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bor Tranquility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1초

수치시뮬레이션에 의한 방파제의 시공계획 (The Construction Plan of Breakwater by the Numerical Simulation)

  • 김규한;윤성진;김영복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6년 창립20주년기념 정기학술대회 및 국제워크샵
    • /
    • pp.449-452
    • /
    • 2006
  • The main external force of the harbor in east coast is wave. So, wave is the important cause of wave induced current and sediment transport due to wave in planning harbor structures. Therefore, it must be considered not only to secure the harbor tranquility but also the sediment transport due to wave induced current in planning the harbor. In this study, we studied on the influences of construction procedure on harbor tranquility and siltation using annual coastal line data and bathymetry data near breakwater. And it suggests that the construction procedure for the harbor tranquility and the best way for the decrease of harbor siltation.

  • PDF

단주기 불규칙파에 의한 금진항 정온도 개선대책 연구 (Research on improvement measures of Harbor tranquility in Geumjin Fishing Port Excited by Incident Short Random Waves)

  • 장성열;문용호;박원경
    • 한국연안방재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6
    • /
    • 2017
  • Most of the short period waves are blocked by the breakwaters when the short period irregular waves propagate into the ports. However, nonlinear irregular wave numerical experiments show that the long waves generated by the nonlinear interaction is predominant in the port. Seiches phenomenon in Geumjin Fishing Port is very similar to 60 and 300 second harbor oscillations. By arranging the inner breakwater of the proper length in the inside of the por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seiches, as well as the short-period wave, and significantly improve the harbor tranquility. In the case of rectangular basin type such as the Geumjin Fishing Port, the multi-directional irregular wave numerical model should be used for the investigation and countermeasures for the harbor tranquility.

Analysis of Harbor Tranquility due to Port Expansion

  • Moon, SeungHyo;Lee, JoongWoo;Kwon, SeongMin;Song, HyunWoo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320-327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port expansion plan for the fishery port at the east coast of Korea, in accordance with permission conditions for coastal ports such as a limit on the cargo volume and passenger demand for the coastal tourism belt formation. The site was chosen as a municipal coastal port attracting the new ocean industry and building waterfront zone as a hub of new marine tourism. Two different numerical models (Swan and Bouss 2D) were used. Before applying to the target sea area, some numerical tests were conducted for the variation according to Bouss-2D's strong/weak and nonlinear technique compared to the irregular diffraction of semi-infinite breakwater with a theoretical solution.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strong nonlinearity with breaking waves and it was necessary to experiment with a strong nonlinear analysis technique for the actual site. Two numerical models were applied to the fishery port site and the tranquility of some alternatives were analyzed. The numerical results show the most suitable plan was ALT-1, with satisfied harbor tranquility and reasonable economic sense. The extension of the east breakwater and enlarged turning basin of the F-Land plan have brought generally more stable harbor tranquility than the ALT-1. The resul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port expansion plan in the future.

Marina Development Impact on the Tranquility of Small Coast Harbor

  • Lee, Dong-Hyun;Lee, Joong-Woo;An, Hyo-Jae;Kim, Kang-Mi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73-681
    • /
    • 2014
  • Due to the increased demand for safety and security requirements on the port infrastructure, the harbor tranquility is one of the important parameter in the mooring basin of harbor. It relates keenly to berthing/unberthing and cargo handling works but also it is an important indicator to get the minimum water area as the safe refuge. Hupo harbor is a national coastal harbor located in east coast of Korea and a development plan for a new marina near the entrance is being carried out including berth layouts, breakwater extensions, 300m marina berths, dredging and land reclamation works. The new plan will impact on calmness of the existing por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in complex the variation of wave height and direction caused by wave refraction, diffraction, shoaling and reflection from the incident waves from outside the harbor. In order to check the calmness inside a harbor, the numerical models are being used currently need fundamental review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results which depend on their respective features. In this study, hence, it was introduced the validity of numerical models by comparing the computational results with the hydraulic model experiment. The current investigations contribute to the existing development recommendations and provide further solutions for port planning.

항만정온도 추정방법 개선방안 검토 (Review of the Improvement of the Estimation Method of Harbor Tranquility)

  • 정원무;류경호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397-404
    • /
    • 2014
  • 우리나라의 항만정온도 검토 방법에는 이상 시 항내정온도 검토와 항만가동율 검토 등이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에 두 가지 방법을 모두 수행하고 있다. 전자에서는 정온도 기준을 합리적인 근거가 없는 항내파고 절대치로 판단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실효성에도 의문이 제기된다. 후자에서는 초과출현율 파 또는 장기간의 실측 및 역추산 자료의 파향-주기군을 사용하여 항만가동율을 산정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중 초과출현율 파의 사용은 정확도에 문제가 있으므로 장기간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재 적용되는 하역한계파고의 기준은 너무 단순하여 실제 상황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산항 신항에서 관측한 파고 실측자료를 사용하여 현행 항만정온도 및 항만가동율 검토방법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입증하였으며 실측자료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향후 우리나라 주요 항만 내 외에서 장기간의 실측 자료를 확보함으로써 개선된 항만정온도 기준을 마련하는데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방향 입사파의 쌍곡형 수치모형에 의한 포항신항내 항내정온도 분석 (Analysis of Harbor Tranquility in Pohang New Harbor Using a Hyperbolic Model with Multi-Directional Incoming Waves)

