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bits of IT

검색결과 1,439건 처리시간 0.027초

지역교회간호(Parish Nursing) - 일차건강간호를 위한 새로운 도약 (Parish Nursing : A New Challenge for Primary Health Care)

  • 노유자;백영미
    • 대한간호
    • /
    • 제37권2호
    • /
    • pp.53-62
    • /
    • 1998
  • ursing as a profession is characterized by its holistic, mind-body-spirit approach to the patient. Also, nurses have historically been the leaders in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Parish nursing has a great potential for providing primary preventive health care. services as well as assisting people to access the health care system. While working in the community, parish nurses see the church as the new arena for delivering health care services. The parish nurse program was introduced by Granger Westberg in 1984. The concept of parish nursing is based on several beliefs; health is multidimensional and affects all aspects of an individual-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aul being. Parish nursing is one model in which churches can cooperatively work with health care institutions to address the needs of their parishioners. The role of the parish nurse is emphasized in four basic area: a) health education, b) health counseling, c) referal services, and d) facilitation and organization of support groups within the congregation. The parish nurse programs work chiefly in congregation or commuity where a certain language of faith is ready at hand. This means that the parish nurse works in an ecology of meanings and care which encourages the drawing on the message of God's grace, the practices and habits it encourages. The parish nurse may be involved in the church's health ministries and may work on either paid or volunteer basis; however, one of the most important qualification of the parish nurse is to have the nursing knowledge and skills to practice within the standards of Nursing Practice Act. The completion of standards of practice for professional nurses practicing as parish nurses had been identified as a priority by the HMA Executive Board (1996, HMA). In conclusion, parish nursing promotes health and healing by empowering the faith community, family, or individual to incorporate health and healing practices. There are several preconditions that should proce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parish nursing program in Korea. First,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home health nursing should be considered. Second, correct terms and concepts of parish nursing should be studied and understood. Third, systematic study and investigation should be followed for further development of parish nursing. Fourth, strengths and weaknesses of different models should be studied to develop proper model of parish nursing for Korean situation. Finally, consensus of standardized education program and corporation with various religious communities as well as health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When these preconditions are met, the role of parish nursing as a new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holistic health will be established.

  • PDF

교사들의 교육과정 저항성에 따른 실행형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Behaviors of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s' Curriculum: Focus on Teachers' Perceptions of Curriculum and Resistance)

  • 김은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721-729
    • /
    • 2018
  • 우리나라와 같이 교육과정에 관한 의사결정이 국가 수준에 집중되어 있을 경우 교육과정 이해의 관점은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육과정 이해는 교육과정 이론가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교육기관의 교사에게도 중요하고 볼 수 있다. 또한 그 동안 교육개혁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저항요인에 관한 연구는 주로 개인들의 속성에 관한 연구들로서, 습관, 성숙도, 인성, 연령 등과의 관련성을살펴본 결과들이 있었으나 연구결과들 간에 일관성을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과정 실행의 핵심요인으로 교사를 선정하고 교사의 지식과 태도, 기술과 교육과정 실행 간의 관계에서 교사들이 가지는 교육 저항성에 대한 인식과 부정적인 견해를 알아보는 것으로써 또 다른 의미를 찾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의 강남구, 송파구, 중구에 위치한 중 고등학교에서 교사들을 대상으로 했다. 설문조사는 2018년 4월 13일부터 4월 30일까지 3주에 걸쳐 15개 학교 대상으로 무선표집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0.0와 AMO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과 sobel-test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기술체계, 지식체계, 교사의 태도 순으로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저항감의 고(高), 저(低)에 따라 각 요인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건강검진 수검자들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및 관련요인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Health Checkup Examinees in a University Hospital)

