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iry-vetch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29초

헤어리베치의 추파시기에 따른 녹비의 수량 및 질소량 변화 (Changes of Green Manure and Nitrogen Yield of Hairy Vetch According to Seeding Date in Autumn)

  • 서종호;이호진;김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400-404
    • /
    • 2000
  • 헤어리베치의 추계 파종시기별 이듬해 4월 하순의 녹비량 및 녹비질소량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첫째 1996년 및 1997전 파종기 9월 10일, 10월 1일 및 10월 20일에 각각 파종량 10, 20, 30 및 40kg/ha의 처리를 두어 이듬해 1997년 및 1998년의 5월 1일에 각각 수확하였고, 둘째 1999년의 8월 20일부터 9월 3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5회에 걸쳐 파종하고 이듬해 4월 22일, 4월 27일, 5월 2일의 3회에 걸쳐 수확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97년 및 1998년 5월 1일 수확시 헤어리베치의 질소함량은 4% 내외, 2000년 수확시는 3.5% 내외를 나타내었는데 파종이 빠를수록 수확시 질소함량이 다소 감소하였다. 헤어리베치의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녹비의 수량은 증가하였으나 2년 모두 파종량 30 kg/ha와 40 kg/ha간에 차이가 없어 적정 파종량은 30 kg/ha로 생각되었다. 적정 파종량에서 녹비건물중 이 9월 10일 파종은 5.5-7 ton/ha, 10월 1일 파종은 4-4.5ton/ha, 順월 20일 파종은 1.3-2.2 ton/ha로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감소하였는데, 특히 파종기 10월 이후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녹비의 질소량은 녹비건물중과 거의 비례하였는데 지상부에 포함된 질소량(파종량 30-40 kg/ha)은 9월 10, 10월 1일 및 10월 20일 파종이 각각 220-280, 160-180, 60-100 kg/ha로 파종기의 지연에 따라 뚜렷이 감소하였다. 2000년의 4월 하순 수확에서는 8월 20일, 8월 31일, 9월 10일과 9월 20일 및 9월 30일 파종이 각각 7-8, 6-7, 4-5 및 2-3 ton/ha의 녹비건물중을 나타내어 파종이 8월 하순이 9월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녹비질소량 역시 8월 20일, 8월 31일, 9월 10일과 9월 20일 및 9월 30일 파종이 각각 240-290, 200-260, 150-220 및 70-120 kg/ha 나타내어 8월 하순 파종이 9월 파종에 비해 증가하였다.

  • PDF

헤어리베치 재배과원에서 해충과 천적의 발생 (Occurrence of Insect Pests and Natural Enemies in Pear Orchard with Hairy Vetch)

  • 최용석;황인수;박덕기;최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48-453
    • /
    • 2013
  • 배 과원에 심겨진 헤어리베치가 배의 주요해충인 4종 나방류(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사과무늬잎말이나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조팝나무진딧물 및 점박이응애의 발생과 천적인 기생봉류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헤어리베치가 심겨진 배 과원과 바랭이가 주요 초종인 일반과원에서 4종 나방류의 발생에는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조팝나무진딧물은 6월 20일 헤어리베치구에서 신초 당 95마리가 1회 확인되었을 뿐 전체적으로 발생되지 않았다. 배 잎의 점박이응애 밀도는 헤어리베치가 심겨진 배 과원에서 월등히 낮았다. 2012년과 2013년에 조사된 기생봉류의 발생은 헤어리베치의 개화시기에 각각 398마리와 798마리로 일반초생구의 9마리와 22마리보다 월등히 높았고, 하고시기에도 헤어리베치구가 114, 172마리로 일반초생구 8, 5마리보다 월등히 많았다. 헤어리베치는 4종 나방류, 조팝나무진딧물, 점박이응애 발생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오히려 천적인 기생봉류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배 과원의 피복 및 녹비작물로써 이용가능성이 높으므로, 천적에 저독성 농약선발을 통해 농약방제 체계를 개선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해충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중부지역 논에서 월년생 두과 사료작물의 생육특성 및 수량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s of Autumn-Sowing Annual Legumes in Paddy Field of Central Provinces)

