토마토, 오이, 호박, 참외, 깻잎, 상추 등)을 대상으로 다성분 분석농약 60종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상농산물의 대분류별로 곡류에서는 현미, 두류는 메주콩, 과실류에서는 감귤, 채소류는 고추, 서류에서는 감자, 버섯류에서는 느타리버섯을 선정하여 회수율 실험을 수행하였다. 60% 이상의 낮은 회수율을 나타내는 성분 중 fluquinconazole, methomyl은 4가지 이상의 농산물에서 공통적으로 낮은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fluquinconazole은 식품에 적용하는 식품공전 4.1.3.22의 개별 시험법을 이용한 전처리 과정을 통해 과일류, 과채류, 콩류에서 개선된 회수율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methomyl 은 고추, 대두, 버섯 등 식품에 적용하는 식품공전 4.1.3.15의 개별 시험법을 통해 개선된 회수율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버섯, 고추에서 공통적으로 60% 미만의 낮은 회수율을 나타내었던 butocarboxim은 현재 식품공전상 개별 시험법이 존재하지 않는 항목이므로 이에 대한 개별시험법을 개발하여 다종농약다성분 시험법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한국 유통 농산물 17품목(쌀, 사과, 배, 오렌지, 복숭아, 딸기, 바나나, 파인애플, 포도, 키위, 수박, 토마토, 오이, 호박, 깻잎, 상추)을 대상으로 다성분 분석농약 60종을 분석하여 농약 잔류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농산물 358건 중 대부분의 농산물인 291건(81.3%)의 농산물은 농약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67건(18.7%)의 농산물에서 농약이 검출되었으나,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검출되었다. 쌀 등 17품목에의 다소비 농산물의 농약 잔류실태를 조사한 결과 농약의 잔류량은 잔류허용기준 미만으로 ADI 대비 EDI는 0.000009%에서 0.0861%로 위해도가 아주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비교적 안전한 수준으로 농산물에 대한 농약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공식품 중 중금속 함량 및 안전성 평가 (A Study on Heavy Metal Contents in Processed Foods and Their Safety Evaluations)

  • 이효정;심지연;오현숙;장미란;이윤애;이륜경;김민아;이상민;조태용;강호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1-2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주요섭취 가공식품(우유, 식용유지, 마가린) 3개 품목에 대한 납, 카드뮴, 비소의 기준 규격 설정을 위해 가공식품 총 287건을 전국 8개 권역(강원, 경기, 경남, 경북, 충청, 전남, 전북, 경남, 제주)에서 수거하고 각 시료를 microwave 분해법으로 전처리 하였다. 시료의 산분해 전처리 시 보다 객관화된 시료 전처리 방법의 확립을 위해 잔여 $^{12}C$ intensity를 ICP-MS로 측정하여 가장 분해정도가 우수한 조건(검체량, 질산량, 과산화수소량)을 선정하였다. 최적조건에서 전처리한 시료의 납, 카드뮴, 비소 함량은 ICP-MS로 분석하였다. 정량한계(Limit of quantification, LOQ)는 납의 경우, 우유 0.3 ${\mu}g/kg$, 식용유지, 마가린 0.61 ${\mu}g/kg$ 이었고, 카드뮴의 경우, 우유 0.15 ${\mu}g/kg$, 식용유지, 마가린 0.31 ${\mu}g/kg$이었다. 비소의 경우, 우유 0.45 ${\mu}g/kg$, 식용유지, 마가린 0.91 ${\mu}g/kg$이었다. 납, 카드뮴, 비소의 회수율은 납 92.6-98.0%, 카드뮴 91.2-98.9%, 비소 97.9-105.6% 수준 이었다 모니터링 결과, 가공식품의 납의 평균함량은 우유 2.395 ${\mu}g/kg$, 식용유지 7.656 ${\mu}g/kg$이었으며, 카드뮴의 평균함량은 우유 0.483 ${\mu}g/kg$, 식용유지 0.380 ${\mu}g/kg$이었다. 비소의 평균함량은 우유 0.781 ${\mu}g/kg$, 식용유지 1.241 ${\mu}g/kg$이었다. 가공식품의 Codex 납 기준 0.02-0.1 mg/kg, 카드뮴 0.1 mg/kg, 비소 0.1 mg/kg 수준과 비교해 볼 때, 모든 검체에서 기준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2005년 국민건강조사 DB에서 조사대상 인구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위해평가 한 결과 대상 식품들의 납, 카드뮴, 비소의 인체노출수준을 JECFA의 납, 카드뮴, 비소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으로 나누어 위해지수를 산출한 결과, 1.0 보다 훨씬 낮게 나타남으로 위해도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판단된다.

