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d biting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교합안정장치의 장착이 저작근 활성도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Occlusal Stabilization Splint 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 Min Shin;Kyung-Soo Ha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4권1호
    • /
    • pp.67-80
    • /
    • 1989
  • The author studied the changes of muscle activity with Bioelectric processor Model EM2(Myotronics Corp., USA) before and after occlusal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For this study, 15 temporomandibular disorders patients and 15 students without any temporomandibular disorders symptoms were selected, for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Experimental group were treated with occlusal stabilization splint and checked about electromyographic activity before and after therapy. Electromyographic levels were measured in both groups at the following mandibular position, i.e., physiologic rest, tapping, light biting, hard open without pain, open with pain, right excursion and ipsilateral biting, left excursion and ipsilateral biting, protrusion, protrusive biting, edge biting and physiologic rest after movement.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experimental group, post-treatment mean values of muscle activity were lower than pretreatment values. 2. In general, the pre-treatment mean values of muscle activity in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3. In experimental group,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between affected and unaffected side. 4. The mean value of muscle activity in physiologic rest position after each movement check was lower than that before each movement check.

  • PDF

교합조건 및 이악물기 힘의 변화가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cclusal Condition and Clenching Force on the Mandibular Torque Rotational Movement)

  • 오민정;한경수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4호
    • /
    • pp.411-426
    • /
    • 2005
  • 이갈이나 이악물기 시 근활성, 하악의 이동, 악관절에 가해지는 부하, 그리고 교합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는 많았으나 하악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가 적었다. 따라서 측두하악장애의 주요한 기여요인으로 간주되는 이악물기나 강한 씹기에 의해 나타나는 하악의 미세한 운동양태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을 중심으로 이악물기 및 강한 씹기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작계 이상이 없는 건강한 남자 14명을 선정하여 교합고경 및 형태의 변화와 수의적 이악물기 수준의 차이가 이악물기 및 씹기 운동 시 나타나는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torque rotational movement)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교합조건과 이악물기 힘에서의 씹기 운동은 먼저 나무젓가락(분리기)이 없는 한 번의 이악물기와 나무젓가락을 구치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두 번에 걸친 씹는 운동 등 세 번의 하악운동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좌측으로 씹을 때와 우측으로 씹을 때 간에 전두면 및 시상면상 운동거리는 두 가지 이악물기 힘 모두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하악의 운동속도는 다른 양상을 보여 강한 이악물기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약한 이악물기에서는 좌측으로 씹을 때 우측에 비해 속도가 다소 빠른 경향을 보였다. 이때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각은 두 가지 이악물기 모두에서 전두면상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수평면상 각도에서는 씹는 측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경향을 보였다. 2. 이악물기 힘의 차이는 전두면 및 시상면상 운동거리와 속도에 영향을 미쳐 강한 씹기에서 약한 씹기에 비해 측정치가 크게 나타났으며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각 역시 강한 씹기에서 수평면상 운동각이 다소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 3. 전두면 및 시상면상 개구거리는 교합조건에 따른 차이를 보였는데, 즉 웨이퍼나 레진블록 등 교합고경이 높은 교합형태일수록 운동거리가 감소하였으며, 이때 강한 씹기에서는 운동속도 역시 유사한 양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각은 전두면 및 수평면 모두에서 교합조건에 따른 차이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4. 세 번의 씹는 운동에서 분리기가 없는 경우에 비해 있는 경우에서 대체로 전두면상 회전운동각을 제외한 나머지 하악의 비틀림 회전운동량은 모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이때 각 교합형태 간 동일항목의 비교에서는 전두면상 회전운동거리가 이악물기 힘에 따른 차이를 보여 약한 이악물기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하악 비틀림 회전운동의 전체적인 양상은 관찰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이악물기 힘에 따른 차이는 전두면에 비해 수평면상 측정치가 더 많이 변화되는 모습을 보였으나 교합조건에 따른 양상은 관찰면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이악물기 및 씹는 운동 각각에서의 하악 비틀림 회전운동량은 교합조건이나 이악물기 힘에 관계없이 대체로 분리기 씹기에 의해 수평면상 회전운동량의 변화가 전두면상 측정치에 비해 더 유의하게 나타났다.

