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te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4초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Brand Hate Among Netizens: Empirical Evidence from Vietnam

  • NGUYEN, Hai Ninh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7호
    • /
    • pp.579-589
    • /
    • 2021
  • In the era of tough competition, the customer's emotional attachment to brand plays a vital role to the successes and failures of enterprises. Specifically in the case of doing business online, brands have to cope with the troubles of rising from brand hate as brand avoidance, negative word of mouth and brand retaliation. Traditionally, the brand communication is very hard to control and with online communities, the problems tend to be even more severe. This paper aims to explore and discuss the core concept, the driven factors and the actionable consequences of brand hate among netizens. A total of 358 valid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surveys taken from the internet users across the nation. Partial Least Square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LS-SEM) was conducted using Smart PLS to assess the hypotheses. The result shows that the expression of brand hate among netizen consists of active hate and passive hate. Deficit value, deceptive advertising, negative past experience and ideology incompatibility have been confirmed as influencing factors on customers' brand hate emotion. Then brand hate itself causes the customer's actionable outcomes such as brand avoidance, brand negative word of mouth and brand retaliation. Along with the theoretical contribution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have been recommended for enterprises to avoid netizens' brand hate.

인터넷 혐오표현 대응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노출경험 사례 및 전문가 심층인터뷰 분석을 중심으로 (Exploratory Study on Countering Internet Hate Speech : Focusing on Case Study of Exposure to Internet Hate Speech and Experts' in-depth Interview)

  • 김경희;조연하;배진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499-51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인터넷 혐오표현의 원인과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혐오표현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에세이 분석을 통해 인터넷 혐오표현에 대한 노출 실태를 분석했으며,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해 인터넷 혐오표현 확산의 원인을 진단하고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대학생들은 인터넷에서 여성, 노인, 성소수자, 지역 대상의 혐오표현을 경험했으며, 혐오표현을 확산시키는 주요 매체는 뉴스 댓글과 SNS, 온라인 게임이었다. 인터넷 혐오표현의 원인은 개인적 차원에서 인간 존엄성에 대한 인식 부족,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의 부재 등으로, 사회적 차원에서 차별과 혐오에 대한 교육의 미흡, 혐오표현을 재생산하는 미디어 등으로 분석됐다. 이와 함께 법·제도적, 사회적, 교육적 차원에서 인터넷 혐오표현 문제를 개선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장애인 증오범죄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교정과 복지의 융복합적 접근 (A Study on the Disability Hate Crime: Convergent Approach of Correction and Welfare)

  • 신숙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467-474
    • /
    • 2019
  • 최근 우리나라 뿐 아니라 많은 국가들에서 장애인을 포함한 특정 집단에 대한 혐오감이 범죄로 이어지는 사건이 늘어나면서 증오범죄(hate crime)가 새로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련 사전 연구는 물론, 관련 기관의 국내외 통계 보고서 및 범죄사건 신문 자료들을 검토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증오범죄의 개념 및 국내외 현황을 알아보고,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태도에 대한 고찰 및 장애인 대상 증오범죄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범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몇 가지 복지적 관점에서의 제언을 하였다.

BERT-Based Logits Ensemble Model for Gender Bias and Hate Speech Detection

  • Sanggeon Yun;Seungshik Kang;Hyeokman Kim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9권5호
    • /
    • pp.641-651
    • /
    • 2023
  • Malicious hate speech and gender bias comments are common in online communities, causing social problems in our society. Gender bias and hate speech detection has been investigated. However, it is difficult because there are diverse ways to express them in words. To solve this problem, we attempted to detect malicious comments in a Korean hate speech dataset constructed in 2020. We explored 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BERT)-based deep learning models utilizing hyperparameter tuning, data sampling, and logits ensembles with a label distribution. We evaluated our model in Kaggle competitions for gender bias, general bias, and hate speech detection. For gender bias detection, an F1-score of 0.7711 was achieved using an ensemble of the Soongsil-BERT and KcELECTRA models. The general bias task included the gender bias task, and the ensemble model achieved the best F1-score of 0.7166.

