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bits of IT

검색결과 1,439건 처리시간 0.026초

식생활 및 건강관련 지상파 TV 유아 프로그램 모니터링 (Monitoring Diet and Health Related Content in Terrestrial TV Programs for Young Children)

  • 문현경;민지혜;김정남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85-96
    • /
    • 2010
  • Objectives: Television is the most influencing mass media. It has taken an important part in our daily life as the information source. Transmitted informations are the important sources for building one's conscience, value and behavior for all age groups from young children to aged. Methods: In this paper, all land-based TV programs for young children has been monitored by quantity and quality from July 1st 2008 'till December 31st. General programs for young children have been monitored by its theme, type, contents delivery method, proportion of diet and health information in the program, and appropriateness. For the analysis, SPSS was used. Results: Young children's program 2,771 programs and 47,169 minutes during the period were monitored. From programs for young children about 'general' and 'cooking', there were 48programs(30.6%) that has contents about dishes, 47programs(29.9%) about food and nutrition, 34programs(21.7%) about life habits. From the programs, diet and health has been delivered by 'practical exercise(38.9%)', by 'cartoon & puppet show(31.2%)', followed by 'explanation from experts(15.3%)', 'song & movement(8.9%)', and 'simple introduction(4.4%)'. From programs for young children about 'general' and 'cooking', there were 157programs that has contents about ideas and delivery method being considered, 'appropriate(45.7%)' for giving positive and 'inappropriate(54.3%)' for its negative influence to young children, the need of improvement was suggested. Conclusio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infancy in one's lifetime, not only specific field but each program for young children itself should be monitored by experts of each field. A plan on how to deliver accurate content effectively to young children should be searched in various ways.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영양표시 교육의 효과 평가 (Assessment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희정;이정숙;김은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6권3호
    • /
    • pp.226-238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s of nutrition label education in children. The students of three randomly selected sixth-grade classes at a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were classified into a control group, an indirect (written message to parents) education group, and a direct (teaching children) education group. Nutrition label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latter two groups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for nutrition knowledge or in the dietary attitudes of the control group and indirect education group. Improvements in test scores for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attitudes were observed only in the direct education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the indirect and direct education groups, such as selecting snacks (cookies) by considering the fat content. Moreover, after the lessons, the percentage of children who chose white milk (regular milk, calcium-enriched milk, and low-fat milk)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direct education group. This study suggests that conducting nutrition label education helps children improve their nutrition knowledge and leads to positive changes in dietary attitudes and eating behaviors. In particular, a direct nutrition education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an indirect method such as a written message to parent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ystematic and constant 'nutrition label education' be performed by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to establish healthy eating habits based on choosing nutritious snacks and processed foods.

인터넷 설문을 통하여 조사한 여성의 비만도와 자존감, 섭식요인, 우울감의 상관관계와 다이어트진행에 따른 섭식요인의 변화 (Study about Correlation between BMI, Diet-situation and Psycological Factors: Self-esteem, Depression, Restraint Eating, Disinhibition, and Hunger, using Internet Survey)

  • 최형석;전세일;최승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5-85
    • /
    • 2005
  •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body mass index(BMI) and psychological factors; self-esteem, depression, restraint eating, disinhibition, and hunger. The difference of TFEQ(restraint eating, disinhibition and hunger) was analyzed in variety of current diet situations. Methods : The research was based on a sample of people who visited our website and submit the result of self test(self-esteem n=3183; TFEQ n=5167; BDI n=2457). Results : Self-esteem and BDI was slightly correlated with BMI. There i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straint eating and BMI and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hunger and BMI, and disinhibition and BMI. We studied diet situation and eating habits. We divided the sample into 4 groups in accordance with self-submitted result: non-diet group(n=2806), diet-failed group within 3 months group(n=371), maintaining group after successful-diet(n=233), on-going diet group(n=1757) As to restraint eating, non-diet group showed the lowest score in restraint eating and maintaining group after successful-diet showed the highest. The score in disinhibition and hunger was significantly lower in maintaining group after successful-diet group than one in diet-failed 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would be essential to treat thes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depression and self-esteem in weight loss program. Considering the result in diet-situation and TFEQ, we insist that restraint-eating and disinhibition should be controlled. If these psychological factors were not treated in place, even the successful diet might turn out to be a worse situation like binge-eating

