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woo superovulation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7초

한우에서 신체충실지수(BCS)가 다배란 처리 시 체내 수정란 생산과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dy Condition Score (BCS) on In Vivo Embryo Production and Pregnancy Rate Following Superovulation in Hanwoo)

  • 염규태;박해금;김남태;김성우;김현;도윤정;김영신;박수봉;김재환;조상래;조재현;고응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2
    • /
    • 2013
  • Body condition score (BCS) is a useful management tool for distinguishing differences in nutritional needs of cows in the herd. Although it is not always possible to quantify the nutrient content of the feed supplied to the donor cow, the nutritional status can be determined by the BC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in vivo embryo production, return to estrous of donor and pregnancy rate of recipients following BCS in Hanwoo superovulation. Sixty nine Hanwoo donor cows were flushed on day 7 of estrus cycle with same FSH and artificial insemination by the same technicians. Embryos were recovered on 7 days after the third insemination by flushing the uterus with Embryo Collection Medium.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efficiency of superovulation rates regardless of BCS ($${\leq_-}2.0$$, 2.5 to 3.0, and $${\geq_-}3.5$$). The mean number of total embryos was each $5.20{\pm}0.86$, $11.56{\pm}1.04$, and $6.23{\pm}1.07$. The mean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 from $${\leq_-}2.0$$, 2.5 to 3.0, and $${\geq_-}3.5$$ of BCS was $2.60{\pm}0.87$, $7.94{\pm}0.89$, and $4.75{\pm}1.32$, respectively (p<0.05). Return to estrous regardless of donor BCS was no difference. The pregnancy rates of recipient were BCS $${\leq_-}2.0$$ 11.76%, 2.5 to 3.0 40.79%, and $${\geq_-}3.5$$ 11.11%, following transfer of fresh embryos produced in vivo,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f the Hanwoo with BCS 2.5 to 3.3 are used for donor and recipient, the embryo production and the conception rate will be greater.

한우 공란우 과배란 처리와 혈액 내 요소태 질소 수준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uperovulation Treatment and Blood Urea Nitrogen(BUN) Concentration in Hanwoo Donors)

  • 손준규;최창용;조상래;연성흠;최선호;김남태;정진우;김성재;정연섭;복난희;유용희;손동수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4권3호
    • /
    • pp.201-205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superovulation treatment and to relate concentrations of blood urea nitrogen(BUN) in Hanwoo donors. Thirty six, at random stages of the estrous cycle, received a CIDR. Four days later, the animals were superovulated with a total of 28AU FSH (Antorin, 2AU=1 ml) administered twice daily in constant doses over 4 days. On the 3th administration of FSH, CIDR was withdrawn and 25 mg $PGF_2a$ was administered. Cow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twice after estrous detection at 12 hr intervals. The cows received $100\;{\mu}g$ GnRH at the time of 1st insemination. Embryos were recovered 7 or 8 days after the 1st insemination. Cows with BUN <10, 11~18 and ${\geq}$19 mg/dl had return of estrus of 34.6, 30.5 and 30.4 days respectively. Return of estrus after superovulation treatment was not significantly lower for cows with blood urea nitrogen (BUN) above 10 mg/dl than for cows with BUN below 10 mg/dl. Cows with BUN <10, 11~18 and ${\geq}$19 mg/dl had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of $3.2{\pm}1.2$, $5.4{\pm}1.9$ and $4.1{\pm}2.1$ respectively.

한우의 생식세포 보존에 관한 연구 II. PEG 30% FSH 투여가 한우의 체내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Preservation of Germ Cells in Hanwoo II. Effects of In Vivo Embryos Production by PEG 30% FSH in Hanwoo)

  • 이명식;박정준;전기준;정영훈;우제석;박수봉;임석기;연성흠;손동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1-156
    • /
    • 2003
  • 한우의 수정란을 보존하기 위하여 고급육계통과 다유계통의 공란우를 선발하여 과배란처리에 따른 황체의 반응, 황체수에 대한 채란된 수정란의 수 그리고 채란 수정란수에 대한 이식가능한 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다유계통의 공란우는 이유시 체중에 대한 육종가 상위 20%이내, 고급육 계통의 공란우는 육질에 대한 육종가 상위 20%이내의 종빈우를 선발하였다. 과배란처리 방법은 발정후 11일차에 PEG 30% FSH를 견갑부에 피하주사로 1회 투여하고 13일차에 PGF$_2$a 25mg을 투여하였으며 15일차와 16일차에 각각 2회씩 인공수정하였고 23일차에 채란하였다. 과배란처리에 따른 황체의 반응은 좌측난소가 47.1% (242/513), 우측난소가 52.8%(271/513)로써 우측의 반응이 좋게 나타났고 황체의 반응과 비교하여 채란된 수정란의 회수율은 79.9%(410/513)로 나타났다. 회수된 수정란 중에서 이식이 가능한 수정란은 86.5%(355/410)이었고 수정란의 발달단계에 있어서 상실배는 61.6%(219/355), 배반포는 38.3%(136/355)로 나타났으며 두당 이식가능한 생산수는 6.4개였다.

