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gover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45초

일반메밀과 쓴메밀의 식초 추출물의 알코올 대사 및 숙취개선 효능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Hangover-Releasing Agent Containing Vinegar Extract in Common Buckwheat and Tartary Buckwheat on Alcohol Metabolism and Hangover Improvement)

  • 김수정;손황배;박아현;이종남;박수형;남정환;김도연;장동칠;김율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35-445
    • /
    • 2023
  • 메밀은 루틴과 콜린을 많이 함유한 기능성 작물로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메밀과 쓴메밀 식초추출물의 알코올대사와 숙취해소에 대한 효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혈중 알코올 분해능, 혈액과 간조직의 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효소 측정, 간 조직의 Superoxide Dismutase (SOD)와 Catalase 농도를 분석하였다. 루틴 함량은 쓴메밀 종실에서 일반메밀 종실보다 55배 높았다. 콜린 함량은 쓴메밀 식초 추출물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알코올 분해능은 대조군에 비해 쓴메밀군에서 36.0%의 알코올 농도 감소 효과를 보여 유의한 알코올 분해 효과가 인정되었다.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대조군에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나, 일반메밀군은 120분, 쓴메밀군은 90분에 최고치 도달 후 감소하여 숙취 개선 효능이 확인되었다. 또한, 혈액과 간 조직의 ADH와 ALDH 효소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메밀처리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숙취해소 효과가 모두 인정되었으며, 일반메밀군보다 쓴메밀군에서 더 우수하였다. 간 조직의 SOD와 Catalase 활성도 일반메밀보다 쓴메밀군에서 각각23%, 37% 고도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일반메밀과 쓴메밀 식초추출물은 모두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루틴 함량이 높은 쓴메밀 '황금미소'는 일반메밀보다 숙취해소 소재로 개발하는데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Development of hangover settlement materials from natural products

  • Kwon, So-Yeon;Kim, Shung-Hee;Kwon, Hyun-Jung;Lee, Chang-Hwan;Sim, Kyu-Jung;Jung, Se-You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144-145
    • /
    • 2003
  • Hangover is associated with ethanol metabolism in body after the ingestion of an alcoholic beverage. Especially. The metabolism in liver is forcused by many researcher because, alcohol (approximately 90%) is metabolized by the liver. Ethanol metabolism in liver involves both liver alcohol dehydrogenase(ADH) which actalyzes the oxidation of ethanol to acetaldehyde, and liver aldehyde dehydrogenase(ALDH) which metabilized rapidly acetaldehyde, product of ethanol oxidation, to acetate. (omitted)

  • PDF

<블라인드 사이드>와 <행오버>의 서사에 대한 미국 관객의 생체반응에 의한 몰입도 연구 (Study on the Immersion by the American Audience's Biotic Response to Narrative of and )

  • 우정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652-660
    • /
    • 2018
  • 관객의 뇌파 반응을 중심으로 하여 생체 반응을 측정하여 그래프로 몰입 도를 표기하여 영화 서사와 갖는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서사를 이루는 중요 부분에서 몰입도 역시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사건의 예고, 핵심적인 사건들, 사건의 해결과 같은 3막 구조의 서사적 핵심 부분에서 몰입도가 역시 높게 나타난 것이다. 본 연구는 미국 영화 2편을 대상으로 하여 미국인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블라인드 사이드>와 <행오버>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관객 반응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두 편 영화의 반응에 있어 공통점은 1막 끝날 무렵 장소가 이동하는 지점에서 몰입도가 높게 나온 점이다. 새로운 장소로 이동하기 전까지 과정에서 관객(피험자)의 몰입도가 점차적으로 증대되다가 장소로 넘어가는 전환점에서 극대점을 보인것이다. 그 이후 2막에서 7개의 핵심 사건이 일어나는 데, 각 사건이 벌어진 시간대에서 관객의 몰입도가 고점을 이룬다. 결국 핵심 사건과 몰입 도는 깊은 상관성을 갖는 것이다. 사건이 해결되는 3막에서도 관객에게 감동을 주면서 주제 의식을 강하게 드러내는 부분에서 몰입도가 높게 나타난다. 어쩌면 이와 같은 이유들이 이들 영화가 상업적으로 성공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한 게 아닌지 모르겠다. 본 연구는 향후 많은 영화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여 과학적인 데이터를 얻을 것이고, 그 결과 영화 리서치 및 마케팅에 활용될 것이다.

비정상 잡음환경에서 음질향상을 위한 적응 임계 치 알고리즘 (Adaptive Threshold for Speech Enhancement in Nonstationary Noisy Environments)

  • 이수정;김순협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386-39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비정상 잡음환경에서 음질향상을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정상 잡음환경에서 음질향상을 위한 잡음제거 방법으로 주파수 차감법이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 잡음환경은 대 부분 비정상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제안한 방법은 다양한 잡음 과 비정상 환경에서 잘 동작 할 수 있도록 적응 임계 치를 위한 자동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한다. 특히, 자동제어 파라미터는 a posteriori SNR을 이용한 선형함수를 적용하여 잡음레벨의 증감에 따라 적응 임계 치를 제어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음질향상을 위해 Hangover (HO)을 이용한 주파수 차감법과 결합한다. 알고리즘의 성능은 다양한 잡음환경에서 ITU-T P.835 signal distortion (SIG)와 segment signal to-noise ratio (SNR)로 평가하여 (HO)을 이용한 음성검출과 minimum statistics (MS) 방법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무 에탄올 추출물의 in vitro 생리활성 분석 (In vitro Biological Activity Assay of Ethanol Extract of Radish)

