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tching Time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31초

ONTOGENETIC ASPECTS OF STEROIDOGENESIS BY GONADS OF DUCKS AND ITS ROLE IN SEX DIFFERENTIATION

  • Doi, O.;Iwasawa, A.;Nakamura, T.;Tanabe,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7권1호
    • /
    • pp.75-81
    • /
    • 1994
  •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eroidogenesis and sex differentiation in the duck, plasma, testicular and ovarian testosterone, estradiol-$17{\beta}$ and progesterone concentration in male and female embryo of day 11 to 27 (just before hatching) of incubation and in 1- to 7-day-old male and female duckling were investigated by radioimmunoassays. Plasma estradiol-$17{\beta}$ concentration in female embryos declined from very high at days 11 and 15 of incubation and remained at low levels after hatching. Male plasma estradiol-$17{\beta}$ concentration were always lower than those of the female throughout this period. Plasma testosterone and progesterone concentrations in both sexes were low during the embryonic stage, but then increased to peaks 3 days and 1 day after hatching, respectively. Estradiol-$17{\beta}$ contents were much higher in the left ovary than the right ovary or testes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The estradiol-$17{\beta}$ content of the left ovary was very high at day 15 of incubation, and decreased gradually thereafter. Both in right ovary and testes, estradiol-$17{\beta}$ contents were always low. Testosterone and progesterone contents in the left ovary were low from day 11 to 23 of incubation, and reached a peak 1 day after hatching. Progesterone content in the right ovary and testes were low levels over time period examined. Testosterone and progesterone contents were much higher in the left ovary than the right ovary and testes. The present results clearly demonstrate that the capacity of the embryonic left ovary of duck to synthesize estradiol-$17{\beta}$ and testosterone i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embryonic testis. It is suggested that estrogen secreted from the embryonic ovary earlier than day 15 of incubation has an important role in female sexual differentiation in the duck, and the sex of the avian species is basically male with homozygous sex chromosome (ZZ).

Effects of laser-assisted hatching and exposure time to vitrification solution on mouse embryo development

  • Kim, Hye Jin;Park, Sung Baek;Yang, Jung Bo;Choi, Young Bae;Lee, Ki Hw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4권4호
    • /
    • pp.193-200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laser-assisted hatching (LAH) and various vitrification times for embryonic development and blastocyst cell numbers. Methods: First, 2-cell and 8-cell embryos were collected by flushing out the oviducts. In the control groups, they were vitrified for 8 or 10 minutes without LAH. The LAH groups underwent quarter laser zona thinning-assisted hatching before vitrification (4, 6, and 8 minutes or 4, 7, and 10 minutes, respectively). After incubation, double-immunofluorescence staining was performed. Results: The hatched blastocyst rate 72 hours after the 2-cell embryos were thawe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2LAH-ES8 group (33.3%) than in the other groups (p< 0.05). In the control-8 group ($22.1{\pm}4.6$), the cell number of the inner cell mass was higher than in the LAH groups (p< 0.05). The number of trophectoderm cells was higher in the 2LAH-ES6 group ($92.8{\pm}8.9$) than in the others (p< 0.05). The hatched blastocyst rate 48 hours after the 8-cell embryos were thawed was higher in the 8LAH-ES4 group (45.5%) than in the other groups, but not significantly. The inner cell mass cell number was highest in the 8LAH-ES7 group ($19.5{\pm}5.1$, p< 0.05). The number of trophectoderm cells was higher in the 8LAH-ES10 group ($73.2{\pm}12.1$) than in the other groups, but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When LAH was performed, 2-cell embryos with large blastomeres had a lower hatched blastocyst rate when the exposure to vitrification solution was shorter. Conversely, 8-cell embryos with small blastomere had a higher hatched blastocyst rate when the exposure to vitrification solution was shorter.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배의 생존과 부화에 미치는 동해방지제의 영향 (Effects of Cryoprotectants on Survival and Hatching of Black Sea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Embryos)

  • 임한규;장영진;조필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62-266
    • /
    • 2003
  • 어류 배의 냉동보존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감섬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초기 배를 대상으로 동해방지제인 DMSO, ethylene glycol 및 glycerol의 최적 농도와 처리시간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동해방지제의 적정 농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배의 사망률, 부화율 및 반수치사 농도를 조사하였다. 동해방지제로 처리된 감성돔 배의 사망률은 침지농도나 시간과 밀접히 연관되었으며, 감성돔 배에 대한 독성은 DMSO, ethylene glycol, glycerol의 순서로 낮았다. 배의 사망률, 부화율 및 반수치사농도에 대한 결과로부터 감성돔 배를 냉동보존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동해방지제는 DMSO였으며, 다음이 ethylene glycol이었다. 20분의 처리시간에서 효과적인 DMSO의 침지 농도는 2.0∼2.25 M이었으며, ethylene glycol의 경우 1.0∼1.78 M이었다.