한우의 반복 과배란 및 산차가 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tiple Superovulation and Parity on Embryo Production in Hanwoo)

  • 최선호;류일선;손동수;조상래;한만희;김현종;최창용;김영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5-190
    • /
    • 2005
  • 본 연구는 소에 있어서 다량의 수정란을 생산하여, 고능력의 유전인자를 조기에 확산할 수 있도록, 한우 공란우의 반복 과배란을 유도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수정란 생산을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우 경산우 및 미경산우를 4회 반복적으로 과배란 처리하였을 때, 수정란 채란이 가능한 공란우는 $85.7\%,\;90.5\%,\;62.5\%,\; 100\%$였으며, 3회 처리시 다소 낮아, 약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2. 한우 경산우 및 미경산우를 4회 반복적으로 과배란 처리하였을 때, 수정란 회수는 각각 9.2개, 9.9개, 7.0개, 10.7개였으며, 이식 가능 수정란은 3.7개, 3.4개, 3.4개, 5.7개였다. 반복과배란 처리에 의한 이식 가능 수정란의 회수 율은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3. 한우 공란우의 산차에 따른 수정란의 회수는 미경산우 6.0개였으며, $1\~4$산까지는 각각 8.7개, 11.4개, 9.9개, 7.6개였으며, 이식 가능 수정 란은 2.5개, 3.0개, 5.3개, 3.0개, 3.4개로 나타났으며, 미경산 및 1산차에서 약간 낮은 수준이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한우 공란우는 경산우 및 미경산 우를 4회 연속 과배란 처리하여 수정란을 채취하여도 적정량의 수정란을 생산할 수 있었으며, 산차에 의한 수정란회수율에 있어서도 적정량의 수정란을 회수할 수 있으므로, 고능력의 한우 공란우를 알맞은 번식 및 사양관리를 통하여 유전능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어, 수정란 이식 기술의 산업화를 안정적으로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수 한우의 수정란 생산 및 이식 (Embryo Production in Superior Hanwoo Donors and Embryo Transfer)

  • 손동수;한만희;최창용;최선호;조상래;김현종;류일선;최성복;이승수;김영근;김삼기;김상희;신권희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7-156
    • /
    • 2006
  • 본 연구는 MOET 기법에 의해 우수한 한우로부터 다수의 수정란을 회수하여 농가의 소에 이식하므로서 우수한 유전 자원을 확산시키고자 실시하였다. 80두의 우수 한우 공란우를 선발하여, 발정 확인 후 황체기에 성선 자극 호르몬($Folltropin^(R)-V$)을 투여하는 기존의 과배란 처리법과 임의의 발정주기에 CIDR를 삽입하고 성선 자극 호르몬을 투여하는 새로운 과배란 처리법에 의한 수정란 생산 비교와 CIDR 삽입한 한우 공란우에서 성선 자극 호르몬 ($Antorin^(R)R10$)의 투여 용량의 차이 (36 mg vs 28 mg) 에 따른 수정란 생산 성적을 비교하였다. 한편, 우수 공란우로부터 채란된 신선 수정란 또는 동결-융해 수정란을 농가 수란우 226두에 이식하였으며, 이식 결과 수태율에 대한 수정란 상태(신선 vs 동결-융해), 년도, 이식 시술자, 계절, 농가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한우 공란우에서 기존의 과배란 처리 방법에 비해서 발정의 확인없이 CIDR를 삽입 후 과배란 처리 방법이 보다 많은 총회수 난자(6.5 vs. 5.8)와 이식 가능 수정란(3.9 vs.3.2)을 회수하였다(p<0.01). CIDR 처리 한우 공란우에서 성선 자극 호르몬($Antorin^(R)R10$) 용량을 36 mg으로 처리시가 28 mg 처리시 보다 많은 이식 가능 수정란(8.3 vs. 5.4)을 회수하였다(p<0.05). 수정란 이식후 수태율은 수정란의 상태(신선 43.9% vs 동결-융해 23.1%) 및 이식 시술자 (53.9 vs. $0{\sim}16.7%$)가 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의 결과는 CIDR를 이용한 과배란 처리 방법은 우수한 한우 수정란의 생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수정란의 농가 수란우에 대한 이식은 동결-융해 수정란의 수태율 증진 및 이식 시술자의 기술이 향상될 때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우에서 반복 과배란처리에 의한 수정란 채란 가능성 : 사례보고 (Possibility of Embryo Collection by Repeatable Superovulation in Hanwoo : Case Report)

