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itoring Diet and Health Related Content in Terrestrial TV Programs for Young Children

식생활 및 건강관련 지상파 TV 유아 프로그램 모니터링

  • Moon, Hyun-Kyu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Dankook University) ;
  • Min, Ji-Hye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Dankook University) ;
  • Kim, Jeong-Nam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Dankook University)
  • 문현경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민지혜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 김정남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Received : 2010.07.25
  • Accepted : 2010.09.11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Objectives: Television is the most influencing mass media. It has taken an important part in our daily life as the information source. Transmitted informations are the important sources for building one's conscience, value and behavior for all age groups from young children to aged. Methods: In this paper, all land-based TV programs for young children has been monitored by quantity and quality from July 1st 2008 'till December 31st. General programs for young children have been monitored by its theme, type, contents delivery method, proportion of diet and health information in the program, and appropriateness. For the analysis, SPSS was used. Results: Young children's program 2,771 programs and 47,169 minutes during the period were monitored. From programs for young children about 'general' and 'cooking', there were 48programs(30.6%) that has contents about dishes, 47programs(29.9%) about food and nutrition, 34programs(21.7%) about life habits. From the programs, diet and health has been delivered by 'practical exercise(38.9%)', by 'cartoon & puppet show(31.2%)', followed by 'explanation from experts(15.3%)', 'song & movement(8.9%)', and 'simple introduction(4.4%)'. From programs for young children about 'general' and 'cooking', there were 157programs that has contents about ideas and delivery method being considered, 'appropriate(45.7%)' for giving positive and 'inappropriate(54.3%)' for its negative influence to young children, the need of improvement was suggested. Conclusio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infancy in one's lifetime, not only specific field but each program for young children itself should be monitored by experts of each field. A plan on how to deliver accurate content effectively to young children should be searched in various ways.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유치원교육과정해설 1998
  2. 구재옥, 이정원, 최영선, 김정희, 이종현. 생활주기 영양학. 도서출판 효일, 2006
  3. 권성호. 교육이념과 어린이 프로그램. 방송연구 1990;2:185-199
  4. 권금상, 김언주, 심재영. 국내.외 TV 유아프로그램에 나타난 문제 해결방법. 아동교육 2006;15(1):25-38
  5. 권성호. 교육이념과 어린이 프로그램. 방송연구 1990;2:185-199
  6. 김기태. '98 자녀지도를 위한 부모교육 : 대중매체시대의 올바른 미디어 교육-TV매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pp49-63
  7. 김영환, 김정은. 유아교육용 프로그램 평가 준거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유아교육연구 1998;4:63-83
  8. 김희섭. 텔레비전 식품 광고에 관한 고찰.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1996;11(4):507-515
  9. 남명자. 텔레비전의 효과가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논문집 1990;12:109-132
  10. 남명자. 텔레비전의 폭력적인 프로그램이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논문집 1999;13:253
  11. 류혜숙, 김현숙, 양일선, 김기태, 배미용. TV속에 나타난 식생활관련 정보의 모니터 사례 분석.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2003;9(2): 138-148
  12. 문영주.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형식과 속도가 유아와 아동의 주의 및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998;11(1):53-66
  13. 문현경, 장영주. 지상파 TV 방송프로그램에 나타난 식품영양정보의 양적 현황(2002-2003년) - 뉴스, 건강정보 프로그램, 드라마.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2005;11(1):51-66
  14. 민영목. 방송모니터 길라잡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15. 박용주. 방송매체에 나타난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토의. 대한영양사협회 식품영양모니터링 심포지엄 1999
  16. 어린이 식생활 지침 개발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2009 보건복지가족부 민간경상보조사업. 2009; pp41-46, 55-63
  17. 유홍식, 조은희, 김지혜, 이민, 유선선, 홍양선. 국내 어린이 프로그램의 편성현황 및 발달단계별 내용분석. 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8;31-67
  18. 유홍식, 김지혜, 조은희, 이민, 유선선, 홍양선. 어린이프로그램 방송채널의 편성현황 및 영유아를 위한 발달단계별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분석. 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 학술 대회 자료집. 한국소통학회 2007;pp103-129
  19. 윤진숙. 올바른 영양정보 보급을 위한 대중매체:전문가와 정부의 역할. 1998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한국영양학회 1998; p17-21
  20. 오유진, 김동식. 미취학 아동의 영양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06;11(3):338-345
  21. 이윤수. 텔레비전 뉴스와 정보 프로그램을 통한 식품영양정보 분석[석사학위논문] 서울: 단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6
  22. 조혜경. 텔레비전의 폭력 장면이 유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986
  23. 이정원, 이보경. 식생활관련 TV프로그램의 전문가 자문에 대한 제작자 태도와 출연자 구성의 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998;3(2): 317-328
  24. 이정원, 이보경. 영양관련 프로그램의 내용분석을 통한 텔레비전의 영양교육적 역할의 검토.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998;3(4):642-654
  25. 최정호, 강현두, 오택섭. 매스미디어와 사회. 나남신서, 1995
  26. 통계청 사이트. TV 시청 시간 통계 결과. 2009; http://www.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