정상인에 있어서 협근의 작용에 관한 근전도분석 (AN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THE ACTION OF THE BUCCINATOR MUSCLE IN THE NORMAL SUBJECT)

  • 한장술;조한준;김유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9권1호
    • /
    • pp.59-62
    • /
    • 1971
  • An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the buccinator muscle was undertaken, by use of surface electrode. Electromyograms were made from 30 subjects with normal dentition during various oral activ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No buccinator activity was elicited during slowly opening and closing the mouth. 2. The majority of subjects showed buccinator activity while biting hard, protracting the mandible, and retracting the mandible. 3. The buccinator muscle was found to be markedly and consistently active during swallowing, blowing, sucking and masticating. 4. The buccinator activity during pulling the lips against the teeth was of equal potential with pulling the lips laterally. 5. The buccinator muscle on the working side was more active than the buccinator muscle on the balancing side.

  • PDF

인위적 교합장애가 측두근 전염 및 교근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INFLUENCE OF ARTIFICIAL OCCLUSAL INTERFERENCE ON THE ACTIVE OF ANTERIOR TEMPERAL AND MASSETER MUSCLES)

  • 주혜연;김광남;장익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9-111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occlusal interference on the activity of anterior temporal and masseter muscles during maximal biting. In seven subjects, cast hard gold cap providing new occlusal surface approximately 0.5mm above its occlusal level was cemented on the mandibular right first molar during aquired experimental period. EMG recordings were taken bilaterally during one second hardest possible clenching four times. This procedure was done not only before, immediately after, 48 hours after and one week after cementation of interfering crown but also immediately after and one week after removal of occlusal interfering crow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mmediately after cementation of interfering crown, the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muscles studied. 2. One week after cementaion of interfering crown, the lowest muscle activity was recorded. But clinical sign and symptoms were significantly subsided. 3. Immediately after removal of interfering crown, the activity was increased in all muscles studied. 4. One week after removal of interfering crown, the activity of masseter muscles was increased to the level of before cementation of interfering crown. 5. There was no significant activity difference between right and left in the muscle studied. 6. Masseter muscle activity showed significant change than anterior temporalis with the unilateral mandibular posterior tooth interference.

  • PDF

하악의 비틀림회전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 Affecting Mandibular Rotational Troque Movements)

  • 이유미;한경수;허문일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3권2호
    • /
    • pp.143-155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actor that might affect mandibualr body rotation. For the study, 115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35 dental students without angy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ere randomly selected as the patient group and the contreol group, respectively. Preferred chewing side, Angle' classification, lateral guidance pattern, and affected side were clinically recorded, and the amount of Mandibular body rotational torque movement was measured in wide opening and closure, in right and left excursion with vertical and lateral distance in frontal plane, right and left rotational angel in horizontal and in frontal plane. Masticatory muscle activity of anteriorocclusal contact pattern on maximal hard biting were also observed synchronously with BioEMG and T-Scan , respectively. The observed items were muscle activity of anterior temporalis and superficial masseter, and tooth contact status related to contact number, force, duration, and occlusal unbalance between right and left arch.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SAS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Mean value of vertical distance in frontal plane in wide opening and closure was more in control subjects than in patien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for rotational angle. In right excursion, rotational angles were greater in patient group than in control group. 2. Comparison among the subjects by preferred chewing side did not reveal any significant difference, but comparison among patients by affected side showed more rotational amount in bilaterally affected patients than in unilaterally affected patients. 3. Comparison among the subjects by Angle's classification or lateral guidance pattern revealed no difference. There was also no difference between preferred chewing side and contralateral side, and between affected side and contralateral side. 4. Positive correlation in madibular rotational torque movements were observed among vertical distance, total horizontal rotation angle,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anterior temporalis, tooth contact number, and tooth contact force but total frontal rotation angle almost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with other variables except vertical distance.

