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liotis diversicolor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3초

전복 드링크 제조를 위한 양식전복 열성패의 원료학적 성분특성

  • 오광수;김영아;김진수;강수태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64-165
    • /
    • 2001
  • 현재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전복은 말전복(Haliotis gigantea), 까막전복(Haliotis discus),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 시볼트전복(Haliotis sieboldii), 오분자기(Haliotis diversicolor superfexta), 둥근전복(Haliotis diversicolor diversicolor) 등 6종이 있고, 이 중 참전복은 가장 맛이 좋아 주로 날 것으로 또는 건제품 및 죽의 형태로 소비되는 고가의 중요한 연안 수산물이다. 특히, 전복은 식품학적 측면으로 볼 때, 오래 전부터 우리나라, 중국 및 일본 등지에서 상당히 귀하게 여기는 기능성 수산물이어서 시장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중략)

  • PDF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과 RAPD 분석에 의한 한국 전복속의 계통 연구 (Phylogenetic Study of Genus Haliotis in Korea by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and RAPD Analysis)

  • 서용배;강성철;최성석;이종규;정태혁;임한규;김군도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06-413
    • /
    • 2016
  • 전복은 전복속(Haliotis)에 속하며 전 세계적으로 식품산업에서 중요한 복족류 연체동물이다. 우리나라에는 6개종; 북방전복(Haliotis discus hannai), 둥근전복(Haliotis discus discus), 왕전복(Haliotis madaka), 말전복(Haliotis gigantea), 오분자기(Haliotis diversicolor diversicolor), 마대오분자기(Haliotis diversicolor supertexta)가 보고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역에 서식하는 중ㆍ대형 전복과 4종인 북방전복, 둥근전복, 왕전복, 말전복의 유전학적 유연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미토콘드리아의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유전자와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분석법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COI 유전자 분석과 RAPD 분석을 활용하면 4종의 전복 중 북방전복, 둥근전복, 왕전복을 한 그룹으로 나머지 한 그룹을 말전복으로 구분하는 종 분류는 명확히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복 교잡육종을 이용한 수출용 전복 신종자 개발에 있어 주요 대상종인 전복과 4종에 대한 유전적 근연 관계를 규정함으로써 향후 교잡육종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산 전복을 이용한 교잡종 개발 (Molecular and Physiological Aspects of Breeding Program for Development of Hybrids between Abalones Distributed in the Coast of Korea)

  • 이종규;서용배;김군도;임한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218-1223
    • /
    • 2016
  • 전복은 전복과 전복속에 속하는 복족류 연체동물로, 전 세계적으로 어업에 의한 식용전복의 공급은 감소하고, 양식에 의한 전복생산은 증가하고 있다. 한국, 일본, 중국을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전복은 중요한 해양 식량자원이며, 양식 산업에 있어서도 그 비중이 증가되고 있긴 하나, 그 느린 성장 속도가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로 여겨진다. 선별, 종내교잡, 종간교잡, 배수체 등과 같은 여러 진보된 기술의 도입을 통하여 전복의 주요 양식 품종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양식용 전복품종개발을 위하여, 한국 해안에 서식하고 있는 전복은 6종(Haliotis discus hannai,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discus, 둥근전복; Haliotis makada, 왕전복; Haliotis gigantea, 말전복; Haliotis diversicolor diversicolor, 마대오분자기; Haliotis diversicolor supertexta, 오분자기) 간의 교배를 통한 교배종 개발이 유용한 기술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으며,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에 서식하는 종 간의 교배종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어 오고 있다. 유용한 잠재적 형질을 가진 한국 산 전복들의 계통학적 관계와 이들의 종 판별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며, 이들 종들로부터 개발된 분자 마커의 현황과, 성공적인 양식용 교잡종 개발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유전적 사항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Biolog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Habitats of an abalone Haliotis diversicolor in the eastern coast of jeju-do, Korea

  • Yoo, Joon-Taek;Choi, Young-Min;Yang, Moon-Ho;Im, Yang-Jae;Ko, Joon-Chul;Chang, Dae-Soo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31-236
    • /
    • 2009
  • This study describes biolog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natural habitats of Haliotis diversicolor in the coastal area of Sungsanpo located in the eastern coast of Jeju-do, Korea. The field survey was monthly conducted from May 2006 to February 2007. H. diversicolor, sea urchin, turban shell and marine algae were collected by two divers using SCUBA. The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es were seasonally investigated by fish traps in 2007. During the study period, more than 67% of H. diversicolor and sea urchin were found in the depth shallower than 5 m, and more than 64% of turban shell were found in the depth deeper than 3 m. The dominant algal species in May were generally Undaria pinnatifida, Ecklonia cava, Sargassum. spp. and coralline algae. Most of demersal fishes collected by the fish traps were wrasses which have been reported as a major predator of young abalone.

