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ir Growth

검색결과 393건 처리시간 0.021초

CL57BL/6 마우스의 발모에 미치는 목향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Aucklandia lappa Decne. Extract on Hair Growth in Depilated CL57BL/6 Mice)

  • 김정희;이승욱;백경연;김극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88-9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제모된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목향 추출물의 경구 투여가 발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목향 70% prethanol 추출물(ALD)을 제조하여 추출수율과 추출물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 27.30±0.01과 28.39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g extract로 측정되었다. ALD를 제모된 CL57BL/6 마우스에 6주간 경구 투여하며 관찰한 결과, 식이량과 체중 변화에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액 생화학적 검사 및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ALD의 6주간 반복 투여가 주요 장기인 간과 신장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대조군에 비해 간기능과 콩팥기능 모두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더불어 ALD 투여에 따른 모발 성장 정도를 육안적으로 관찰한 결과, ALD 투여군에서 대조군 및 판시딜 투여군(양성 대조군)보다 현저하게 발모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낭수와 진피의 콜라겐 생성 정도를 비교한 결과, 대조군 및 판시딜 투여군 대비 ALD 투여군에서 두 항목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로부터 ALD의 경구 투여는 제모된 마우스 모델에서 모발 성장을 촉진하며 진피내 콜라겐 합성 증가와 모낭수 증가를 유도한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는 ALD를 함유하는 경구용 발모 촉진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그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발효 5종 혼합물의 항산화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 (Antioxidative and Hair-growth-promotion Effects of a Fermented Compound Composed of Five Materials)

  • 이하늘;하배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63-670
    • /
    • 2018
  • 이 연구는 5가지 물질로 구성된 혼합물의 항산화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발효 5종 혼합물은 적양파, 늙은 호박, 검은콩, 솔잎, 검은깨, 발효 2종 혼합물은 적양파, 늙은 호박으로 구성되어있다. 항산화 효과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으로 측정하였다. 발효 5종 혼합물은 발효 2종 혼합물보다 높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보였다. 모발 성장 효과는 생체 내 실험을 통해 검증되었다. 알칼리성 인산가수 분해효소(ALP), ${\gamma}$-글루타밀트랜스펩티다아제(${\gamma}-GT$) 및 육안적 관찰을 통해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은 샘플에 따라 물(NOR), 판시딜(P-CON), 발효 5종 혼합물(5NC), 발효 2종 혼합물(2NC) 총 4군으로 나눴다. 샘플은 일정한 시간에 하루 1번 4주 동안 경구투여하였다. 5NC군에서 ALP, ${\gamma}-GT$ 활성 모두 2NC에 비해 증가하였다. 육안적 관찰에서 P-CON군은 털이 가장 길고 면도 전의 상태와 유사하였다. 5NC군은 P-CON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털이 자랐다. 모든 결과에서 발효 5종 혼합물은 발효 2종 혼합물 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와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발효 5종 혼합물은 유용한 모발 성장 촉진제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생쥐 모델에서 쌍별 귀뚜라미 발효 분말의 발모 촉진제로서의 유익한 효과 (Beneficial Effects of Fermented Cricket Powder as a Hair Growth Promoting Agent in a Mice Model)

  • 황지혜;황의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6-201
    • /
    • 2022
  • 곤충과 같은 새로운 단백질 공급원은 인간의 영양을 위해 제안됩니다. 단백질 가용성은 곤충 특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발효를 통해 독특한 특성을 지닌 다양한 곤충 기반 성분 및 식품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발효된 식용 곤충이 단백질 가용성에 미치는 영향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발효 쌍별 귀뚜라미 분말은 주로 단백질로 구성됩니다. 이전에는 귀뚜라미 분말의 경구 투여가 남성형 탈모증에서 모발 성장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 되었습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물모델에서 쌍별 귀뚜라미 발효분말의 모발 촉진 활성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수컷 C57BL/6 마우스(25-30 g)를 사용했습니다. 실험을 위해서 마우스의 복부 털(2×2.5 cm)을 부드럽게 제거했습니다. 그룹은 다음과 같이 처리되었습니다. 정상 급이군(쌍별귀뚜라미 분말 없음), 쌍별귀뚜라미 분말 급이군 및 발효 쌍별 귀뚜라미 분말 급이군으로 실험군은 구성 되었습니다. 음식은 11주 동안 공급하였습니다. 관찰을 수행하고 대조군 및 실험군의 결과를 비교했습니다. 대조군과 비교 하였을 때, 발효 쌍별 귀뚜라미 분말의 적용은 유의하게(p<0.01) 모발 성장을 촉진했습니다. C57BL/6 실험의 결과는 쌍별 귀뚜라미 발효 분말은 7주 후 모발 성장이 급격히 증가 되었음을 확인시켜줍니다. 급이 7주 후, 성장기의 모발 비율을 정상 급이군과 쌍별 귀뚜라미 분말 급이군에서 각각 비교한 결과, 발효 쌍별 귀뚜라미 급이군에서 약 125% 및 약 120% 증가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쌍별 귀뚜라미 발효 분말의 적용은 발모를 촉진하기 때문에 탈모증 치료의 유망한 대안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구성을 고려할 때 아미노산과 같은 미량 원소가 이러한 효과에 기여했을 수 있습니다.

