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arbor tranquility by Multi-cylinder piles Structure

다원주 파일군 구조물에 의한 항내 정온도 향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In order to control waves in coastal zones effectively, multi-cylinder piles as the economical structures are suggested. A three dimensional hydraulic model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An experimental study was carried out research the effect of wave control and harbor tranquility through the wave height analysis for the existing concrete wave breaker and the structure with acrylic multi-cylinder piles type at the same location. In the results, the effective order of harbor tranquility is shown as the wave breaker > the staggered arrangement of multi-cylinder piles > the regular arrangement of multi-cylinder piles.

연안역의 파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경제적으로 유리한 구조물로서 다원주 파일군을 제안하고, 이 구조물의 수리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3차원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콘크리트를 사용한 기존의 파제제와 아크릴로 제작된 다원주 파일 형태를 이용한 구조물을 동일 평면배치 상에서 파고분석을 통해 파랑제어 및 항내 정온도 향상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동일 평면배치 상에서의 항내 정온도 효과는 파제제 설치 > 교차 배열 다원주 파일군 설치 > 정방형 배열 다원주 파일군 설치 순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해양수산부 (2001). 전국연안 침식방지 종합대책
  2. 부산지방해양수산청 (2005). 감천항 정온도 향상방안 검토용역 보고서, 7-26
  3. 이상화, 장은철 (2004). 다원주 주위의 유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I).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4(2-B), 131-136
  4. 박상우 (2004). 다원주 구조물에 작용하는 파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5. 정동화 (2005). 연안역 파랑구조물에 대한 실험적 연구. 석사학위 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6. Yoshimi Goda. (1996). 항만구조물의 내파설계. 구미서관, 33-37
  7. Chakrabarti, S.K. (1987). Hydrodynamics of offshore structure. Computational Mechanics Publications
  8. Arved, J. Raudkivi. (1996). Permeable pile groins. J. Waterway. Port.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122(6), 267-272 https://doi.org/10.1061/(ASCE)0733-950X(1996)122:6(267)
  9. Sumer, B.M. and Fredsoe, J. (1998). Wave scour around group of vertical piles. J. Waterway. Port.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124(5), 248-256 https://doi.org/10.1061/(ASCE)0733-950X(1998)124:5(248)
  10. Williamson, C.H.K. (1985). Sinusoidal flow relative to circular cylinders. J. Fluid Mech. 155, 141-174 https://doi.org/10.1017/S0022112085001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