  • PDF

ITS에 의한 한국내 전복 속 분류군의 유전적 계통분류학적 연구 (Phylogenetic Study of Genus Haliotis In Korea by Internal Transcribed Spacer Sequence (ITS))

  • 허만규;김정호;문두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03-1008
    • /
    • 2009
  • 전복속에 속하는 종은 아시아를 포함한 세계에 광범위하게 서식한다. 전복속 종은 한국과 중국에서는 식용뿐만 아니라 약용으로도 이용된다. 한국내 전복속(genus Haliotis)에 속하는 분류군에 대해 ITS에 의한 계통관계를 조사하였다. 전복속 전체 종에서 5.8S exon은 160 핵산서열로 일정하였다. ITS1은 종에 따라 다양하였는데, 오분자기(H. diversicolor aquatilis)에서 272 핵산서열인 반면, 시볼트전복은 294 핵산서열이었다. ITS2 핵산서열 역시 종에 따라 다양하였다. 전체 서열은 오분자기는 722 핵산서열인 반면, 시볼트전복은 752 핵산서열이었다. ITS 전체 서열은 763 핵산서열에서 78개는 절약법에 정보적이었고, 57개는 변이로 비정보적이였고, 459는 일정하였다. 오분자기는 다른 전복속 종과 다른 분지를 나타내었다. ITS 서열로 한국내 분류군과 유럽종간 구분이 잘 되었다. ITS 서열로 종 동정에 이용할 수 있었으며, 종의 보전이나 생식질 보전에 기초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모패의 체중별 교차수정에 의한 치패의 성장

  • 강경호;김영훈;김재민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622-623
    • /
    • 2001
  • 전복류는 세계적으로 100여종으로 알려져 있고, 이중 어획 대상이 되는 대형종은 20여종으로서 주로 온대수역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전복류는 소형종인 오분자기(Haliotis diversicolor supertexta)를 비롯하여 난류계의 대형종인 말전복(H. gigantea), 까막전복(H. discus), 시볼트 전복(H. sieboldii) 그리고, 한류계인 참전복(H. discus hannai)의 5종이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가입당생산량(yield-per-recruit) 모델을 이용한 제주 동부연안 오분자기류(Haliotis diversicolor)의 어업관리 (Fisheries Management of an Abalone Haliotis diversicolor in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using Yield-per-recruit Model)

  • 고준철;유준택;최영민;김재우;임양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3-151
    • /
    • 2008
  • 조사기간 동안 오분자기류의 각장조성은 2004년 이후 소형개체의 어획비율이 증가하였고, 연도별로 어획개시연령($t_c$) 및 순간어획사망계수(F)를 추정한 결과, $t_c$r는 2006년에 1.926세로 2004년에 비해 약 0.09세 낮아진 반면, F는 2006년에 1.088/year로 2004년에 0.574/year보다 크게 높았다. 가입당생산량(Yield-per-recruit)모델을 사용하여 $t_c$와 F의 변화를 연도별로 조사한 결과, 2004년의 경우 현재의 F값인 0.574/year을 유지하면서 $t_c$를 2.7세로 높이거나, 현재의 $t_c$값인 2.01 세에서 F를 0.800/year로 높이면 최대 가입당생산량을 얻을 수 있었고, 2005년의 경우 현재의 F값인 0.578/year에서 $t_c$를 2.5세로 높이거나, 현재의 $t_c$값인 1.946세에서 F를 0.880/year으로 높일 때 최대의 가입당생산량을 얻을 수 있었다. 반면, 2006년의 경우 현재의 F값인 1.088/fear에서 $t_c$를 3.1세로 높이거나, 현재의 $t_c$값인 1.926세에서 F를 0.810/year로 낮추면 최대 가입당생산량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연도별 $F_{0.1}$$F_{MAX}$를 추정해 본 결과, 2004년과 2005년에 비해 2006년에 추정된 $F_{0.1}$(0.427/year)과 $F_{MAX}$(0.804/year) 모두 현재의 F(1.088/year) 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결과를 종합해보면 2006년에 들어 성장남획의 징후는 뚜렷하였고, F와 관련된 조업 해녀수의 인위적 감소는 힘들기 때문에 $t_c$를 3.1세(각장 4.2 cm) 로 높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양식 전복에 공생하는 한국산 옆새우 3종(갑각강, 단각목) (Three Species of Gammaridean Amphipods (Crustacea) Associated with Cultured Abalones (Gastropoda) in Korea)