TL과 ESR 분석을 통한 일부 향신료, 장과류 및 화분가공추출물 검지 특성 연구 (Studies on the Applications of TL and ESR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Spices, Berry Fruits and Pollen Extract Product)

  • 김규헌;손진혁;강윤정;박혜영;곽지영;이재황;박용춘;조태용;이화정;이상재;한상배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9-74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radiation detection characteristics of spices (cumin, caper and turmeric), other small fruits (hut-gae berry and boxthorn), and pollen extract product. Each samples were irradiated at dose of 1, 5, and 10 kGy and analyzed by the thermoluminescence (TL) and electron spin resonance (ESR) methods. To compare between non-irradiated and irradiated food, all samples were irradiated with $^{60}Co$ gamma-ray source. In TL analysis, most of samples could be applied to detect irradiated foods because of showing TL ratio above 0.1. The glow curves examined by TL method were estimated in the range of $150{\sim}250^{\circ}C$ in irradiated samples. In ESR measurements, the intensity of ESR signal (single-line)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irradiation dose. In particular, the specific ESR signals of irradiation-induced radical were detected in hut-gae berry and pollen extract product. As a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TL and ESR methods can be used to detect both hut-gae berry and pollen extract product. But cumin, caper, turmeric and boxthorn irradiated with gamma ray could be detected only by TL method. It is concluded that TL and ESR methods are suitable for detection of irradiated samples and a combined method is recommendable for enhancing the reliability of detection results.

인증표준물질을 이용한 중금속류와 플루오르화물 전처리방법 비교 연구 (Evaluation of analytical methods for several metals and fluoride by certified reference materials)

  • 전태완;정다위;신선경;최훈근;정영희
    • 분석과학
    • /
    • 제19권2호
    • /
    • pp.172-180
    • /
    • 2006
  • 본 연구는 유해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폐기물 시험방법과 신규 항목을 설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국내외 유해폐기물의 규제기준, 시험항목 등을 조사검토하여 유해물질에 대한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Ba, Be, Cr(VI), F, Ni, Sb, Se, V 8종의 유해물질을 함유한 오니, 폐유, 소각재 등 폐기물 인증표준물질을 사용하여 전처리방법을 비교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시험방법(안)을 확립하고, 관련 항목 배출 가능성이 있는 표본사업장을 선정하여 시료 37건을 채취분석하였다.

HNS 방제정보지원시스템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omputerized Response Aid System for HNS)

  • 임창호;노창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창립 30주년 심포지엄(논문집)
    • /
    • pp.215-220
    • /
    • 2006
  • 해양오염의 가장 큰 오염원은 선박에 실린 기름들이다. 근래에 들어 HNS(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로 명명하는 유해위험물질의 운반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국가적으로 기름만을 해양오염의 방제 대상으로 두지 않고 유해위험물질을 모두 해양오염 및 인명안전에 관계된다는 것에 관심사를 집중시키고 있다. HNS 물질의 해양 사고 발생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얼마나 신속하고 정확하게 반응을 하는가 하는 것이 중요한 관점이다. 이러한 중요한 사항을 위한 결정을 위해 필요한 HNS 방제정보지원시스템의 구축에 대해서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항만에서 위험물 운송 중 유해화학물질 누출 위험성에 관한 연구 (Risk Analysis of Transporting Hazardous Substances in Harbor Using Modeling Program)

  • 윤수경;윤자연;한지윤;정승호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72-278
    • /
    • 2018
  • Recently, the use of hazardous chemical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Therefore, the international trade volume is growing and chemical accidents have increased. Nowadays, the safety awareness of the public has increased. As a result,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hazardous chemicals have been strengthened. However, the port policy of Korea has focused on increasing the volume of cargo through facility development. Thus, the port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For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society, the port management of hazardous chemicals should be considered to efficiently ensure safety and economic growth. Therefore, this study assumed scenarios where hazardous materials were moved in a dangerous container, not only on appropriate wharfs but also in ports that were close to a big city. The BTX substances were selected among the toxic chemicals with large import and export volumes, and the risk distance and damage effects were predicted using various risk assessment programs. It is expected that this could be used to improve a port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could be utilized to determine the safety distance in case of an accident.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법상 특별관리물질 규정에 대한 독일, 영국 및 일본과의 비교법적 고찰 (A Comparative Legal Study of Germany, the United Kingdom, Japan and Korea for the Regulations on Special Management Materials)

  • 최상준;피영규;김신범;김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7-147
    • /
    • 2013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valuate the limitations of the regulations on the safety and health standards for special management materials(SMM) under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in Korea. Methods: Hazardous chemicals management systems in Germany(Hazardous Substances Ordinance), the UK(Control of Substances Hazardous to Health Regulations), Japan(Ordinance on Prevention of Hazards due to Specified Chemical Substances) and Korea(Regula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ROSH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in terms of 14 items. Results: Among the 14 items, we eventually found seven items which should be amended: 1) definition and scope, 2) general duties clause, 3) principles of management, 4) preventive measures, 5) control measures, 6) risk assessment, and 7) record keeping. The principal limitations of Korean regulation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were that there were no preventive measures such as substitution, and no principles of good practices for the control of exposure to SMM. In terms of control measures, there were no regulations on suitable workplace design, reducing the number of exposed workers, reducing the level and duration of exposure, and reducing the quantity of hazardous substances in ROSH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OSHS should be complemented with preventive measures and the principles of management related to SMM. According to the suggestions, an employer who deals with SMM should preferably consider the possibility of substitution and perform substitution so far as is reasonably practicable.