  • 조영채;권인선;박재영;신민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317-5325
    • /
    • 2012
  •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인자의 유병률을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 요인과의 관련성을 검토하며, 진단기준 인자의 군집화를 통해 대사증후군 위험의 분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에서 종합건강검진을 받았던 30세 이상의 지역주민 1,388명을 대상으로 허리둘레,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수축기혈압, 확장기혈압, 및 공복 시 혈당 등 대사증후군 진단기준 인자를 측정하였다. 분석은 이들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대한 유병률을 파악하고 위험인자의 군집화를 통해 대사증후군 위험의 분포를 파악하였으며, 관련요인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위험비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대사증후군의 유병율은 21.7%로 나타났으며,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별 유병률은 HDL-C, 혈압, TG, 허리둘레, FBS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련변수에 따른 위험비에서 BMI, 흡연습관, 식품섭취 및 당뇨에 대한 가족력 등이 대사증후군의 위험비를 높이는데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사증후군의 위험 관리를 위해서는 모든 생활습관 요인에 대한 평가와 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독자 중심의 신문 제작과 독자의 실제 열독률 (What did They Read in the Newspapers?: A New Method of Measuring Readership)

  • 박재영;전형준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35권
    • /
    • pp.211-249
    • /
    • 2006
  • 이 연구는 독자가 어떤 기사를 얼마나 읽는지를 구체적으로 탐색했다. 설문 응답 형태로 열독 의식이나 태도를 조사한 과거 연구와 달리, 이 연구는 독자에게 신문을 보여주면서 각 기사에 대한 열독 여부와 열독 정도 등 '행태'를 측정했다. 최근 국내 신문사들이 독자 중심의 제작을 표방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독자의 구체적인 열독행태는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는 것이 이 연구의 문제의식이었다. 신문 종합섹션 전체 기사의 절반 이상을 열독하는 독자는 6.2%였으며 경제섹션의 이 비율은 4.1%였다. 종합섹션에서 단 1개의 기사도 열독하지 않는 독자는 1.1%였으며 경제섹션의 이 비율은 26.5%였다. 종합1, $3{\sim}5$면, 사회 $1{\sim}2$면, 여론 $2{\sim}3$면의 열독률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문화1면, 국제 2면, 경제섹션 4면, 스포츠 2면, 피플 1면의 열독률은 낮았다. 또 사회면 4개의 머리기사 열독률은 종합면 6개의 열독률보다 높았고, 특히 사회 2면 머리기사 열독률은 종합1면 머리기사 열독률보다 높았다. $20{\sim}30$대 젊은 독자는 40대 이상의 장년층 독자보다 종합 $1{\sim}4$면과 사설면의 머리기사를 현저히 덜 읽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흉수를 동반한 피하조직 이소기생 폐흡충증 (A case of subcutaneous paragonimiasis presented with pleural effusion)

  • 김수영;박선주;배시영;조영국;김찬동;우영종;최영륜;마재숙;황태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7호
    • /
    • pp.760-765
    • /
    • 2008
  • 폐흡충증은 갑각류나 생가재 내의 Paragonimus의 유충의 섭취로 발생하는 기생충 감염이다. 폐 폐흡충증이 가장 흔한 임상 양상이지만 몇몇 이소 폐흡충증이 보고되고 있다. 그 가운데 피하조직의 폐흡충증은 매우 드물다. 6개월 전 게장을 먹은 과거력이 있는 2세 5개월 남아가 우측 복벽의 종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흉부 X선과 CT 상 폐실질에 이상 없이 우측 흉수만 발견되었고 간비대를 보이고 있었다. 말초혈액 검사상 호산구 증다증을 동반한 백혈구 증가증 및 혈청 면역글로불린 E의 상승을 보였다. 이후 ELISA 상 폐흡충 항체에 양성반응을 보여 P. westermani에 의한 흉수를 동반한 피하조직의 폐흡충증으로 진단할 수 있었다. 환아는 praziquantel 복용으로 치료를 하였으나 피하조직의 폐흡충증 종류가 더 악화되어 이를 수술적으로 제거하였고 조직검사상 기생충의 감염으로 의심되는 염증반응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저자들은 소아에서 감염된 피하조직의 폐흡충증의 드문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소양인(少陽人) 치험례(治驗例)가 소양인(少陽人) 병리관(病理觀) 형성과정에 미친 영향에 대한 고찰 (The influence of accumulated clinical experience with Soyang-type patients on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Soyang pathology)

