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lophyte distribution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7초

Relationship between halophyte distribution and soil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 Lee, Seung Ho;Lee, Jeom-Sook;Kim, Jong-Wo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1호
    • /
    • pp.12-19
    • /
    • 2018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environmental factors and halophyte distribution in the west coast of South Korea. Soils of our study site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salt marsh and estuary marsh. Results: Salinity was higher in the salt marsh group than that in the estuary marsh group. However, total nitrogen, silt, and clay contents were higher in the estuary marsh group than those in the salt marsh group. Although altitude had a wider range in the salt marsh group, the mean altitude was higher in the estuary marsh group than that in the salt marsh group. Annual halophytes of seed propagation species were distributed parallel to the coast line on salt marsh. Higher coverage of vegetation was found in the area closer to the coast line. Plant density was higher near dead parental plants in estuary marsh, showing less difference in area that was more distant from the coast line. Conclusions: Results of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for vegetation distribution and sediment environmental factors and germination analysis in the coast line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halophyte distribution. Therefore, they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coastal plant movement due to sea level rise.

한반도 하구에 분포하는 식생(염생식물 군락)과 환경요인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Vegetation (Halophyte Communites) Distribu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Estuaries in Korea)

  • 성낙필;문정숙;김종학
    • 생태와환경
    • /
    • 제55권1호
    • /
    • pp.19-34
    • /
    • 2022
  • 본 연구는 환경부에서 수행 중인 하구 수생태계 현황 조사 및 건강성 평가 연구용역의 일부이며, 2016년~2018년까지 수행된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총 325개의 하구 중 식생분포가 확인되지 않은 25개 지점을 제외한 300개 하구에서 총 187개의 식물군락 유형이 조사되었으며 이 중 염생식물 군락은 53개로 28.3%였다. 하구순환 유형에 따라서는 열린하구에서 41개, 닫힌하구에서 26개 염생식물 군락이 확인되었다. 분포하는 식생과 환경요인 간의 정준상관분석(CCA) 결과 수질요인에서는 염도(전기전도도) 및 T-N, T-P 농도가 상관성이 강했으며 하상재료 요인 중에서는 Silt, Sand, Pebble 구성비율이 가장 강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할 때 한반도 해안 하구에 분포하는 염생식물 군락의 분포 특성은 해역, 하구순환 유형, 염도에 대한 내성, 하상재료 분포 비율 등에 따라 각 우점종의 입지가 차별화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Distribution, Characterization, and Diversity of the Endophytic Fungal Communities on Korean Seacoasts Showing Contrasting Geographic Conditions

  • You, Young-Hyun;Park, Jong Myong;Seo, Yeong Gyo;Lee, Woong;Kang, Myung-Suk;Kim, Jong-Guk
    • Mycobiology
    • /
    • 제45권3호
    • /
    • pp.150-159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endophytic fungi in 3 coastal environments with different climatic, geograph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the volcanic islands of Dokdo, the East Sea, and the West Sea of Korea. The isolated fungal endophytes were characterized and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host environment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common native coastal halophyte communities from three regions.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he fungal endophytes showed clear differences among the sampling sites and halophyte host species. Isolates were also characterized by growth at specific salinities or pH gradients, with reference to previous geographical, geological, and climate studies. Unlike the East Sea or West Sea isolates, some Dokdo Islands isolates showed endurable traits with growth in high salinity, and many showed growth under extremely alkaline conditions. A smaller proportion of West Sea coast isolates tolerate compared to the East Sea or Dokdo Islands isola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se unique fungal biota developed through a close interaction between the host halophyte and their environment, even within the same halophyte speci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application of specific fungal resources for restoring sand dunes and salt-damaged agricultural lands and industrialization of halophytic plants.

우리나라 중서부 해안 경기만 간척지에서 식생 분포에 대한 토양 염도의 영향 (Soil Salinity Influencing Plant Stands on the Reclaimed Tidal Flats of Kyonggi-Bay in the Midwestern Coast of Korea)

  • 김은규;천소을;주영규;정영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80-288
    • /
    • 2009
  • 간척지에서 식생의 공간적 분포 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내기 위하여, 중서부 해안 경기만의 신간척지와 간척연대가 다른 간척지 세 곳, 그리고 이들의 인근 비간척 간석지에서 식생 분포를 조사하였다. 토양 염도의 지표로 포화침출액의 전기전도도를 조사하였다. 토양염도에 따라 식생 분포가 확연이 달랐다. 토양 염도에 따라 각 식생의 최적 서식지가 존재하며, 이는 저염도 지점에는 중성 식물이, 고염도 지점에는 염생식물이 분포함을 의미하고 있다. 서식 식물 군집에 따른 토양 염도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즉, 토양 염도는 식생 위조지>선구 염생식물지> 혼합선구염생식물지> 선구염생식물지> 선구염생식물 및 통성 염생식물 혼합지> 혼합 통성염색식물지> 통성염생식물 및 중성식물 혼합지>혼합 중성식물지의 순이었다. 이 결과는 토양 염도의 공간적 토양 구배에 따라 식물 종의 분포가 이루어짐을 보여 주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식물종의 분포에 따라 토양 염도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토양 염도와 식물종의 분포양상 관계는 여러 간척지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식물 군락 밀집도가 간척 이후 식생이 어떤 방향으로 천이되는지의 지표를 제시하여주고 있다.

