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bitat use

검색결과 442건 처리시간 0.027초

어류 분포에 미치는 기후변화 영향 평가를 위한 서식적합성 모형 적용 (Application of Habitat Suitability Models for Assessing Climate Change Effects on Fish Distribution)

  • 심태용;배은혜;정진호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2호
    • /
    • pp.134-142
    • /
    • 2016
  • 기후변화에 의한 온도 상승 및 강수량 변화는 수량 및 수질을 포함한 수환경의 변화로 이어져 결과적으로 수생생물의 서식지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서식지 변화는 생물종의 서식적합도 변화로 이어지고, 서식적합도에 의해 종분포가 결정된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의한 담수 어류의 서식적합성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기존의 서식적합성 모형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서식적합성 모형은 PHABSIM, CCHE2D, CASiMiR, RHABSIM, RHYHABSIM, River2D과 같은 서식지-수리 모형과 CLIMEX와 같은 서식지-생리 모형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서식지-수리 모형들은 수리학적 인자 (유속, 수심, 기질)를 이용하여 서식적합도를 예측하기 때문에, 수온을 포함한 수질의 영향을 평가할 수 없다. 반면, CLIMEX는 기후 인자에 대한 생물의 생리학적 반응을 평가하기 때문에, 물리적 서식지 (수리학적 인자)의 영향을 평가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식지-수리 모형인 PHABSIM과 서식지-생리 모형인 CLIMEX의 구동 원리를 융합하여 기존의 모형들보다 다양한 환경 인자에 대한 영향을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모형인 생태학적 서식적합성 모형 (EHSM)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 모형은 기후변화에 의한 어류의 서식적합도 변화를 더욱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논습지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서식지 이용과 개체군 특성 (Patterns of Waterbirds Abundance and Habitat Use in Rice Fields)

  • 남형규;최승혜;최유성;유정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59-367
    • /
    • 2012
  • 본 연구는 논습지를 이용하는 수조류의 서식지 이용과 개체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9/2010년과 2011/2012년에 걸쳐 아산만 일대의 논을 대상으로 매월 2회씩 조사를 수행한 결과 총 35종의 수조류가 관찰되었다. 수조류의 논이용은 분류군에 따라 시기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분류군에 상관없이 대부분 논을 취식지로 이용하였다. 도요물떼새류는 봄철이동시기(4월-5월)에 담수화된 본답을 주로 이용하였다. 백로류는 논을 4월에서 10월까지 이용하였으며, 논의 상태변화에 따라 본답, 논둑, 수로 등을 고루 이용하였다. 논은 백로류의 번식에 필요한 충분한 먹이를 제공하는 서식지이다. 오리기러기류는 월동기간(11월-3월)동안 추수 후 떨어진 낙곡을 취식하기 위해 논을 이용하였다. 결과적으로 주기적으로 뚜렷한 환경변화를 갖는 논 생태계는 시기에 따라 다양한 수조류의 서식지를 제공하고 있다.

하남시 토지이용현황에 따른 겨울철 야생조류 서식유형 분석 연구 (Habitat Types of Wintering Season Wildbirds Depending on Land Use, Hanam)

  • 김정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11호
    • /
    • pp.1077-1086
    • /
    • 2006
  •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relationships between land use and habitat types of winter wildbirds to provide basic understanding of ecosystem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urban ecosystem in the future. The research area is Hanam City. Researches on land use types showed Hanam City had 79.1% of greenspace and openspace, but intensive urban development has been taking place in greenspace that is adjacent to urban districts. This has brought the problems of lack of greenspace in urban districts and damages to cultivated areas and grassland. A total of 61 and 8,642 populations of winter wildbird species were observed in research areas. Paradoxornis webbiann(16.91), Passer montanus(11.93), Pica pica(6.88) were dominant species. When they were divided according to habitat types, 20 species of interior species, 8 species of interior-edge generalist species, 12 species of edge species and 3 species of urban species were observed. When which land use type was mostly served as wildbirds habitats was examined, urban species(3 species and 290 populations) was a dominant species in urban districts while in greenspace and openspaece, water species(19species and 3,075 populations) including winter migratory birds was. Among greenspace and openspaece, edge species was dominant in forest while urban species was a dominant species in cultivated areas. This shows there is a need to improve diversity of wildbirds through restoration of cultivated areas in the central part of Hanam City.