인체 두피 모낭의 장기간 배양을 위한 기관 배양 배지의 개발 (Development of Organ Culture Medium for Long Term Culture of Human Hair Follicle)

  • 유보영;윤희훈;신연호;서영권;이두훈;송계용;황성주;박정극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58-6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인체 두피조직에서 미세수술법을 이용하여 모낭을 성공적으로 분리하였으며 다양한 조건으로 액침기관배양을 수행하였다. 우태아 혈청첨가시 모낭의 길이 성장이 저해되는 것으로 확인되어 무혈청 배지 조성을 시도하였다. 무혈청 배지로는 모낭 기관배양에 널리 이용되는 Williams'E medium을 기본으로 하는 Philpott medium과 자체 개발한 고농도 아미노산과 비타민(B군) 조성의 DHGM(Dongguk hair growth medium)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IMDM은 DHGM의 비교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Philpott medium과 IMDM으로 배양한 모낭은 구조상으로는 길이 성장이 각각 9일과 12일 정도에 멈추며, 낮은 알카라인 포스파테이즈 발현, CK19 발현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 세포사멸에 의한 퇴화(regression)가 빠르게 일어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DHGM으로 배양한 모낭은 상대적으로 긴 기간 동안 성장기의 구조를 보이며 25일까지 지속적인 길이 증가 및 3배 높은 알카라인 포스파테이즈 발현, 전반적인 CK19 발현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고농도의 아미노산 및 비타민 배지 조성이 생체 외에서 모낭을 장기간 배양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배양 방법은 장기간 검사를 필요로 하는 모낭에 대한 기초 생물학적 연구뿐만 아니라 새로운 탈모치료제의 효능 평가 분야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Hair microscopy: an easy adjunct to diagnosis of systemic diseases in children

  • Dharmagat Bhattarai;Aaqib Zafar Banday;Rohit Sadanand;Kanika Arora;Gurjit Kaur;Satish Sharma;Amit Rawat
    • Applied Microscopy
    • /
    • 제51권
    • /
    • pp.18.1-18.12
    • /
    • 2021
  • Hair, having distinct stages of growth, is a dynamic component of the integumentary system. Nonetheless, derangement in its structure and growth pattern often provides vital clues for the diagnosis of systemic diseases. Assessment of the hair structure by various microscopy techniques is, hence, a valuable tool for the diagnosis of several systemic and cutaneous disorders. Systemic illnesses like Comel-Netherton syndrome, Griscelli syndrome, Chediak Higashi syndrome, and Menkes disease display pathognomonic findings on hair microscopy which, consequently, provide crucial evidence for disease diagnosis. With minimal training, light microscopy of the hair can easily be performed even by clinicians and other health care providers which can, thus, serve as a useful tool for disease diagnosis at the patient's bedside. This is especially true for resource-constrained settings where access and availability of advanced investigations (like molecular diagnostics) is a major constraint. Despite its immense clinical utility and non-invasive nature, hair microscopy seems to be an underutilized diagnostic modality. Lack of awareness regarding the important findings on hair microscopy may be one of the crucial reasons for its underutilization. Herein, we, therefore, present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available methods for hair microscopy and the pertinent findings that can be observed in various diseases.

세포교정영양요법(OCNT)을 이용한 탈모 환자 개선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use of Ortho-Cellular Nutrition Therapy (OCNT) in patients with alopecia)

  • 박정미
    • 셀메드
    • /
    • 제13권13호
    • /
    • pp.50.1-50.5
    • /
    • 2023
  • Objective: A case study on improvement of alopecia through OCNT. Methods: 62-year-old woman suffering from alopecia symptoms and thinning hair due to stress and overwork after her marriage. Results: Hair got thicker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nutrition therapy with improvement of alopecia symptoms at the crown and lateral aspects of the head. Conclusion: Nutrition therapy can be helpful in promoting hair growth and increase in hair thickness for patients displaying alopecia symptoms.

자작나무 증포 추출물의 발모 촉진 효과 (Promotion effects of steam-dried Betula platyphylla extract on hair regrowth)