  • 공일근;정세환;손병훈;이정우;정수룡;오인석;정경일;황금영;배인휴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
    • /
    • 2002
  • 본 연구는 고능력 한우 공란우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반복 과배란처리가 수정란회수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공란우의 선발은 DNA marker에 의한 고급육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공란우는 Folltropin-V와 PG$F_2$$\alpha$를 병용 처리하여 과배란을 유도하였고, FSH 처리 6회째 PG$F_2$$\alpha$를 처리하여 발정을 유도하였다. 발정유도된 공란우의 수정은 12시간 간격으로 3회, 1회당 2 straw식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수정 후 7~8일째 비외과적인 관류방법으로 채란하여 이식 가능란 또는 비정상란 등으로 구분하였다. 이식 가능한 수정란은 발정동기화된 수란우에 수정란이식을 실시 하였다. 고능력 한우 공란우로부터 반복 과배란처리에 의한 체내수정란 회수는 1차부터 5차에 걸쳐 각각 14, 4, 10, 6, 9개(계 43개)의 수정란이 회수되었고 이식 가능 수정란은 각각 7, 4, 10, 3, 6개(계 30개, 평균 6.0$\pm$2.7개)가 회수되었다. 채란된 수정란의 이식 후 수태율은 총 24개의 수정란을 17두에 이식하여 10두가 임신됨으로써 58.8%의 수태율을 얻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급육 한우 또는 고능력 젖소 공란우를 이용한 반복적인 과배란 처리에 의한 수정란의 태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고능력 공란우의 이용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면 수정란이식의 산업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 of Different Feeding Ratios of Whole Crop Barley Silage on the Embryo Production in Hanwoo Donors

  • Son, Dong-Soo;Choe, Chang-Yong;Cho, Sang-Rae;Kim, Nam-Tae;Kim, Hyun-Jong;Yeon, Seong-Heum;Ryu, Il-Sun;Son, Jun-Kyu;Choi, Sun-Ho;Kim, Ill-Hwa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65-26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fferent feeding ratios of whole crop barley silage on the embryo production in Hanwoo donors. All donors were basically fed 2.5 kg concentrate daily. Dono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different feeding of forage; hay 70% and rice straw 30% (control, n = 21), whole crop barley silage 80% and rice straw 20% (T1, n = 25), and whole crop barley silage 60% and rice straw 40% (T2, n = 23) fed based on TDN 6.70/ BW 500 kg. All Hanwoo donors received a CIDR together with injections of 1 mg estradiol benzoate and 50 mg progesterone ($P_4$, Day 0). Four days later, they were superovulated with 28 mg FSH twice daily IM in decreasing doses over 4 days. Then donors received 2 doses of $PGF_2{\alpha}$ (25 and 15 mg) with the 5th and 6th injections of FSH on Day 6. CIDR were withdrawn at the 6th FSH injection and the donors received $100\;{\mu}g$ GnRH 36 h after the second $PGF_2{\alpha}$ injection. The donor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twice, at 8 and 24 h after GnRH, and embryos were recovered 7 or 8 days after the 1st insemination. The flush rate of the donors following positive superovulation responses did not differ among groups (76.2~96.0%, p>0.05). The number of corpus luteum (CL) at embryo recovery also did not differ among groups (10.6~14.0, p>0.05). Furthermore, the mean numbers of total ova (9.4, 10.5 and 12.0) and transferable embryos (5.3, 12.0 and 6.5)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the control, T1 and T2 groups, respectively (p>0.05). However, mean concentrations of serum $P_4$ of the T1 (64.2 ng/ml) and T2 groups (55.7 ng/ml)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43.3 ng/ml, p<0.01), while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the control (105.8 mg/dl) and T2 groups ($96.9\;{\pm}\;mg/dl$)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T1 group (121.1 mg/dl, p<0.05). Conclusively, whole crop barley silage can be fed a good substitute for hay forage for Hanwoo donors. Furthermore the ratios of whole crop barley silage 60% and rice straw 40% might be more worthful for embryo production.