한국 중부 서해안 경기만 일대 3개 간척지의 토양 염농도와 식생의 연속분포 (Soil Salinity and Continuum Distribution of Vegetation on the Three Reclaimed Tidal Flats of Kyonggi-Bay in the Mid-West Coast of Korea)

  • 김은규;천소을;주영규;정영상;정형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83-93
    • /
    • 2008
  • 간척지에서 식생의 분포에 대한 평가는 토양관리 및 환경적 연구를 위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 중부 서해안 경기만 내의 3개 간척지에서 식생의 분포와 토양 염농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식생이 연속분포를 보이는 지점에서 토양 염농도를 측정하고 출현식물종을 분류하여 연속분포의 특성을 기술하였다. 간척지 내에 나타나는 식생의 공간변이는 부분적으로 이루어지지만 각각의 공간변이를 토양 염농도를 기준으로 연결한 결과 토양 염농도 구배와 내염성 식물종의 분포가 일치하는 연속분포(continuum distribution)를 보여, 토양 염농도가 높은 곳은 내염성 식물종이, 낮은 곳은 비내염성 식물종이 분포하였다. 연속분포는 간척 경과 년 수가 오래된 곳에서 유형이 다양하고 명확하게 구분되나, 간척 초기 지역에서는 연속분포 현상이 뚜렷하지 않았다. 연속분포 유형은 순차적 유형과 비순차적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순차적 유형은 토양 염농도가 높은 곳을 기점으로 할 경우 토양 염농도가 연속적으로 낮아지는 방향으로 이어지며 식물종도 이에 따라 선구종 염생식물(pioneer halophyte)에서 저염생식물(facultative halophyte), 중성식물(glycophyte)의 순으로 변화하였다. 비순차적 유형은 비연속적 토양 염농도의 변화에 의해 형성되며, 식생의 분포도 단계적 변화를 보이지 않고 비정형적이다. 간척 경과 년 수가 오래된 지역에서는 토양 염농도가 높은 식생 고사지역이 있고 식생 비분포지와 함께 이 지점을 기점으로 식생의 연속분포가 형성되었다.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Spatial Distribution of Halophytes in Hampyeong Bay, Korea

  • Han, Sang-Hak;Choi, Chulhyun;Lee, Jeom-Sook;Lee, Sanghun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4호
    • /
    • pp.219-228
    • /
    • 2021
  • During our observations of changes in halophyte distribution in Hampyeong Bay over a period of five years, we found that the distribution area showed a maintenance for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a tendency of gradual increase for Zoysia sinica community, gradual decrease for Suaeda maritima community, and disappearance for Limonium tetragonum community during the studied period. The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stably settled in areas adjacent to land and appeared not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physical factors (such as tides and waves) or disturbances caused by biological factors (such as interspecific competition). Among studied species, germination time was shown to be the fastest for Suaeda maritima. In addition, this species showed certain characteristics that allowed it to settle primarily in new habitats formed by sand deposition as its growth was not halted under conditions with high amounts of sand and high organic matter content. However, in areas where Zoysia sinica and Suaeda maritima resided together, the area inhabited by Suaeda maritima gradually decreased due to interspecific competition between the two species. This was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a sharp decrease in the germination of Suaeda maritima since May, while the germination of Zoysia sinica was continuously maintained, indicating that the latter had an advantage in terms of seedling competition. In the case of the Limonium tetragonum community, its habitat was found to have been completely destroyed because it was covered by sand. The study area was confirmed to have undergone a large change in topography as tides and waves resulted in sand deposition onto these lands. Hampyeong Bay is considered to have experienced changes in halophyte distribution related to certain complex factors, such as changes in physical habitats and changes in biological factors such as interspecific competition.

우리나라 중서부 해안 경기만 간척지에서 식생변화 (Changes in Flora Dynamics on the Reclaimed Tidal Flats of Kyonggi-Bay in the Mid-west Coast of Korea)