  • 신재순;김원호;윤세형;임영철;임근발;서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18
    • /
    • 2008
  • 본 시험은 우선 논에서 여름철 사료작물과 연계할 수 있는 겨울철 재배에 적합한 월년생 두과작물로 이듬해의 개화를 통한 경관효과와 수량이 우수한 초종의 선발을 목적으로 충남 천안시 성환읍에 위치한 벼재배 농가포장에서 2006년 9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수행되었다. 월년생 두과 사료작물로서 Hairy vetch(Vicia villsa), Crimsom clover(Trifolium incarnatum), Berseem clover(Trifolium alexandrinum), Persian clover(Trifolium resupinatum), Balansa clover(Trifolium michelianum), Sweet clover(Melilotus officinalis) 및 Forage pea(Pisum sativum) 각 1품종을 공시하였다. 파종 45일후 출현율은 Crimsom clover, Hairy vetch, Forage pea 및 Berseem clover가 90%이상으로 높았으며 월동율은 Hairy vetch와 Crimsom clover가 각각 98%와 95%로 가장 높았다. 경관과 관계되는 개화율은 수확시(5월 10일)에 Crimson clover가 100%로 조사되었다. 생초수량과 건물수량은 Crimson clover가 각각 72,556 kg/ha과 16,062 kg/ha으로 가장 높았다. 조단백질 수량은 Hairy vetch가 2,929 kg/ha으로 가장 높았지만 Crimson clover(2,169 kg/ha)와는 차이가 없었다(p<0.05). TDN 수량은 Crimson clover가 9,007 kg/ha으로 가장 높았지만 Hairy vetch(7,366 kg/ha)와는 차이가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월동율, 수량 그리고 경관 등을 고려할 때 Crimson clover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지만 추후 보완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녹비작물 헤어리베치가 벼 생육 및 관개량 절약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Green Manure Hairy vetch on Rice Growth and Saving of Irrigation Water)

  • 전원태;허승오;성기영;오인석;김민태;강위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81-186
    • /
    • 2011
  • 녹비작물 헤어리베치를 이용하여 벼 재배 시 물 절약 기술을 개발하고자 2008년부터 2009년까지 경기도 수원시에 소재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 시험포장 신흥통에서 수행하였다. 물관리 처리 내용은 관행시비구와 헤어리베치 투입구 내에 관행물관리구 (주 2~3회)와 주1회관개구를 설치하여 벼 이앙 후 30~38일부터 관개량, 벼 생육,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토양물리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벼 유수형성기와 유숙기의 생육은 2년 모두 헤어리베치 투입구의 주1회 관개구가 관행시비구의 주1회관개구보다 양호하게 경과하였다. 관개량은 관행시비구의 관행물관리구에 비하여 헤어리베치 투입구의 주1회관개구가 2008년은 46.0%, 2009년 61.3%로 절감되었다. 벼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도 2개년 모두 관행시비구의 물관리에 비하여 헤어리베치 투입구의 주1회 관개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또한 헤어리베치 투입구에서 벼 수확 후 토양의 용적밀도가 감소하고 공극률이 증대하였다. 물리성 개선의 지표물질인 glomalin의 함량도 헤어리베치 투입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헤어리베치 투입 후 주 1회만 관개하여도 토양물리성이 개선되고 보수력이 증대되어 벼 수량의 감수 없이 절수 재배가 가능하여 벼 재배 시 물 절약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Effect of mixed sowing treatment of green manure crops on the change of soil nitrogen amount and yield production of corn