  • PDF

직장인 당뇨병 환자의 성별에 따른 삶의 질 영향요인의 차이 (Gender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Among Workers with Diabetes Mellitus)

  • 장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281-291
    • /
    • 2020
  • 본 연구는 성별 특성을 고려한 직장인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2010~2017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19세 이상의 직장이 있는 당뇨병 환자 1693명으로 남자 1082명, 여자 6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linear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남자가 전체적인 삶의 질과 5개의 삶의 질 하위요인 모두에서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남자와 여자 모두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적인 요인은 경제수준, 교육수준, 직업, 스트레스 여부, 당뇨병 유병기간. 당뇨병 합병증 여부였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는 근무형태가 영향요인인 반면, 여자는 연령, 결혼상태, 음주, 당뇨병 치료방법, 당뇨병 관리가 삶의 질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직장인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성별에 따른 개별화된 중재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며, 정부 및 사회적 차원의 정책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식품안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과 기능 분석 연구 (Analytical Study on the Design and Function of Food Safetey Application)

  • 손정은;정의태;백진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91-101
    • /
    • 2019
  • 국내에 공식 허가된 식품 첨가물은 약 600개에 달하여 이제 현대인들의 삶 속에 공존하고 있으며 식품에 함유되어있는 첨가물과 식품의 안전성, 유해성에 관한 소비자의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고자 하는 식품의 안전성을 올바르게 인지하고 구매하고자하는 소비자들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가 국내외에서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안전정보를 제공하는 대표 애플리케이션 6개의 기능과 디자인을 분석하고, 디자인 전문가 평가 및 실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기능 및 디자인 분석 결과를 통하여 비슷한 성격의 국내 애플리케이션 3가지를 선정하여 디자인 전문가에게 UI 및 사용성 등 디자인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후 가장 유사한 애플리케이션 두 가지를 선택하여 사용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테스트 결과 엄정, 엄선 두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이 비슷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종합적 결과를 고려하여 엄정이 가장 사용성이 높은 식품안전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식품안전 애플리케이션의 디자인 시 고려해야 할 점과 기존 디자인과 기능의 개선사항을 제안하여 식품애플리케이션 개발자와 이용자의 편의 향상과, 나아가 국민의 안전하고 올바른 식생활 영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전라도 일부농촌지역 여성 노인의 혈중 비타민 $B_{12}$ 수준에 따른 신체계측치 및 임상건강지표들의 비교 (Comparison of anthropometric data and clinical health indicators according to the serum vitamin $B_{12}$ status in female older adults living in a rural area of Jeonla province, Korea)

  • 곽충실;조지현;연미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3호
    • /
    • pp.239-249
    • /
    • 2013
  • Subclinical vitamin $B_{12}$ deficiency is common in the elderly worldwide.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serum vitamin $B_{12}$ concentration with aging and compared anthropometric data and clinical health indicators between normal (${\geq}$ 340 pg/mL) and low (< 340 pg/mL) serum vitamin $B_{12}$ groups in 470 Korean women aged 65 years and over living in a rural area. Serum vitamin $B_{12}$ concentration showed inverse correlation with age (r = -0.0992, p < 0.05). The normal $B_{12}$ group showe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red blood cell count, hemoglobin, and hematocrit compared to the low $B_{12}$ group, however, no difference in mean corpuscular volum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normal $B_{12}$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erum homocysteine concentration (p < 0.01) and prevalence of vitamin D (p < 0.01) or folate deficiency (p < 0.001). Bone mineral density (T-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05) in the normal $B_{12}$ group, compared with that in the low $B_{12}$ group,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r = 0.1490, p < 0.01) with serum vitamin $B_{12}$ concentration after adjusting for age, body weight, and body mass index. No differences in anthropometric data, physical activity, and smoking and drinking habit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clusion, it could be suggested that older female adults with normal serum vitamin $B_{12}$ level would be less anemic and osteoporotic and more resistant to hyperhomocysteinemia associated chronic diseases than those with low serum vitamin $B_{12}$ level.