  • 강미정;이지원;이준희;고병희;이의주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5-284
    • /
    • 2011
  • 1. Objective: This literary review investigates Lee Jema's clinical experiences with Soyang-type patients and their influence on his conceptualization of the Soyang physiology and pathology. 2. Methods: 1) The case reports in "Soyang constitutional type: Spleen Cold-based Exterior-Cold disease"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Sinchuk revision to explore the temporal change in the Sasang medical concepts. 2) The texts in Donguisusebowon (Gabo edition) and Donguisusebowon (Sasangchobongwon)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pathological concepts appearing before the completion of the Donguisusebowon (Gabo edition). 3) The texts in Donguisusebowon (Sinchuk edition) was analyzed to investigate the pathological concepts formed between the Gabo and Sinchuk editions of Donguisusebowon. 3. Results and Conclusions: 1) Gabo edition : The Gabo edition divided the External-origin Exterior disease into Cold-dominant (Heat-moderate) and Heat-dominant (Cold-moderate) patterns and differentiated the severity of Exterior-based Exterior disease and Interior-based Interior disease into mild, moderate, severe, and critical conditions. Cold-damage Delirium disease pattern was categorized as an Interior-based Interior disease, and the treatment protocol using Baekho-tang (Baihu-tang) was established. The stool condition and bowel movement reflecting the patient's defecation habits, the prime indicator of health in the Soyang constitutional type, were emphasized on their importance. 2) Sinchuk edition: The Delirium disease pattern was moved into the Exterior-cold disease, and the treatment protocol applying Jihwangbaekho-tang (Dihuangbaihu-tang) and Hyeongbangsabaek-san (Jingfangxiebai-san), with variational usage of Gypsum, was newly established. The Seong-Jeong and basal disease patterns were suggested as important factors in treating the patients. Also, it was proposed that the symptoms and signs reflecting the condition of the life-preserving energy be assessed to understand the patient's current condition. The importance of post-acute rehabilitation and aftercare as well as the most appropriate acute-stage treatment were emphasized.

지역사회 당뇨노인의 당뇨 자가관리 지식, 자신감, 행위 및 삶의 질 분석 (The Analysis of Self-care Knowledge, Competenc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 Diabetes Elderly)

  • 이송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57-166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당뇨노인의 자가관리 지식, 자신감, 행위 및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D광역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당뇨노인을 대상으로 2015년 4월 20일부터 8월 31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236부 중 최종적으로 205부를 분석하였다.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의 기술통계 및 t-test와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 대상자의 당뇨 자가관리 지식점수는 6.99(${\pm}2.17$)점, 자가관리 자신감은 71.27(${\pm}10.21$)점, 자가관리 행위 62.78(${\pm}1.29$)점, 삶의 질은 0.86(${\pm}0.11$)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자가관리 지식과 자신감은 성별, 교육정도, 주관적 건강에 따라, 자가관리 행위는 교육수준 당뇨이환년수 및 주관적 건강에 따라, 삶의질은 주관적 건강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세부영역별로 분석하였을 때 당뇨 자가관리 지식 중 식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으며, 당뇨 자가관리 자신감은 투약과 혈당체크에 대한 자신감이 높았고 운동에 대한 자신감이 가장 낮았다. 자가관리 행위에 있어서 투약에 대한 행위가 6.48일로 가장 높았으며 혈당체크에 대한 행위 일수는 2.03일로 가장 낮았다. 삶의 질은 통증, 불편감 항목에서 가장 불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식생활을 반영한 식이교육 지침과 방법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당뇨노인이 자가혈당감시 행위를 잘 이행하지 않는 데 대한 구체적인 분석과 연구가 시행될 것과, 본 연구에서 제시된 당뇨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검증할 것을 제언한다.