  • Shim, Kang Bo;Kim, Min Tae;Kim, Sung Gook;Jung, Kun Ho;Kim, Chung Guk;Lee, Jae Un;Kwon, Young Up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18-318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ptimum mixed sowing ratio of green manure crops to reduce the use of chemical fertilizer as well as to increase the crop yield potential which will foster the utilization of green manure crops in the upland field in view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e. According to the study, the mixed ratio, 50:50, of hairy vetch and green barley showed highest nitrogen production yield in the soil due to the relatively higher organic nitrogen supply from the hairy vetch plant as well as nitrogen fixation from the air rather than other mixed ratio. In the 50:50 mixed ratio of hairy vetch and green barely total nitrogen amount in the soil showed 17.2kg per 10a, but in the other treatment ratio such as 75:25, 25:75. total nitrogen fixation amount were 16.7, 16.9 respectively. We also conducted the experiment to compare the effect of the mixed sowing treatment of green manure crops on the production of corn cultivated as a succeeding plant of hairy vetch. According to the result, the mixed ratio, 50:50, of hairy vetch and green barley treatment showed highest yield potential of corn as 153kg per 10a in seed weight which is due to the relatively higher organic nitrogen supply from the hairy vetch plant as well as nitrogen fixation from the air rather than other mixed ratio. In the mixed sowing treatment of hairy vetch 100 and barley 0 ratio, the corn production showed 148kg per 10a which is 5kg lower than that of hairy vetch 50 and barley 50 ratio, but showed statistically no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treatment. Otherwise, different treatments, such as hairy vetch 75 and barley 25, 25 and 75, 0 and 100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 each other.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green manure crops, such as hairy vetch, green barley and rye were very effective crops to increase the soil fertility and gave the positive effect to the crops to give vegetative and propagative growth condition and, in turn, increased the yield potential. We have to make policy to enhance the utility of green manure crops in the upland crops as well as faddy field for the soil fertility and crop yield production which will guarantee prominent quality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e products.

  • PDF

풋거름 보리-헤어리베치 혼파 작부체계에서 몰리브덴 시용이 질소 고정, 이동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Application of Molybdenum Enhances Nitrogen Fixation and Transfer, and Biomass Production under a Hairy Vetch/Barley Mixture Cropping System)

  • 김태영;김송엽;윤영은;김장환;이용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91-295
    • /
    • 2019
  • 본 연구는 풋거름보리와 헤어리베치 혼파 작부체계에서 Mo 시용이 풋거름 작물의 수량, 헤어리베치의 공중질소 고정율 및 헤어리베치에서 풋거름보리로 질소 이동율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Mo 2.0 kg/ha 시용에서 풋거름 작물의 최대수량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풋거름 작물의 최대수량을 나타낸 Mo 2.0 kg/ha 처리에서 헤어리베치의 공중질소 고정율은 81.7% 이었으며, 이때 헤어리베치에서 풋거름 보리로 이동된 질소는 풋거름 보리 질소함량의 53.9% 이었다. 따라서, Mo 2.0 kg/ha 처리가 풋거름 보리-헤어리베치 혼파 작부체계에서 가장 적절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보고되지 않았던 헤어리베치로부터 보리로의 질소 이동을 정량화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Glycine soja and hairy vetch supplementation on the nutritional quality of corn silage

  • Jung, Kang Seok;Cho, Hyun Min;Lee, Hyung Suk;Heo, Jung Min;Lee, Soo Kee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2호
    • /
    • pp.169-176
    • /
    • 2018
  •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Glycine soja (GS) and hairy vetch supplementation on the quality of corn silage. The feeding regimen consisted of a corn silage (Control) and a control supplemented either with 20% GS or 20% hairy vetch with four replicates. All experimental diets were stored for 40 days at room temperature ($20-25^{\circ}C$). The control had a higher (p < 0.05) dry matter level but had a lower level (p < 0.05) of crude protein, crude fat, acid detergent fib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than any other treatments. Hairy vetch had a higher level (p < 0.05) of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than any other groups but had a lower level (p < 0.05) of lactic acid than that of the control. A lower silage pH was observed (p < 0.05) in the control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s. The control had lower (p < 0.05) sucrose and fructose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s. Corn silage supplemented with hairy vetch showed a higher level (p < 0.05) of crude protein and buffer solution protein and a higher ratio of soluble protein to insoluble protein than any of the other groups. Thu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GS and hairy vetch supplementation of corn silage would be beneficial for maintaining quality and elevating protein level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녹비작물이 단감과원의 토양 특성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ver Crops on the Soil Properties and Fruit Quality in a Persimmon Orchard)