  • 안정원;장수길;조보람;김현수;정의영;힐러리 키테냐;유영민;주성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3-51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자작나무 증포 추출물의 탈모 조절 활성 분석을 위해 in vitro (인간모유두세포) 및 in vivo (C57BL/6N 마우스) 모델을 이용하여 모발의 성장 효과를 평가하였다. 찌고 말리는 과정을 반복하는 증포 차수 별 함유 성분의 변화가 관찰되어 새로운 추출법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즉, 1회-5회 증포 후 관찰된 성분의 변화는 3회 증포 추출물(BPE3)에서 안정적인 추출 수율, 높은 페놀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발모 주기의 전 과정에 관여하는 모유두세포에 BPE3를 처리하였을 때 유의한 수준의 FGF7과 Wnt7b 발현을 증가시켜 모발 성장 촉진과 모발의 성장기 개시를 도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vivo 마우스 모델에 12일 간 BPE를 도포하여 관찰한 결과 6일 경과 시 양성대조군(MXD 및 PTN)과 유사한 수준으로 단모의 성장이 관찰되었으며, 9일 경과 시 높은 밀도의 발모가 진행되기 시작하여 12일 경과 시 미처리 대조군에 비해 BPE3군에서 고른 발모가 관찰되었다. H&E 염색을 통한 각 군별 피부조직의 변화는 BPE3군에서 뚜렷이 나타났으며, 특징적으로 단위면적 당 많은 모낭(hair follicle)의 형성과 모간부(hair shaft)의 신장이 관찰되어 안정적으로 모발의 성장기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피부조직의 유전자발현 추가 분석 시 FGF7, VEGF, 및 Wnt7b 유전자가 유의하게 증가하여 모발성장, 분화, 모낭줄기세포 활성을 유도하여 모발성장을 촉진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BPE3가 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의 염증인자(iNOS, IL-6 및 COX2) 발현을 저해하여 자가면역 등 염증성 탈모억제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GC-MS 분석을 통해 확인한 betulin과 불포화지방산 등 저분자 물질은 BPE3가 나타낸 약리활성을 방증하였다. 결론적으로, 자작나무 3회 증포 추출물인 BPE3는 모유두세포의 발모 주기를 촉진할 뿐 아니라 두피의 염증 환경에서 휴지기를 단축시켜 정상적 발모를 돕는 소재로서 높은 잠재력을 나타냈다.

방사선 피폭 마우스의 털 수질세포에 대한 인삼의 방사선 방호효과 (The Radioprotective Effect of Panax ginseng of the Hair Medullary Cell in Irradiated Mice)

  • 김성호;한동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0권2호
    • /
    • pp.149-153
    • /
    • 1996
  • Studie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water fraction of Panax ginseng Protected radiation damage to hair medullar cells of N:GP(s) mice after in vivo irradiation with $^{60}Co{\;}{\gamma}-rays$. The hair follicles in the middle of the growth cycle were analysed 3 days after 3 Gy irradiation for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cells in the forming medulla of the hair in the region just above the germinal matrix of the growing (anagen) hair follicle. The radioprotective effect of ginseng was compared with the irradiation control. The medullar cell count per unit length ($100{\;}\mu\textrm{m}$) of hair follicle was higher in the pretreated-groups of ginseng, both oral (2 mg/ml of drinking water, p<0.05) and intraperitoneal (0.3 mg/head, p<0.001) treatments, than the irradiation control. These data suggested that the water fraction of Panax ginseng may reduce cell damages on the body surface caused by ${\gamma}-rays$.

  • PDF

부정교합자(不正咬合者)의 사춘기성장(思春期成長)과 성적(性的) 성숙간(成熟間)의 상호관계(相互關係)에 관(關)한 누년적(累年的) 연구(硏究) (A LONGITUDINAL STUDY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PUBERTAL GROWTH AND SEXUAL MATURITY IN MALOCCLUSION)

  • 장기영;이동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99-111
    • /
    • 1989
  • To study the sexual maturity at puberty and interrelation between pubertal growth peak and sexual maturity, 68 malocclusions (female 44, male 24) were longitudinally studied for 4 years and cross-sectional samples of 210 malocclusions were studied together. The pubertal growth peak was determined by stature increment and sexual maturity was studied using developmental stages of pubic hair and breast, menarche in female and those of pubic hair in mal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Mean age at menarche was 12.8 years and it was 11.8 months later than PHV. 2. At pubertal growth peak, developmental stage 2 (54.2%) and 3 (29.2%) of pubic hair were most in male, and stage 1 (72.7%) and 2 (20.5%) were most in female. 3. At pubertal growth peak, the developmental stage 2 (50%) of breast was most and the stage 3 (43.2%) was next. 4. In interrelation between skeletal growth and sexual maturity, PHV had most high correlation with menarche and stage 3 of breast, and menarche had most high correlation with stage 3 of breast. 5. Appearance of remarkable sexual maturity suggested that the PHV was passed already.

  • PDF

Allelopathy of Tagetes minuta L. Aqueous Extracts on Seed Germination and Root Hair Growth

  • Kil, Ji-Hyun;Shim, Kew-Cheol;Lee, Kyu-Ji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6호
    • /
    • pp.395-398
    • /
    • 2002
  • Present paper showed allelopahtic effects of Tagetes minuta aqueous extracts on seed germination and root hair development. Allelopathy of aqueous extracts derived from T. minuta examined using two test plant species (Lotus comiculatus var. japonicus and Lactuca sativa). The seeds of test species were inoculated in petri dishes containing 0, 10,50 and 100% aqueous extracts from T. minuta. At day 5, the relative seed germination ratio to control was evaluated, and the development of seedling root hairs was observed through light microscopy. Seed germination of L. comiculatus var. japonicu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s of aqueous extract, but that of L. sativa wasn't inhibited. The inhibitory allelopathic effect of T. minuta was found in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seedling root hairs. It was concluded that the inhibitory allelophatic effects have been to be investigated using various bioassay, for the allelopathy of plant species shows species-specific and organ-specif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