  • 신명화;김일회;이경숙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2호
    • /
    • pp.157-169
    • /
    • 2005
  • 한국의 양식 전복에 공생하는 3종의 단각류가 발견되어 이들을 보고한다 이들 단각류는 볼록손참옆새우(Ampithoe valida Smith), 사마귀멜리타옆새우(Elasmopus rapax Costa), 두발가락멜리타옆새우(Melita rylovae Bulycheva)이며, 이 중에서 사마귀멜리타옆새우는 한국 미기록종으로서 상세히 기재하였고 다른 두 종은 주요 형질을 기재하였다. 이들 단각류가 공생한 전복은 Haliotis discus hannai Inc, H. discus discus Reeve, H. diversicoior aquatilis Reeve, 그리고 H. siebolidii Reeve이다. 관찰한 단각류와 전복들 사이에는 종 특이적 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오분자기의 정미성분 (Taste Compounds of Abalone, Haliotis diversicolor japonica)

  • 하진환;송대진;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7-122
    • /
    • 1982
  • 오분자기의 정미성분에 관한 자료를 얻고자 핵산관연물질, 유리아미노산, TMAO, TMA 및 총creatinine을 분석하였다. 핵산관련물중 AMP가 가장 많아서 $2.21{\mu}mole/g$이었으며 IMP와 inosine은 흔적량이었다. 유리아미노산중 함양이 많은 것은 taurine, arginine 및glycine으로 이들 3종 아미노산이 전유리아미노산의 $79.3\%$를 차지하였으며 tyrosine과 phenyl alanine은 흔적량이었다. TMAO, TMA 및 총 creatinine의 사양은 각각 $5.4mg\%,\;1.0mg\%$, 그리고 $5.0mg\%$ 였다. Omission test 결과 오분자기의 정미성분은 유리아미노산이 그 주체를 이루고 여기에 유기산과 핵산관련물질이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Genetic Distances of Three Mollusk Species Investigated by PCR Analysis

  • Oh, Hyun;Yoon, Jong-Ma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1호
    • /
    • pp.43-49
    • /
    • 2014
  • Three species of Nortamea concinua (NC) and Haliotis discus hannai (HDH) from Tongyeong and Sulculus diversicolor supertexta (SDS) are widely distributed on the coast of the Yellow Sea, southern sea and Jeju Island in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 innate ecosystem.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e genetic traits and composition of three mollusk species in order to evaluate exactly the patent genetic effect. PCR analysis was performed on DNA samples extracted from a total of 21 individuals using seven decamer oligonucleotides primers. Seven primers were shown to generate the unique shared loci to each species and shared loci by the three species which could be clearly scored. A hierarchical clustering tree was constructed using similarity matrices to generate a dendrogram, which was facilitated by the Systat version 10. 236 specific loci, with an average of 56.3 per primer, were identified in the NC species. 142 specific loci, with an average of 44.7 per primer, were identified in the HDH species. Especially, 126 numbers of shared loci by the three species, with an average of 18 per primer, were observed among the three species. Especially, the decamer primer BION-75 generated 7 unique loci to each species, which were identifying each species, in 700 bp NC species. Interestingly, the primer BION-50detected 42 shared loci by the three species, major and/or minor fragments of sizes 100 bp and 150 bp, respectively, which were identical in all samples. As regards average bandsharing value (BS) results, individuals from HDH species (0.772) exhibited higher bandsharing values than did individuals from NC species (0.655). In this study, the dendrogram obtained by the seven decamer primers indicates three genetic clusters: cluster 1 (CONCINNA 01~CONCINNA 07), cluster 2 (HANNAI 08~HANNAI 14), cluster 3 (SUPERTEXTA 15~SUPERTEXTA 21). Comparatively, individuals of HDH species were fairly closely related to that of SDS species, as shown in the hierarchical dendrogram of genetic dist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