동료 장학 모임에 참여한 과학교사의 경험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Experience of Science Teacher Participating in Peer Coaching Meetings)

  • 정행남;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3-78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개선을 위해 동료장학 모임에 참여한 과학교사가 어떤 경험 과정을 거치는지 탐색하고, 각 경험 과정에 어떤 요인이 작용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동료장학 모임 과정 녹음과 수업 촬영, 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모든 자료를 전사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K 교사는 동료장학 모임 초반, CoRe를 개발하면서 동료교사들과의 어색함을 깨고 동료들과의 공감대를 형성하였으나, 자신의 수업에 대한 논의에서 동료교사들의 논의를 수용하기 보다는 자기방어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동료장학이 점차 진행되면서 자신의 이전 수업에 대한 반성적 성찰, 다른 참여교사의 수업에 대한 논의, 동료장학이 수업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을 개선하려는 것이라는 인식을 통해서 자신의 수업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었고, 이를 통해 동료장학 모임에서 나온 논의를 인정하고 수용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K 교사의 반성적 성찰은 수업 개선을 위한 노력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였는데, 그는 동료교사들과 함께 수업분석을 통한 구체적인 대안을 모색하면서, 사소한 언어 습관이나 말의 속도, 발음에서부터 학생과의 상호작용, 수업의 구조화까지 교수 실행에 큰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교육과정이나 평가에 관한 지식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그가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로서 강한 성적향상 교수 지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동료장학은 K교사의 교수 방법이나 전략에는 큰 영향을 미쳤으나 그의 견고한 성적향상 교수 지향이 PCK 하위 요소의 균형 있는 발달을 저해함을 알 수 있었다.

표본코호트기반 고지혈증 약제의 저밀도 콜레스테롤 감소량 및 투약순응도 분석 (Analyzing association between low-density lipoprotein reduction by statin and adherence to medication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sample cohort (NHIS-NSC))

  • 김규진;전치혁;이혜선;김헌성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5호
    • /
    • pp.1027-1041
    • /
    • 2017
  • 고지혈증은 혈액 중에 지방 성분이 필요이상으로 많은 상태를 의미하며, 특히 저밀도 콜레스테롤이 혈관벽에 달라붙어 심근경색증, 뇌경색 등의 다양한 심혈관계의 질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스타틴은 대표적인 고지혈증 처방제로서 처방 받는 환자의 개별적인 특성 및 건강관리형태, 투약순응도 등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진다. 스타틴의 주요 효과는 저밀도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것인데, 이는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NCEP-ATP III) 가이드라인에서 환자의 조건에 따라 정한 목표 수치에 도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저밀도 콜레스테롤 수치의 감소량과 환자 별 목표 수치 도달여부를 각각 스타틴의 효과로 상정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구축한 표본코호트 DB를 이용하여 건강검진기록의 개별특성 (나이, 성별, 흡연, 운동 및 혈액검사결과)과 처방전 기록으로부터 투약순응도를 통합해서 저밀도 콜레스테롤 감소량 및 목표도달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부산지역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구강보건에 관한 지식, 태도, 행동과 구강건강상태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about the Dental Health and the Dental Health Conditions in Elementary Students in the Pusan Area)

  • 김숙진;안숙희;김영혜;정은순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9-84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ctual dental care status, levels of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about dental health, and dental health conditions in elementary students; and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s of knowledge, attitudes, behaviors, and dental health conditions for 427 students in their sixth grades from six elementary schools in Pusan area from November 1st to December 5th, 2002.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study questionnaire and through dental checkups by dentists and was analyzed into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evels of knowledge, attitudes, behaviors about dental health was found to be high as mean score 18.75 points (64.7%) in knowledge, 17.86 points (59.5%) in attitudes, and 31.64 points (67.3%) in behaviors. Therefore they were found to care a lot about their dental health. The indices of dental health conditions were found to be low as mean score 0.87 pieces (3.1%) of treated teeth, 1.27 pieces (4.5%) of teeth to be treated, 7.64% of the DMFT rate and 0.43 points (7.2%) of the simplified oral hygiene index. Therefore their condition of dental health was found to be very clean. 2) The relationships among the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about dental health showed a weak level of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conditions of dental health, treated teeth and the DMFT rate showed a moderate level of positive correlation; and treated teeth and the simplified oral hygiene index showed weak level of positive correlation. 3) The condition of dental health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found to be good and dental care was properly done when there was participation of parents and school health educators in dental care. It tells us that dental education is required not only for children but also for their parents. A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about children's dental heath, school health educato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have continuous dental care habits for lifelong dental health with repetitive education, rather than to deliver simple knowledge to students during dental health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