낙동강 수계 위천에 서식하는 누치 Hemibarbus labeo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he Hemibarbus labeo from Wicheon Stream, Nakdonggang-River)

  • 박재민;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0-19
    • /
    • 2024
  • 이 연구는 낙동강 수계 위천에 서식하는 누치의 초기생활사를 규명하고 근연종과 특징을 비교하였다. 2021년 4월 산란장 4곳에서 채집된 수정란을 대상으로 난발생과 자치어 형태 발달을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점착성을 가진 침성란으로 난 크기는 1.93~2.39 (평균 2.22±0.15, n =30) mm였다. 수온은 22.2~24.1℃에서 부화시간은 109~115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 자어 크기는 7.50~8.80 (평균 7.99±0.46) mm로 입과 항문이 발달하지 않았고 난황을 갖고 있었다. 부화 후 6일째 전기자어는 전장 9.49~10.2 (평균 9.78±0.23, n=30) mm로 먹이를 섭취하였다. 부화 후 10일째 중기자어는 전장 9.97~11.9 (평균 10.7±0.72, n=30) mm로 척추 말단부분 미부봉상골이 휘어지기 시작하였다. 부화 후 20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12.6~15.2 (평균 13.9±0.77, n=30) mm로 미부봉상골이 45°로 완전히 휘어졌다. 부화 후 29일째 치어는 전장 16.9~19.8 (평균 18.1±0.91, n=30) mm로 등지느러미 10개, 뒷지느러미 9개, 배지느러미 7개로 지느러미 기조 수가 정수에 달하였다. 누치는 후기자어 시기 머리부분, 몸 정중앙, 지느러미 위쪽 등 흑색소포 분포 위치가 근연종들과 다르게 나타나 형태적인 특징을 구분할 수 있었다.

마취제 MS-222, ethyl 3-amino-benzoate-methane sulfonate 가 해양 부착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생존과 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nesthesia MS-222, Ethyl 3-Amino-Benzoate-Methane Sulfonate on Survival and Hatching of Marine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신효진;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5-309
    • /
    • 2006
  • 살아 움직이는 요각류를 모세관으로 분리 할 때 마취제(MS-222)의 이용은 편리할 뿐만 아니라 분리 후 요각류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본 실험은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요각류를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부착성 요각류인 Tigriopus japonicus 수컷과 포란한 암컷을 대상으로 MS-222의 농도별(500, 750, 1,000 ppm) 마취시간과 회복시간 그리고 마취 후 분리된 개체들의 생존율 및 포란한 암컷의 nauplius 생산력을 비교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MS-222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마취시간은 짧고 회복시간은 길게 나타났다. MS-222로 마취 후 분리한 T. japonicus의 14일간의 생존율에서 수컷은 포란한 암컷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수컷 대조구와 유의적 차를 보이지 않았다. 반대로 포란한 암컷의 경우는, 750 ppm, 1,000 ppm에서는 생존율이 대조구나 500 ppm 에서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MS-222 농도가 높을수록 T. japonicus의 부화횟수와 부화량은 적고, 부화주기는 길었다. 그러나 500 ppm 실험구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T. japonicus의 분리 시 적정 농도는 500 ppm 정도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차후 다양한 크기의 요각류를 분리할 때 MS-222의 적정 농도를 파악하는데 유익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고등어 Scomber japonicus 난발생 및 자어에 미치는 수온, 염분의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Egg and Larval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 황형규;김대현;박민우;윤성종;이윤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4-238
    • /
    • 2008
  • 고등어 Scomber japonicus의 종묘생산 및 양식가능성을 조사하기위하여 난발생에 따른 수온과 염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정란의 난경은 $0.91{\sim}1.33\;mm$였으며, 1개의 유구를 갖고 있는 구형의 분리부성란이었다. 수정에서 부화에 이르기까지 평균 소요시간은 $16^{\circ}C$일 때 약 70시간, $20^{\circ}C$일 때 48시간, $24^{\circ}C$일 때 42시간, $28^{\circ}C$일 때 34시간으로 고수온일수록 빠른 경향이었다. 부화율은 자연해수 조건인 $20{\sim}24^{\circ}C$$33{\sim}35\;psu$ 범위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난발생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 수온(T: $^{\circ}C$)에 따른 발생속도(t: hour)는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난발생이 진행되지 않는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6.9^{\circ}C$로 추정되었다.