  • 정원무;이창훈;채장원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7-104
    • /
    • 1997
  • 포한신항내 2개 정점에서의 현장관측자료와 수치실험 결과를 비교·검증하여 쌍곡형 수치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단일 방향 규칙파를 입사파 조건으로 사용한 경우 정점 P2, P3에서 관측치와의 오차가 각각 약 12,26%로 제시되었으며, 다방향 성분파를 입사파 조건으로 사용한 경우 2개 정점에서의 오차가 각각 약 4,16%로 나타나 대략 9% 개선된 결과를 얻었다. 포항신항의 1994년의 평면 배치와 제4 투기장 완공후의 평면 배치에 대하여 다방향 성분파를 입사파 조건으로 하여 항내정온도의 개선 상태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제4 투기장계획에서 연장된 200m의 북방파제만으로는 제7 부두에서 하역불능시간이 긴 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부유식 방파제의 반사-투과 경계조건을 적용한 항만 정온도의 해석 (Harbor Tranquility Analysis with the Reflection-Transmission Boundary Condition of Floating Breakwaters)

  • 전인식;최민호;심재설;오병철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6-85
    • /
    • 2002
  • 부유식 방파제는 고정식 방파제에 비하여 항 내·외 해수교환성은 우수한 반면, 항내 정은도가 다소 저하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설계초기단계에서 부유식 방파제의 여러 평면배치 대안에 대하여 항내 정온도를 적절히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시간의존완경사 방정식을 부유식 방파제 설치안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유식 방파제의 반사와 투과를 동시에 반영할 수 있는 일종의 반사-투과 경계조건을 정식화하였다. 본 경계조건의 성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이차원 및 삼차원 해석을 수행한 결과, 수치해석에 입력된 반사 및 투과율이 수치적으로 잘 구현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반사-투과 경계조건을 부유식 방파제가 설치되어 있는 가상적 항만에 적용하였으며, 본 수치해석이 부유식 방파제의 실해역 설치를 위한 실무에서도 충분히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예시하였다.

제주해역 항만시설물의 수리환경적 특성에 관한 연구 (The Hydro-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Port Facilities around the Sea of Cheju Island)

  • 정태욱;김종인;류청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10
    • /
    • 2000
  • In order to effective manage the construction, disaster prevention plan and the harbor tranquility control, meteorological and sea-state characteristics around Cheju Island have been analyzed. Using results and damage examples of the port facilities under severe sea conditions, a reasonable construction control plan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ea-state and winds was proposed. That is, in northern part of Cheju Island, the construction work is affected mainly by the winter storms, while the typhoon mainly affects the southern part port facilities during summer to Autumn. Considering their typical characteristics,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he main construction work should be carried out during April to July in the northern part, and it should be made during October to next July in the southern part of the island. A permeable TTP mounded breakwater was constructed to protect severe waves as a temporal structure under the long-term development plan in Sogipo port.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was discussed using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 transmission coefficient $K_{t}$ is over 20% of incident waves, which cause many problems in the cargo handling in relation to harbor tranquility. In conclusion, this kind of permeable structure can be used only as a temporal structure for the disaster prevention under the construction process. It causes many problems in harbor tranquility if it is used as a permanent harbor structures.s.

  • PDF

어항의 항내 정온도 평가사례 및 개선방안 (Improvement of the Estimation Method for Harbor Tranquility of Fishery Harbor)

  • 탁대호;김귀영;전경암;이대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37-644
    • /
    • 2015
  • 항내 정온도 평가는 이상파 및 평상파 조건에 대해 수행이 되어야 하나, 어항개발 시 이루어지는 평가는 이상파에 대해서만 수행되고 있다. 축산항, 교암항, 궁평항 및 시산항에 대한 사례를 통해 해역이용협의 시 정온도 평가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였다. 대상항 모두 이상파에 대한 항내 정온도를 평가를 수행하였으나, 목표 정온도를 만족하지 못하였다. 평상파에 대한 정온도는 가동률로 평가하며, 가동률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파랑관측이 필요하나 수행되지 않고 있었다. 가동률에 대한 평가는 계획의 적정성과 관련 있는 평가항목이기 때문에 개발로 인한 해양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계획의 수립과 어업인들의 정주환경 개선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행이 필요하다. 정온도 평가를 위해서는, 정온도 평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장기간의 파랑관측이 수행되어야 하며, 평상파 및 이상파에 대한 평가절차를 명확히 해야 한다. 그리고 실효적인 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조석정보와 같은 파랑정보의 제공 및 정온도를 평가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의 수립이 필요하다.

다원주 파일군 구조물에 의한 항내 정온도 향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arbor tranquility by Multi-cylinder piles Structure)

  • 이상화;장은철;정동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6-72
    • /
    • 2007
  • 연안역의 파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경제적으로 유리한 구조물로서 다원주 파일군을 제안하고, 이 구조물의 수리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3차원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콘크리트를 사용한 기존의 파제제와 아크릴로 제작된 다원주 파일 형태를 이용한 구조물을 동일 평면배치 상에서 파고분석을 통해 파랑제어 및 항내 정온도 향상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동일 평면배치 상에서의 항내 정온도 효과는 파제제 설치 > 교차 배열 다원주 파일군 설치 > 정방형 배열 다원주 파일군 설치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