레스토랑 품질이 브랜드 사랑과 증오, 그리고 온·오프라인 구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Restaurant Qualty on Brand Love and Hate, and Off-line and On-line Word-of-Mouth)

  • 조미옥;유연우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4권1호
    • /
    • pp.1-21
    • /
    • 2023
  • Purpose: During COVID-19, consumers prefer social distancing or contactless activities for safety, and hygienic condition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evaluating restaura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offline/online word-of-mouth is affected by restaurant qual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80 consumers who had experiences of visiting a restaurant in the past 90 days and analyzed with SPSS 28.0 and SmartPLS 4.0 programs. Results: Physical environment and menu had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love, while employee service and hygiene had no significance on brand love. Restaurant environment, menu, and hygiene had nega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hate, but employee service had not significant impact on brand hate. Brand love had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offline and online word-of-mouth, and brand hate had negatively significant effects on offline and online word-of-mouth. Conclusions: First, restaurants need to develop a pleasant space where customers can have emotional experiences. Second, restaurants need to fulfill customers' desire for global food consumption. Third, restaurants should ensure hygiene and safety to prevent customers' brand hate. Lastly, restaurants need to establish offline/online word-of-mouth strategy to identify which restaurant quality attributes influence brand love/hate and offline/online word-of-mouth.

일본의 혐한류와 미디어내셔널리즘: 2ch와 일본 4대 일간지를 중심으로 (Media nationalism and Hate Korea wave in Japan: 2ch and the Four daily newspapers in Japan)

  • 박수옥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7권
    • /
    • pp.120-147
    • /
    • 2009
  • "만화 혐한류(嫌韓流)"의 발간 이후 인터넷상의 혐한현상을 둘러싼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혐한현상은 한일관계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국가들의 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한일양국의 우호관계유지는 자국의 발전과 번영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서도 긴요한 문제이다. 본고의 목적은 양국의 우호관계 증진에 저해요소가 되고 있는 혐한현상의 위상과 특징을 분석하고 그 원인과 해결책을 모색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혐한류의 진원지인 2ch(니찬네루, 이하 2ch)에서 논의되고 있는 혐한류의 내용과 표현방식을 분석하고 원인을 탐구한 다음 이들의 혐한의식과 일본사회 전체의 대한인식이 가지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보았다. 분석결과 2ch에서 논의되고 있는 내용은 "만화 혐한류(嫌韓流)"의 내용과 흡사하였고 표현방식도 매우 과격하였다. 하지만 일반적인 대한인식과 많은 괴리가 있었다는 점과 혐한류에 대한 비판과 긍정적인 대한인식이 18%나 존재하였다는 점, 전체 인터넷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높지 않았다는 점에서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그렇지만 혐한류의 소스가 기존 미디어의 기사였다는 점과 주 이용자가 미래의 한일관계를 책임져 나갈 젊은 세대라는 점, 또 어떤 계기가 주어지면 폭발할 수 있는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꾸준한 관심이 요구된다.

  • PDF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한국 사회의 혐오 양상 분석 (Analyzing the Phenomena of Hate in Korea by Text Mining Techniques)

  • 김혜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31-453
    • /
    • 2022
  • 혐오는 타인에 대한 배타성이 집단적으로 표출된 것으로, 잘못된 대중적 인식을 통하여 양산되고 재생산된다. 이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언급되고 있는 '혐오' 양상을 거시적으로 탐색하고자 1990년부터 2020년까지 발행된 뉴스데이터 17,867건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키워드 네트워크와 군집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단어를 추출하기 전에 먼저 기사를 문장으로 분리하는 전처리 과정을 거쳐 '혐오', '편견', '차별'이라는 단어를 포함하고 있는 문장 총 52,520개를 추출하여 분석에 활용함으로써 '혐오'라는 단어와 인접한 단어들로 구성된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수집한 뉴스데이터의 단어 동시출현빈도 분석 결과, 우리 사회에서 혐오와 관련되어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대상은 여성, 인종, 성소수자 등이며, 관련된 이슈는 이들 집단과 관련된 법과 범죄 등이었다. 키워드 네트워크 군집 분석 결과, 성별(41.4%), 소수자(28.7%), 인종·민족(15.1%), 선택적·이해관계적(8.5%), 정치·이념(5.7%), 환경·생존적(0.3%) 혐오 등 총 6개의 혐오 군집들이 발견되었다. 논의에서는 군집 분석 결과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혐오의 표적(대상)을 모두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트위터에서의 COVID-19와 관련된 반시민성 주제 탐색: 혐오 대상 및 키워드 분석 (Investigating Topics of Incivility Related to COVID-19 on Twitter: Analysis of Targets and Keywords of Hate Speech)