참가자미, Limanda herzensteini의 난발생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on Egg Development of Flatfish, Limanda herzensteini)

  • 이정용;김완기;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57-362
    • /
    • 1997
  • 참가자미의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난발생에 미치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정란의 정상적인 부화는 9-$15^\circC$에서 가능하였으며 생존율은 $12^\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난발생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온 (T : \circC$)에 따른 발생속도 (t : hour)는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았다. 8세포기 1/t=0.0284T-0.0554 (r=0.9999) 상실기 : 1/t=0.0137T-0.0527 (r=0.9998) Kupffer씨포 출현기 : 1/t=0.0035T-0.0133 (r=0.9762) 부화자어기 : 1/t=0.0012T-0.0007 (r=0.9981) 참가자미의 난발생이 개시되는 생물학적 영도는 평균 $2.6^\circC$로 나타났다. 설정 수온별로 수정에서 부화에 이르기까지의 평균 소요시간은 $9^\circC$에서 95.5시간, 12$12^\circC$에서 72.5시간 및 $15^\circC$에서 56.0시간이었다. 염분별 부화까지의 생존율은 35-$38\textperthousand$에서 높게 나타났다.

  • PDF

Convict Cichlid Amatitlania nigrofasciata의 난발생 (Embryonic Development of Convict Cichlid Amatitlania nigrofasciata)

  • 정효선;고민균;이효빈;노재구;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20-425
    • /
    • 2018
  • We characterized egg development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embryonic development time, in the convict cichlid Amatitlania nigrofasciata. Fertilized eggs of this species have an ovoid shape (horizontal axis, $1.56{\pm}0.02mm$; vertical axis, $1.26{\pm}0.04mm$) and smooth translucent chorion surrounded by a layer of mucous secretion. At $27{\pm}0.5^{\circ}C$, the first cleavage, blastula, gastrula and 16-somite stages of A. nigrofasciata eggs began at 1.5, 4.83, 14 and 40 hours after fertilization, respectively. We measured the development rate of embryos at $12-33^{\circ}C$ and found that the time period from fertilization to hatching was 94 hours at $24^{\circ}C$, 64 hours at $27^{\circ}C$ and 50 hours at $30^{\circ}C$. At temperatures of $12-21^{\circ}C$, all fertilized eggs died before hatching and those incubated at $33^{\circ}C$ died immediately after hatching.

고유종 칼납자루의 재생산 기초 연구 (Reproduction Study of Korean Endemic Species Acheilognathus koreensis)

  • 김치홍;이완옥;이종하;백재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0-157
    • /
    • 2011
  • 칼납자루를 중심으로 납자루아과 고유종 각시붕어, 한강납줄개, 묵답자루의 재생산을 위한 기초 연구를 하였다. 난의 형태와 부화 자어는 종별로 독특하였으며 암컷의 크기와 1회 산란량의 상관관계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칼납자루 $13.0^{\circ}C$에서도 산란이 가능하였으나 수정란의 부화율은 43.5%로 낮았으며, 수온 $21.0^{\circ}C$에서 79시간 만에 부화하였고 다른 비교 종들과 같이 수온이 높을수록 부화에 이르는 시간은 단축되었다. 칼납자루는 부화 후 자어 시기를 거쳐 300일 만에 52.4 mm로 성장하여 재생산에 참여할 어미가 되기에 충분하였다. 납자루아과 어류의 재생산 연구는 고유 담수어 보존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우리나라에 번식하는 제비의 먹이자원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ies of Food Resources of Summer Breeding House Swallow (Hirundo rustica) in Korea)

  • 이상돈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3호
    • /
    • pp.123-129
    • /
    • 2009
  • In Korea the population of breeding house swallow is continuously decreas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verall population trend during 2001-2005. The areas of urban and rural sites were separated to estimate population. Also the sites in Yangpyung areas were chosen to compare population density between two sites during Mar-Aug, 2006. The house swallow had two breeding periods and I tried to correlated amount of days of incubation and number of eggs in the nest. After egg hatching the homing behavior also was estimated assuming lack of foods takes longer to bring foods back to the nest. This study signified that a long term study should be conducted for population change and spring arrival time due to climate change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