FSH 투여 용량과 방법Ul 따른 한우의 과배란 처리 효율 (Superovulation Response by FSH Treatments in Hanwoo)

  • 최수호;박용수;손우진;이준희;노규진;김주헌;최상용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1권3호
    • /
    • pp.199-205
    • /
    • 2007
  • 본 실험은 polyethylene glycol (PEG)에 용해시킨 FSH의 투여 방법과 용량에 따른 체내 수정란 생산 효율을 난소 반응과 회수되는 수정란의 수량과 품질, 수정란 이식 효율을 조사하였다. 공란우 88마리를 네 군으로 구분하였다. 처리 1군은 50mg의 FSH를 하루 2회 4일 동안 투여하였으며, 처리 2 및 3군은 30% PEG에 녹인 400mg과 200mg의 FSH용량을 1회 투여하였으며, 처리 4군은 CIDR로 처리 후 7일째에 30% PEG에 녹인 200mg의 FSH를 처리하였다. 과배란 처리 후 황체수에서는 처리 1, 2, 3 및 4군에서 각각 11.2, 18.5, 13.1 및 13.9개로서, 처리 2군에서 다른 처리군보다 유의적으로 (p<0.05) 높았다. 회수된 난자의 총 수에서 각 군의 결과는 8.5, 10.4, 8.7 및 7.9개였으며, 이식 가능한 수정란 수에서 각 군의 결과는 3.9, 4.3, 4.7 및 3.7개로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각 과배란 처리 방법에 따라 생산된 수정란의 이식 후 수태율 $36.0{\sim}50.0%)$ 및 채란시 혈중 progesterone 농도 또한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공란우에 스트레스를 적게 주며 과배란 처리 호르몬 비용과 노동력을 줄일 수 있으며, 여러 마리의 공란우를 발정 주기에 상관없이 한번에 과배란 처리를 할 수 있는 CIDR를 사용 후 7일째 200mg의 FSH를 1회 투여 방법이 축산 현장에서 적용하기에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Optimization of In Vivo Embryo Production and Pregnancy following Embryo Transfer in Hanwoo Cattle

  • Jeon, Soon-Hong;Jung, Kyoung Sub;Choi, Jae-Won;Heo, Young-Tae;Xu, Yong-Nan;Kim, Nam-Hyung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07-314
    • /
    • 2013
  • Embryos formed in vivo were collected from 171 donors housed in Chung Cheong Buk-Do Institute of Livestock and Veterinary Research of the Chungbuk community during the years 2009~2012. We evaluated annual embryo collection, effect of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controlled internal drug release (CIDR) and prostaglandin (PG) administration to the donor for superovulation and controlling the estrus cycle, seasonal effects of embryo collection and compared the number of embryos recovered as per the collection days and pregnancy rate. In all, 1,243 embryos were collected from 118 donors with an average of $7.31{\pm}5.35$ embryos per donor, out of which 69.4% were transferable. Dosages of FSH required for inducing superovulation in various donors were compared. Average number of embryos collected from donors administered with 30 AU of FSH ($7.13{\pm}5.74$ per dono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donors who were given an injection of 24 AU of FSH ($7.53{\pm}4.91$ per donor). However, the percentage of transferable embryos in the 30AU FSH-administered group (63.2 %, 449 of 711) was higher than that in the 24AU FSH-administered group (77.8%, 414 of 532). In the group of donors under a natural estrus cycle, the FSH dose administered did not influence the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produced ($7.49{\pm}6.25$ per donor for 30 AU of FSH vs $7.49{\pm}4.92$ per donor for 24 AU of FSH). However, in donors administered with CIDR and PG for controlling the estrus cycle, the FSH dose affected the average number of transferable embryos collected ($4.25{\pm}2.87$ per donor for 30 AU of FSH vs $8.50{\pm}6.36$ per donor for 24 AU of FSH). We collected embryos from donors 6, 7 or 8 days after artificial insemination (AI).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transferable embryos among those collected 8 days after A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among embryos collected 6 or 7 days after AI. Seasonal variations did not affect number of recovered embryos and pregnancy rates in natural estrus cycle and CIDR treatment groups (48.28% and 42.55%) but higher than pregnancy rate of frozen embryos (19.63%).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dministration of FSH beyond a threshold dose (at least 24 AU) has no beneficial effect on the production embryos and that collection of embryos 7~8 days after AI is optimal for embryo recovery. CIDR treatment induced superovulation in short term and had no influence on the natural estrus cycle. Finally, although good-quality embryos were transferred, freezing significantly reduced the pregnancy rates after transf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