  • 정민숙;이건순;채희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67-71
    • /
    • 2004
  • 무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기능, 숙취해소, 항균활성 및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Tyrosinase inhibition assay법을 이용하여 미백활법을 측정한 결과 무 줄기와 무 뿌리 추출물의 $IC_{50}$(50% inhibitory concentration)은 각각 0.9 mg/ml와 2.1 mg/ml를 나타냈다. 무뿌리 추출물보다 무줄기 추출물이 2.5배 정도 높은 tyrosinase의 저해율을 보였지만, 무의 품종별로는 별다른 활성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숙취해소 활성의 분석법으로는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assay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ethanol을 분해시키는데 필요한 효소인 alcohol dehydrogenase를 150% 활성화시키는 무줄기와 무뿌리 추출물의 농도가 각각 2.5 mg/ml와 8 mg/ml로 나타났다. 항산화력의 직접적인 지표로 대표적으로 분석되는 항목인 TBARS법에 의한 TBA 값을 천연 항산화제와 비교한 결과, 무줄기 추출물과 무뿌리 추출물(1%)은 ${\alpha}-tochoperol$(2.2%)의 43-61% 수준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생리활성 분석을 통하여 무를 이용한 숙취해소 및 항암 기능식품 개발, 미백 기능 소재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랫드에서 한방 혼합 추출물이 Ethanol의 약물동태학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ed Extract for Elimination of Hangover on Ethanol Pharmacokinetics in Rats)

  • 전태원;이은실;이영선;한옥경;김현영;김광중;김효정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547-552
    • /
    • 2002
  • To investigate an efficacy of mixed extract with Ginseng radix, Puerariae lobata, Puerariae radix, Rubi pructus, Gomi pructus, Hoelen, Dried orange peel and Parvum comus cervi etc., on the hangover elimination, 12 hr-fasted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50-200 g were given mixed extract (5 mL/kg, p.o.) and administered ethanol at a dose of 3 g/kg bw (25% in distilled water) orally 30 min postdosing. Blood was collected from caudal artery at 0.25, 0.5, 1, 2, 4, 6, 8, 10, and 12hr and then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24hr after the ethanol treatment. In these experiments, liver function indices, such as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showed unaltered results in all treated groups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The pharmacokinetics of ethanol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mixed extract were also evaluated. From 0 min to 12hr, the administration of mixed extract showed 14% reduction of the area under the serum concentrations-versus-time curves (AUC)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activities of alcohol dehydrogenase and aldehyde dehydrogenase measured at 24hr postdosing were also not altered by the administration of mixed extrac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se studies demonstrate that oral administration of mixed extract, prepared by traditional prescription, decreases the ethanol concentration in serum and reduces AUC, suggesting that the mixed extract is effective for elimination of ethanol-induced hangover.

헛개과병추출물과 인삼열매추출물의 혼합 음료 섭취가 숙취해소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ixed supplementation on Hoveni dulcis Thunb extracts and Ginseng-Berry extracts on hangover curves)

  • 박노환;이정옥;조인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359-367
    • /
    • 2019
  • 본 연구는 알코올 분해 및 간 손상 보호, 피로회복, 체력증진 등의 효과가 있는 헛개과병추출물과 인삼열매 복합추출물의 섭취가 숙취해소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20세 이상 자발적으로 참여한 64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배정과 반복측정설계방법을 이용하여 블록무작위배정을 통해 집단 별 인원을 구성하였다. 집단 구성은 헛개과 병추출물+인삼열매 복합추출물(ARI 1000) 투여군, 헛개과병추출물투여군, 인삼열매추출물 투여군, 위약군을 각각 16명을 구성하였다. 호흡기알콜농도 변화결과 ARI 1000 투여군이 음주 1시간에서 헛개과병추출물투여군, 인삼열매추출물 투여군, 위약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음주 2시간, 3시간에는 위약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혈중 알코올 농도결과 음주 2시간, 3시간 후에 ARI 1000 투여군이 헛개과병추출물투여군, 인삼열매추출물 투여군, 위약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적으로 음주 전 ARI 1000 섭취는 호흡기와 혈중 알코올 농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켜 숙취효과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당귀추출물 전처치가 Rat의 혈중 알코올 및 알데히드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Extract of Angelica gigas on the Serum Alcoh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 in Rats)

  • 송재철;박정미;김상우;;정우상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4-180
    • /
    • 2002
  • Objectives : Our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whether the extract of Angelica gigas can lower serum alcohol and acetaldehyde concentration in drunken rats. Methods : We divided Sprague-Dawley male rats into 3 groups of a Vehicle control, Positive control and Angelica gigas group. Serum alcohol and acetaldehyde levels were checked at baseline, 0.5, 1, 2 and 4 hours after drinking ethanol.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to assess the difference of the serum concentrations between the Angelica gigas induced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ults : Angelica gigas lowered the serum acetaldehyde concentration. However, it did not lower alcohol concentration effect. Conclusions : We assume that Angelica gigas could be effective for alcohol induced hangov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