  • PDF

리포좀 코팅한 hemicellulase가 우엉의 연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Liposome-coated Hemicellulase on the Tenderization of Burdock)

  • 김광일;이상윤;이지선;이중규;민상기;최미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698-703
    • /
    • 2015
  • 식물 소재 식품인 우엉을 코팅 및 비코팅 헤미셀룰라아제 효소액으로 침지한 후 시간에 따른 식품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관찰한 결과, 색도에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명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적색도와 황색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비코팅 효소와 코팅 효소 침지한 우엉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본연의 색을 잃어가는 경향을 나타냈다. 경도는 시간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고 증류수 침지 처리 시료에 비해 비코팅 효소와 코팅 효소 침지 처리한 시료의 경도 값이 유의적으로 낮았지만 코팅/비코팅 효소 처리한 시료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효소 활성은 우엉을 침지했던 함침액에 있는 생성물인 포도당의 함량 측정을 통해 진행한 결과 초반에는 비코팅 효소의 활성이 코팅 효소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이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코팅 효소의 활성이 증가하며 비코팅 효소액 처리구의 활성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즉, 코팅막을 이용하여 효소를 포집하면 비코팅 효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꾸준하게 효소의 활성을 유지 및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식품의 연화 효과 및 효소의 활성을 장기간 적용할 수 있었다. 또한 리포좀 코팅은 수용성 및 지용성 성분의 포집이 가능하다. 즉, 본 실험을 통해 코팅된 가수분해효소의 고정화로 음식 재료의 연화 작용을 기대할 수 있으면서 효소 외에 다른 수용성 및 지용성의 영양 성분 및 기능성 성분 등을 함께 포집하여 비파괴 노인식 개발에 응용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Add-picture 방법을 이용한 교합접촉점 분석 (Analysis of Occlusal Contacts Using Add-picture Method)

  • 박고운;조리라;김대곤;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1호
    • /
    • pp.45-58
    • /
    • 2013
  • 교합접촉 분석에 이용되는 T-Scan $III^{(R)}$ (Tekscan, South Boston, MA, USA)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Add picture 방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두 방법에서 공통적인 교합접촉점의 분포 및 교합접촉면적을 비교하여 교합진단 및 조정 술식에서 T-Scan 방법의 적용 시 고려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Angle I급 교합관계, 정상치열자 한 사람의 구강을 대상으로 부가중합형 실리콘인상재를 이용하여 상하악치열궁을 10회 인상채득하였으며, 10쌍의 초경석고 모형을 제작하였다. 자체제작한 하중장치에 모형을 자석과 경석고를 이용하여 부착한 후 최대감합위와 최대교합력을 재현하기 위해 78.9kg의 하중을 가하였다. T-Scan 측정 시에는 상하악 모형과 T-Scan 센서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2번 반복 측정하였다. Add Picture의 경우 상하악모형을 동일한 하중을 가하여 최대감합위에서 폴리이써 교합인기재를 이용하여 교합을 인기하였다. 교합접촉 양상은 접촉점 수와 총 교합면적에 대한 접촉면적 백분율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T-Scan 방법은 포토샵 프로그램 상에서 픽셀수를 계산하여 색상에 따른 면적을, Add picture 방법은 빛 투과 정도에 따라 인상재 두께를 $0{\sim}10{\mu}m$, $0{\sim}30{\mu}m$, $0{\sim}60{\mu}m$의 3가지로 나누고, 이에 따른 면적을 실측하여 계산하였다. 총 교합면면적은 접촉면을 표시한 모형의 촬영상에서 픽셀수를 계산하여 함께 촬영된 격자를 기준으로 제곱미터값으로 변환하였다.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통계분석하였다. T-Scan 방법에서 분홍색상 및 붉은 색상으로 표시된 면적의 일부가 Add picture 방법에서 $0{\sim}10{\mu}m$, $0{\sim}30{\mu}m$, $0{\sim}60{\mu}m$의 상하악 치아 간 거리에 해당하는 면적에 상응하였다. 교합접촉점 분포 비교 시 T-Scan 방법과 Add picture 방법은 유사하였다. 교합접촉면적 비교 시 T-Scan 방법에서 확대된 결과가 관찰되었으며, 전체교합면적에 대한 접촉면적 백분율 비교에서도 T-Scan 방법과 Add picture 방법의 백분율값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T-Scan에서 분홍색상 및 붉은 색상으로 표시된 부위의 면적값은 Add picture의 $0{\sim}10{\mu}m$, $0{\sim}30{\mu}m$ 부위의 면적값보다 크고(P<.05), $0{\sim}60{\mu}m$ 부위와는 유사한 값을 보였다(P>.05). T-Scan에서의 교합접촉상은 실제보다 확대되어 나타났으며, 따라서 교합접촉에 대한 진단 및 조정 술식에서 보조적인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이 추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