  • 김은규;정영상;천소을;주영규;정형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89-300
    • /
    • 2009
  • 간척후 식생변화를 알기 위하여 우리나라 중서부 해안 간척지에서 식생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지는 2002년 간척된 경기만 행담간석지, 체절후 각각 7년, 9년, 18년 된 충남 석문과 대호, 경기만 행담 간척지이다. 신간척지에서 주 식생은 Suaeda japonica이었으며 다른 식생은 드물었다. 기존 간척지에서는 다양한 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분포하고 있었다. 신간척지에서는 Salicornia europaea, Suaeda glauca, Suaeda japonica, 그리고 Suaeda maritime 등 4종의 염생선구종식생이 분포하고 있었다. 간척연대가 진전되면서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차례로 출현하고 있었다. 기존 간척지에서 다양한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이 복합하여 나타났고, 이들이 선구종 염생식물보다 우점하였으며, Suaeda japonica는 출현하지 않았다.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의 다양성이 높아질수록 선구종염생식물이 감소되는 현상은 식생이 간척후 숙성에 따라 식생이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의 혼합으로 천이되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간척초기에 신간척지에서는 외부식물의 침입에 따라 식생종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은 간척초기에 증가하였으나 선구종염생식물의 상대적 밀도와 빈도는 통성염생식물과 중성식물보다 높았다. 간척후 3년 이후 연구에 의하면 외부식물이 선구종 염생식물이 우점하였다. 이러한 식생의 변화에도 선구종염생식물로 Salicornia europaea, Suaeda maritima, 그리고 Suaeda glauca, 통성염생식물로 Aster tripolium, Sonchus brachvotus, 그리고 Phragmites communis 등이 간척지에서는 공통적인 주 염생식물으로서의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전남 해안 지역에 분포하는 폐염전 염생식물의 군락분류학적 연구 (A Syntaxonom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Ruined Salt Field in Chonnam Province)

  • 양효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2권5호
    • /
    • pp.265-270
    • /
    • 1999
  • 전라남도의 해안에 방치된 염전에 생육하고 있는 식생에 대하여 군락 분류학적 연구와 토양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종조성을 바탕으로 Mueller-Dombois와 Ellenberg 법에 따라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남 해안에 방치되어 있는 폐염전의 식물군락분류를 통한 식생형을 규정하고, 군락생태를 밝히는데 있다. 폐염전에 분포하는 일년생 초본 염생식물군락은 퉁퉁마디군락, 칠면초군락, 해홍나물군락, 가는갯능쟁이군락, 갯개미자리군락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다년생 초본 염생식물군락으로는 갯개미취군락, 천일사초군락, 갈대군락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해안 습지 식생에 대한 군락분류 및 구성종에 대한 정보의 축적을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해안 습지 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 PDF

Geographical Isolation and Root-Associated Fungi in the Marine Terrains: A Step Toward Establishing a Strategy for Acquiring Unique Microbial Resources

  • Park, Jong Myong;Hong, Ji Won;Lee, Woong;Lee, Byoung-Hee;You, Young-Hyun
    • Mycobiology
    • /
    • 제49권3호
    • /
    • pp.235-248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whether the geo-ecological segregation of native plant species affects the root-associated fungal community. Rhizoplane (RP) and rhizosphere (RS) fungal microbiota of Sedum takesimense native to three geographically segregated coastal regions (volcanic ocean islands) were analyzed using culture-independent methods: 568,507 quality sequences, 1399 operational taxonomic units, five phyla, and 181 genera were obtained. Across all region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hyla distribution and ratio were confirmed. The Chao's richness value was greater for RS than for RP, and this variance coincided with the number of genera. In contrast, the dominance of specific genera in the RS (Simpson value) was lower than the RP at all sites. The taxonomic identity of most fungal species (95%) closely interacting with the common host plant was different. Meanwhile, a considerable number of RP only residing fungal genera were thought to have close interdependency on their host halophyte. Among these, Metarhizium was the sole genus common to all sites. These sugges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otential symbiotic fungi and their host halophyte species evolved with a regional dependency, in the same halophyte species, and of the same natural habitat (volcanic islands); further, the fungal community differenced in distinct geographical regions. Importantly, geographical segregation should be accounted for in national culture collections, based on taxonomical uniqueness.

한반도 고래불 해안사구에 자생하는 혼합 염생식물군락 근권세균의 분포 및 다양성 고찰 : 해안사구 보전을 위한 접근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rhizosphere bacteria of mixed halophytes vegetation native to the Goraebul sand dune, Korea : Approaches to coastal dune conservation)

  • 박종명;홍지원;이기은;김종국;유영현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8
    • /
    • 2024
  • Coastal dunes must be conserved. Their native halophytes support coastal geography while their symbiotic microorganisms help vegetation thrive. The Goraebul coast has the largest, well-conserved dune system on the East Sea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a climax mixed halophyte (C. soldanella, C. kobomugi, and E. mollis) vegetation support. This study identified rhizobacteria and their diversity in mixed halophyte communities unique to Goraebul. Five phyla, 12 genera, and 21 species were identified based on 16S rDNA sequences from 65 isolates. The phylum Bacillota, class Bacillota, order Bacillales, and family Bacillaceae were identified, with Bacillus as the dominant genus (46.15%). The richness and Shannon's diversity were higher at the species than at the genus level due to the dominance of Bacillus; however, various Bacillus species (7) were identified. Therefore, the climax mixed vegetation adapted to the Goraebul coast may exert natural selection pressure in favor of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Bacillus. However, despite this advantage, the Shannon equitability (0.86), Simpson (0.08), and Shannon diversity (2.79) indexes indicate a stable rhizosphere cluster and the climax mixed vegetation is affected by symbiotic relationships between healthy rhizosphere microbio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