  • 김규리;오찬희;주영준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31-350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하 코로나19)로 인해 생겨난 코로나19 반시민성 주제와 코로나19 혐오 정서를 파악하기 위해 소셜미디어 중 하나인 트위터의 코로나19 관련 게시물을 분석하였다. 2019년 12월 1일부터 2021년 8월 31일까지 21개월 동안 작성된 코로나19 관련 혐오 대상별(지역, 공공시설 혐오, 특정 인구 집단 혐오, 종교 혐오) 게시물 수집 및 전처리를 진행하여 총 63,802개의 게시물을 분석하였다. 혐오 대상별 빈도 분석, 다이나믹 토픽 모델링, 키워드 동시 출현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통하여 혐오 대상별 반시민성 주제와 혐오 키워드를 파악하였다. 첫째, 빈도 분석 결과, 지역, 공공시설 혐오는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특정 인구 집단과 종교 혐오는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다이나믹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지역, 공공시설 혐오는 '대구, 경북지방 혐오', '지역 간 혐오', '공공시설 혐오'로 나타났고, 특정 인구 집단 혐오는 '중국 혐오', '바이러스 전파자', '실외(야외)활동 제재'로 나타났으며, 종교 혐오는 '신천지', '기독교', '종교 내 감염', '방역 의무 거부', '확진자 동선 비난'으로 나타났다. 셋째, 키워드 동시 출현 네트워크 분석 결과, 지역, 공공시설 혐오(코로나, 대구, 확진자, 신천지, 경북, 지역), 특정 인구 집단 혐오(코로나바이러스, 우한폐렴, 우한, 중국, 중국인, 사람, 입국, 금지), 종교 혐오(신천지, 코로나, 교회, 대구, 확진자, 감염) 등을 핵심 키워드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국내 코로나19 혐오 대상 및 키워드 파악을 통해 코로나19 관련한 대중의 반시민성 여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주제인 코로나19 관련 혐오에 데이터 마이닝기법을 이용하여 소셜 미디어에서 표출하는 대중의 반시민성 주제와 혐오 정서 탐색은 대중들의 여론을 파악하는 것이 의의가 있다. 더불어 본 연구 결과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는 문화적 소통 방안의 제도 및 정책 수립 기여를 위한 기본 자료에 기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 함의를 시사한다.

증오 범죄의 원인과 대책 (Causes and Countermeasures on the Hate Crime)

  • 김승봉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47-55
    • /
    • 2022
  • 증오 범죄는 개인적인 범죄가 아니라 사회적 문제로 봐야 하고, 사회적 통합 가치 규범을 벗어난 반사회적 행동을 할 수 있는 사람에 대해서는 예방체계를 구축하여 수용체계를 갖추도록 해야 한다. 특히 비극적 증오 범죄를 줄이기 위해서는 사회와 정부가 양극화 해소를 위해 적극나서야 하고, 가정과 학교, 사회와 연계된 인성교육이 이뤄져야 하며 사회보장제도 등 사회안전망을 구축하는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 아울러 좋은 정책을 펴기 위해서는 편법보다 원칙이 더 잘되는 사회, 그리고 강자가 약자를 배려하는 사회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Between Love and Hate: The New Korean Wave, Japanese Female Fans, and Anti-Korean Sentiment in Japan

  • Ahn, Ji-Hyun;Yoon, E Kyung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9권2호
    • /
    • pp.179-196
    • /
    • 2020
  • Despite the enormous success in Japan of Korean popular culture, including TV dramas and K-pop, over the past few decades, anti-Korean sentiment in the country has become increasingly visible and intense. In this article, we examine how young Japanese female fans of Korean popular culture engage with the Korean Wave discourse while also engaging with―or, rather, disengaging from―anti-Korean movements and hate speech. Whereas previous scholarship on the Korean Wave has emphasized the power of active fans' agency,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fans who passionately and self-reflexively consume Korean popular culture understand and react to the growing anti-Korean sentiment in Japa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5 of these fans in their 20s and 30s, we show how they have navigated the discursive space between appreciation for Korean culture and anti-Koreanism in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