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cking protection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5초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확산을 위한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for Service Proliferation Based on Blockchain)

  • 유순덕;김기흥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85-194
    • /
    • 2018
  • 본 연구는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확산을 위한 방안 연구로서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한계요인과 이를 개선하는 방안에 대해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는 델파이 기법으로 연구하였다. 한계요인과 개선방안을 기술, 서비스, 법 제도 측면으로 분류하였다. 첫째, 기술측면에서 기술 관련 표준화 부재, 통합성 미비, 확장성 미비, 취소, 정정 정책 부재, 거래 검증비용 과다발생, 보안미비를 한계요인으로 제시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각 관련 기관이 협력하여 표준화 확보, 시스템의 통합성 확보 및 확장성 확보, 각 적용되는 데이터에 대한 취소, 정정 정책 수립, 검증비용 효율화와 보안 대비 방안으로 모색하여야 한다. 둘째, 서비스 측면에서 한계요인은 초기단계로 활용성 미비, 보안위협 대응 미비, 전문 인력 부족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는 지속적인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서비스에 대한 철저한 보안대응 방안을 준비하고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법제도 측면은 법적대응 미비, 규제의 불확실성 및 관련 규정미비의 한계점이 있다.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가장 중요한 영역인 법 제도는 정부의 관련 부처에서 법적대응 안 마련, 규제의 명확성 및 대응 방안 수립이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블록체인 기술 관련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자상거래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제도적 연구 (A Legal and Systematic Study On Consumer Protection In Electronic Commerce)

  • 권상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787-796
    • /
    • 2009
  • 전자상거래는 1990년대 후반 이후부터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해 가고 있다. 그러나 전자상거래의 비대면성과 익명성, 국제성, 일방성, 현혹가능성 등과 같은 특성으로 인하여 소비자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비자보호를 위한 법 제도적 개선점을 다음과 같이 종합적으로 도출해 보았다. 첫째,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상 청약철회권 행사기간을 연장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자상거래는 비대면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비자가 착오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며, 소비자가 자신의 착오를 입증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사전에 착오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전자약관에 대한 인증마크 제도를 도입하여야 한다. 넷째, 소비자의 안전한 개인정보관리를 통한 개인정보유출과 이용에 대한 불안감이 없도록 법적, 제도적 그리고 기술적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인터넷 신뢰마크에 대한 엄격한 감독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조정에 있어서 절차상 전송된 메시지나 문서에 대한 해킹 등을 통하여 제3자의 개입과 간섭이 있을 수 있으므로 당사자간의 명확한 인증을 통하여 시스템상에서의 보안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보호조치 의무 위반의 판단 (Judgement of Violation of the Protection Duty of Internet Service Provider)

  • 강주영;김현지;이환수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7호
    • /
    • pp.17-26
    • /
    • 2016
  • SK컴즈, 옥션, KT 등 대형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이용자의 정보가 유출되는 정보유출사고가 국내에서 여러 차례 발생하였다. 이러한 해킹으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사고에서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법적 책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기존 법령 위반 또는 법 일반원칙인 신의칙 위반 여부를 살펴보아야 한다. 그러나 현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신의칙상 책임 범위를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 기준은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신의칙상 보호조치 의무의 범위의 불확정성은 기업들에게 불만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므로 이 범위를 어떻게 확정할 것인지 그 판단범위로서 객관적인 지표의 제시가 필요하다. 하지만 앞서 언급된 법의 성격상 보호조치 의무의 범위를 확정하여 법령에 규정할 수 없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법제도 차원에서 고민할 것이 아니라 융합적 차원에서의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부분, 법제적 부분, 관리적 부분으로 나누어 융합적 관점에서 사업자의 주의의무 위반의 범위를 예견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에 대한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디지털 포렌식 기법을 통한 기업 정보유출에 대한 취약점 탐지 효율성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 Vulnerability Detection Against Leakage of Proprietary Information Using Digital Forensic Methods)

  • 박윤재;채명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464-472
    • /
    • 2017
  • ICT(정보통신기술) 융합보안 환경에서 수많은 기업들이 회사 내에서 생산되는 중요 자료인 제품정보, 제조기술, 서비스 매뉴얼, 마케팅 자료, 홍보자료, 기술적 자료들을 외부공개 및 공유를 위해 웹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이렇게 인터넷에 공개된 웹 시스템은 사이버 보안 관리에 매우 큰 영향을 주고 있고, 상시 취약점을 가지고 있어서 정보보호 솔루션과 IT 취약점 점검을 수행하고 있지만, 외부 환경에서의 취약점 탐지 관리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디지털 포렌식 기반의 시스템을 자체 구축하고 포렌식 기법을 활용하여 기업의 중요정보 유출 탐지에 대한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국내와 해외에서 운영하는 웹 시스템의 취약점으로 인하여 기업의 비밀자료 등 중요 정보가 노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보안관리 개선 사항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최근 증가하는 해킹사고 대응으로 디지털 포렌식 기법을 적용한 시스템을 구축한다면 정보보안 취약 영역의 보안관리 강화와 사이버보안 관리체계 개선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블록체인 환경에서 화이트박스 암호기반 키 보호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ey Protection Method based on WhiteBox Cipher in Block Chain Environment)

  • 최도현;홍찬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9-15
    • /
    • 2019
  • 최근 차세대 전자상거래 및 금융 분야에서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블록체인 기반 기술에 관심이 크다. 블록체인 기술의 보안성은 안전하다고 알려졌지만, 가상화폐 관련 해킹 사건/사고들이 이슈화되고 있다. 가상화폐 지갑에 대한 로그인 세션 탈취, 악성코드 감염으로 인한 개인키 노출, 단순한 암호 사용 등 외부환경의 취약성이 주요 원인이었다. 그러나 개인키 관리는 전용 애플리케이션 활용 또는 로컬 백업, 문서 프린트를 통한 물리적 보관 등 일반적인 방법을 권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이트박스 암호 기반 개인키 보호 기법을 제안한다. 안전성 및 성능분석 결과 개인키 노출 취약점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하고, 암호화키를 알고리즘에 내장하여 기존 프로토콜의 처리 효율성을 증명하였다.