1인 가구를 위한 레시피 공유 서비스 디자인 연구 -백주부 요리 레시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of Recipe Sharing Servic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 김한준;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419-425
    • /
    • 2020
  • 본 연구는 요리 레시피 공유 애플리케이션 내 기능적 서비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많은 1인 가구는 혼자 식사하는 경우가 잦고 외식에 의존하며 평소 식습관은 영양이 잘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홀로 거주 시 다인 가구 대비 우울증 등 정신 질환으로부터 노출될 위험성이 커지며 영양이 불균형하면 질병에도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정의하여 1인 가구들이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함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려하고 20-30대 1인 가구들이 많이 이용하는 백주부 요리 레시피를 중심으로 카노모델을 통해 사용자 경험과 기대를 탐색하였다. 보완된 기능적 서비스 제안으로 이용자들은 조리과정을 번거로움이 아닌 즐거움으로 느껴 외식 및 배달 음식을 줄이고 직접 조리를 통해 신체적 건강을 관리할 수 있게 되며 이웃과의 소통을 통해 정신적 건강까지도 스스로 관리할 수 있게 되는 데 의의가 있다.

관상동맥 질환자의 건강생활 습관에 따른 우울과 공격성 (Depression and aggression according to health lifestyle of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 이재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399-409
    • /
    • 2019
  • 본 논문은 관상동맥질환자 135명을 대상으로 건강생활 습관에 따른 우울과 공격성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고, 연구 설문조사는 2019년 5월 13일에서 15일까지 이루어졌다. 생활 습관에 따른 대상자의 우울과 공격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우울과 공격성의 차이가 발견되는 경우, 사후분석(post-hoc)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흡연, 음주를 상대적으로 많이 하는 집단이 생리적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과 식이조절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집단이 생리적 우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량이 많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언어적 공격, 신체적 공격, 공격적 태도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집단은 신체적 공격과 공격적 태도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조절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공격적 태도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클라우드 기반 인체측정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Cloud-based anthropometric data monitoring system)

  • 전성우;한혜동;김정은;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9호
    • /
    • pp.1209-1214
    • /
    • 2020
  • 최근 고령화 시대가 되면서 사람들의 건강한 삶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사람들은 잘못된 생활, 식습관, 신체활동 저하 등으로 인하여 성인병을 유발하거나 비만 인구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보통신 분야에서 의료분야 정보를 활용하여 피부 미용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시스템들은 다양한 관련 측정 항목들에 대해 결합하여 표현되지 않아서 원활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3D 스캐너와 피부미용기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스캔하고, 3D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하여 BMI(Body Mass Index) 지수를 계산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웹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는 지속적인 신체 변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공하므로 관리되는 내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는 다양한 U-헬스 및 미용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An Accurate Forward Head Posture Detection using Human Pose and Skeletal Data Learning

  • Jong-Hyun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8호
    • /
    • pp.87-93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골격 자세를 분석하여 네트워크 학습 기반으로 거북목 자세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판별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거북목 증후군이란 목이 구부정하게 앞으로 나오는 자세를 오래 유지함으로써 목의 자세가 바뀌고 뒷목, 어깨, 허리 등에 통증이 생기는 증상을 말하며, 수술이나 약물치료보다 평소의 자세 습관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기존의 방법들은 웹캠을 이용한 합성곱 신경망을 이용하였고, 이러한 접근법은 영상의 명도와 조명, 피부 색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특정 인물에 대해서만 수행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완화하고 자 영상으로부터 골격을 추출하고, 정면보다는 측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학습하여 이전 기법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거북목 자세를 찾아낸다. 결과적으로 이전 기법에 비해 다양한 실험 장면에서 정확도가 되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