  • 김병삼;조경철;나양기;윤봉기;정석규;조광식;이경아;최현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13-421
    • /
    • 2014
  • '부유' 단감과수원에 적합한 녹비작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헤어리베치, 레드클로버, 호밀, 헤어리베치+호밀을 파종하여 토양화학성과 물리성 그리고 과실수량과 품질을 조사하였다. 천근성인 레드클로버는 생육이 저조하여 피복도가 약 66%로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고 호밀 또는 헤어리베치+호밀 혼파처리구의 토양환원량이 가장 높았다. 식물체에서 환원되는 질소, 인산, 칼리 함량이 헤어리베치+호밀처리구 혼파처리구에서 가장 높아 토양의 유기물과 pH, 인산, 칼리, 칼슘과 전기전도도가 증가하였다. 토양의 용적밀도와 고상이 호밀 또는 헤어리베치+호밀처리구에서 감소되어 기상의 증가로 인한 공극률이 증가되었다. 헤어리베치+호밀처리에서 과실의 착과수와 수량이 가장 높았으며, 과실의 당도와 착색이 증가되는 효과가 인정되어 녹비작물로서 단감과원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보리-헤어리베치 단파 및 혼파가 벼 수량에 미치는 영향 (Green Manuring Effect of Pure and Mixed Barley-Hairy Vetch on Rice Production)

  • 김태영;김송엽;파리둘;이용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68-272
    • /
    • 2013
  • 본 연구는 보리-헤어리베치 단파 및 혼파가 녹비생산량과 벼 재배시 무기질 비료 대체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보리-헤어리베치 혼파를 통한 녹비생산량은 보리 75% + 헤어리베치 25% 혼파구에서 8.07 Mg/ha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녹비생산을 통한 질소 축적량도 녹비 생산량이 가장 높은 보리 75% + 헤어리베치 25% 처리구에서 131 kg/ha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혼파처리구의 전체 biomass 생산량 중에서 헤어리베치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할수록 보리 중 질소 함량은 증가되었다. 녹비재배 후 전량을 토양에 환원 후 벼 재배를 실시한 결과 혼파구(B75H25, B50H50, B25H75)의 벼 수량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관행구(NPK) 보다 약 7%의 증수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보리와 헤어리베치 혼파는 무기질 비료 무시용에 의한 벼 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천변 농경지에서 헤어리베치를 재배한 후 질소시비량에 따른 찰옥수수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itrogen Rates on The growth and Yield of Waxy Corn after Cultivating Hairy Vetch in Agricultural Fields with The Stream)

  • 노예진;정덕영;류진희;서정덕;조진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333-337
    • /
    • 2015
  • 이 실험은 녹비작물로 주로 이용되는 헤어리베치를 재배한 후 찰옥수수의 옥수수의 생육과 수량 특성을 알고자 실시하였다. 찰옥수수의 생육 특성은 관행재배에 비하여 헤어리베치를 녹비로 환원하고 질소시비량을 증가할수록 생육효과를 보였으며, LAI는 18 kg미만일 때 관행지배와 비슷하였다. 이삭 길이는 관행재배의 188 mm와 비교하여 헤어리베치를 녹비로 이용하고 질소시비량이 9 kg이하일 때 다소 감소하였으나 질소시비량이 18 kg 이상일 때 관행재배보다 길었다. 100립중은 헤어리베치와 27 kg의 질소시비량 처리가 35.4 g으로 가장 높았으며 헤어리베치와 0 kg의 질소시비량 처리가 27.4 g으로 가장 적었다. 수량은 헤어리베치와 9 kg의 질소시비량이 관행재배의 수량과 비슷하였으며, 당도는 관행재배에 비하여 헤어리베치와 18 kg 이상의 질소시비 처리에서 더 높았고, 과피 두께는 처리간에 차이를 볼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