네일 제품의 유해물질 안전성 검토 및 관리제도 개선 연구 (Study on the safety review and management system of Hazardous substances in nail products)

  • 윤초희;이승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439-445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화장품 유해성분에 관한 이슈를 끊임없이 제기되면서 네일 제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물질 인체 노출 저감을 위한 안전관리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국내외 문헌고찰을 통해 네일 제품의 안전 표시 기준 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네일 제품 내 유해물질 허용 기준치 초과 사례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유통된 인조 손톱 접착제와 네일팁에서 각각 톨루엔 40.3배, 클로로포름 22.8배, 안티몬 15.4배 초과 검출되었다. 선진국은 다양한 정책연구 및 법제화를 통해 작업장 물질안전보건자료 제공 및 환기 장치 설치 등을 의무화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별도의 안전 기준이 없어 네일 제품을 통한 유해물질 인체 노출이 심각한 상황이다. 따라서 네일 제품 작업환경 종사자 소비자 각각의 특성에 맞게 세부 네일 유해물질 안전관리 규정이 우선적으로 정립되어야 하고, 이에 따른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을 통해 유해물질 화장품에 대한 인지도를 제고한다면 국민의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의 융복합적 차원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Heavy Metal Risk Management: Case Analysis

  • Kim, Ji-Ae;Lee, Seung-Ha;Choi, Seung-Hyun;Jung, Ki-Kyung;Park, Mi-Sun;Jeong, Ji-Yoon;Hwang, Myung-Sil;Yoon, Hae-Jung;Choi, Dal-Woo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143-149
    • /
    • 2012
  • To prepare measures for practical policy utilization and the control of heavy metals, hazard control related institutions by country, present states of control by country, and present states of control by heavy metals were examined. Hazard control cases by heavy metals in various countr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certain countries (e.g., the U.S., the U.K., and Japan), hazardous substances found in foods (e.g., arsenic, lead, cadmium, and mercury) are controlled. In addition,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recommends calculating the 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 (PTWI) of individual heavy metals instead of the acceptable daily intake (ADI) to compare their pollution levels considering their toxicity accumulated in the human body. In Korea, exposure assessments have been conducted, and in other countries, hazardous substances are controlled by various governing bodies. As such,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diverse food heavy metal monitoring and human body exposure assessments are conducted, and reducing measures are prepared accordingly. To reduce the danger of hazardous substances, many countries provide leaflets and guidelines, develop hazardous heavy metal intake recommendations, and take necessary actions. Hazard control case analyses can assist in securing consumer safety by establishing systematic and reliable hazard control methods.

국내 유통 축·수산물 중 페니실린계 동물용의약품에 대한 잔류실태조사 (Residue analysis of penicillines in livestock and marine products)

  • 송지영;허수정;주현진;김미옥;황정분;한윤정;권유진;강신정;조대현
    • 분석과학
    • /
    • 제25권4호
    • /
    • pp.257-264
    • /
    • 2012
  • 페니실린계 항생물질은 ${\beta}$-lactam 계열의 항생물질로서 인간과 동물에게 널리 사용되어지는 항생물질이다. 이러한 항생항균물질들의 오남용은 소비자가 항생제에 노출될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 중인 축 수산물을 대상으로 LC-MS/MS를 이용하여 페니실린계 동물용의약품 7종인 아목시실린, 암피실린, 벤질페니실린, 클록사실린, 디클록사실린, 나프실린, 옥사실린에 대한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특이성, 정밀성, 회수율, 직선성을 통해 시험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으며 아목시실린을 제외한 나머지 6종은 모두 76% 이상의 회수율을 보였고, RSD는 10% 이하로 나타내었다. 시료는 80% 아세토니트릴로 추출한 후 고체상 추출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정제 한 후 분석하였다. 축 수산물 225건을 대상으로 잔류량을 조사한 결과 벤질페니실린이 축산물에서 12건, 수산물에서 7건으로 총 19건이 검출되었고 나머지 6개 항목인 아목시실린, 암피실린, 클록사실린, 디클록사실린, 나프실린, 옥사실린은 검출되지 않았다. 벤질페니실린이 검출된 축산물은 우유와 알을 제외한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이었으며 검출 수준은 0.001~0.009 mg/kg으로 잔류허용기준(MRL)인 0.05 mg/kg 이하로 검출되었다. 수산물에서 검출된 7건은 잔류허용기준인 0.03 mg/kg 이하로 검출되었다. 본 연구사업에서 수행한 모니터링 결과 해당항목의 경우 대부분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어 비교적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향후 지속적인 잔류실태조사와 제도적인 관리지도를 통하여 동물용의약품의 오남용에 대한 안전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