가상통화거래소의 계정 및 자산 보호에 관한 사례연구: 유관기관의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Protection of Accounts and Assets on Cryptocurrency Exchanges: Focusing on the Processes of Related Institutions)

  • 이윤주;이동원;한인구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2권4호
    • /
    • pp.135-161
    • /
    • 2020
  • 블록체인과 가상통화 관련 시장의 성장과 함께 가상통화거래소는 하나의 신규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가상통화에 대한 법·규제적 정의가 진행 중에 있어서 기존 산업과 다르게 규제기관의 관리감독을 받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거래소 해킹 및 사고로 인한 사용자(가상통화 투자자)의 피해가 다수 보고되었다. 가상통화거래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개인정보 및 계정의 탈취로 인한 자산 피해와 사용자가 외부 사기사건 등에 연루되어 발생할 수 있는 피해로 구분하여 연관성이 높은 기능을 선행 사업자와 비교 분석하였다. 회원가입(KYC: Know Your Client), 로그인, 거래 추가인증은 선행 사업자와 유사한 수준이나, 이상거래탐지(FDS: Fraud Detection System), 법화 및 가상통화 자금세탁방지(AML: Anti-Money Laundering)는 미흡한 수준으로 조속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LAS Advanced & WRC 웹로그 분석을 활용한 ESM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Asynchronous LAS Advanced & WRC Weblog Analysis of Practical use ESM)

  • 우승호;강순덕
    • 정보학연구
    • /
    • 제7권4호
    • /
    • pp.9-2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현재 네트워크에서 심각한 문제 우해바이러스를 해결하기 우해서 VirusWall을 실험해본 결과 Dos를 막을 정도 밖에 안되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차적으로 ESM, CIS와 MIS면으로 지능화된 인터넷과 Multiple Protocol 등 상황에 맞는 대처를 하도록 로그 분석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결과적으로 ESM의 다양한 해킹과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한 지능적인 전사적 보안관리 시스템과 CIS를 이용하기 때문에 정보보호 측면에 폭넓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Site Design, Packet 전송별로 클릭할 수 있고, 내부 인터넷(GroupWare)까지 사용되었으며, Smart View를 통해서 전체적인 웹과 보안의 관계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대형 자료를 위한 AES 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ES Extension for Large-Scale Data)

  • 오주영;고훈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63-68
    • /
    • 2009
  • 모든 정보기술 분야에서 비인가자의 편취나 의도적 변경 등으로부터 정보를 보호하는 것은 핵심적인 문제가 되었다. 이에 안전한 작업진행을 위해 효과적이고 편의한 보안방법들이 요구되는데, 암호화 알고리즘은 많은 연산시간을 요하며, 실제 CPU 시간과 메모리 등의 많은 시스템 자원을 소모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형 자료의 암호화를 위해 평문의 압축, 입력 블록의 가변 크기, 라운드 횟수의 사용자 설정, 소프트웨어 최적화 등의 4가지 특징을 고려한 AES 확장 구조를 제안하였다. 실험은 C++로 수행하였으며 암호화와 복호화에서 개선된 실행시간을 보인다.

  • PDF

중요핵심기반시설(SCADA)에 대한 보안 관리 연구 (A Study on the Security Management for Critical Key Infrastructure(SCADA))

  • 김인중;정윤정;고재영;원동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8C호
    • /
    • pp.838-848
    • /
    • 2005
  • 전력, 가스, 상하수도, 고속전철 등 국가에서 관리하는 중요핵심기반시설은 대부분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으로 관리, 운영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시설들이 사이버 테러 및 해킹, 바이러스 등 에 의하여 원격 조작 및 통제되는 경우 심각한 위험에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중요핵심기반시설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보호 관리기법을 수립해야 할 시점에 이르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자산, 위협/취약성, 위험도 계산 등의 위험분석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정보보호대책(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및 장애처리를 포함한 보안관리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미국, 일본 등 중요핵심기반시설에 대한 정보보호 관리 현황을 알아본다.

컨텐츠 보안 침입 탐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imentation of Intrusion Detection System on Contents Security)

  • 김영선;서춘원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11호
    • /
    • pp.164-168
    • /
    • 2015
  •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웹을 통한 광고, 사이버 쇼핑, 인터넷 뱅킹 등 다양한 서비스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제공되면서 웹 보안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을 다양한 유형의 해킹 위협과 외부의 불법적인 침입으로부터 정보자산의 보호를 위한 보안시스템을 요구하게 된다. 본 논문의 웹 침입 탐지 도구는 웹에 대한 개별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소요되는 자원 및 인력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안 수준을 향상시켜는 것이다. 웹 보안 시스템은 웹 환경에서의 보안 취약성과 정보 노출에 대한 문제점의 원인을 분석하고 보안의 빠른 지원을 결정하기 위해서 모니터링을 이용하여 정보 보안 취약성과 정보 노출을 보호할 목적으로 보안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