봄철 논습지에 도래하는 도요·물떼새의 서식지 이용과 개체군 변동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Dynamics and Habitat Use of Shorebirds in Rice Fields during Spring Migration)

  • 최승혜;남형규;유정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34-343
    • /
    • 2014
  • 본 연구는 봄철 논습지에 도래하는 도요 물떼새류의 도래패턴과 서식지 이용 특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는 한국 중서부지역에 위치한 아산만 일대의 농경지에서 2014년 4월 21일부터 5월 30일까지 2~3일 간격으로 총 18회 수행 되었다. 조사 기간 동안 관찰된 도요 물떼새류는 총 15종 7,852개체였다. 대상 종들의 시기별 도래 특성은 본답에 물을 대기 시작하는 4월 중반부터 관찰되었고 5월 초까지 지속적으로 종수와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5월 후반으로 가면서 종수와 개체수는 감소하였다. 농경지의 물리적 구조에 따른 서식지 이용 특성은 종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종에서 본답과 논둑은 수로나 농로에 비해 선호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답의 미소서식지 선호성은 지역 농업인의 농업 관리에 의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도요 물떼새류의 종별 서식지의 선호성 차이가 명확히 나타났다. 대부분 종은 무논의 본답 형태에서 관찰되었고, 써레질 후 5 cm 이하로 물을 얕게 댄 형태인 본답의 이용이 가장 높았다. 반면 물을 대지 않은 건답의 형태인 수확 후 추경한 형태는 이용을 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봄철 논습지는 도요 물떼새류에게 중간 기착지로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abitat Use of Cranes in Cheolwon Basin, Korea

  • Lee, Won-Shin;Rhim, Shin-Jae;Park, Chan-Ryu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2호
    • /
    • pp.77-80
    • /
    • 2001
  • We investigated the habitat use of cranes, and suggested the proper way to protect and manage the cranes in Cheolwon Basi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wintering ground of cranes in Korea.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wintering seasons from Nov. 1994 to Feb. 1995, and from Nov. 1997 to Feb. 1998. The habitat loss and environmental changes by the road construction and agricultural field rearrangement might have affected the distribution of the cranes. The distribution of cranes seemed to be related with the density of rice grains remained in rice paddies.

  • PDF

Habitat selectivity of fresh water fishes of two second-order tropical streams in Tigray, Northern Ethiopia

  • Tesfay, Solomon;Teferi, Mekonen;Tsegazeabe, Haileselasie Hadush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1호
    • /
    • pp.73-83
    • /
    • 2019
  • Background: Habitat selectivity and ecology of freshwater fishes were studied in two selected streams and their junction point which consist a total of 39 microhabitat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the habitat preference and its availability to fish assemblage, as well as ecology, habitat use, and habitat characteristics. Methods: We collected fish with backpack electrofishing three times during August 2013, December 2013, and March 2014. Using a variation partitioning approach of R software, we studied the relationship of fish abundances with stream type, habitat type, and abundance of key macroinvertebrate taxa. Results: A total of 6554 fishes representing four species belonging to the family Cyprinidae were caught. A higher total fish abundance was recorded from Gereb Tsedo (4870; 74.3%) than from Elala stream (1684; 25.7%). Taking both streams together, the overall total relative fish abund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ools (53%) than in runs (35%) and in riffles (12%) at P < 0.05. Species-wise comparisons showed that 71%, 15%, 13%, and 1% of the pool fish community were occupied by Garra blanfordii, Garra ignestii, Garra dembecha, and Garra aethiopica, respectively. Stream type, habitat type, and key macroinvertebrate taxa each explained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 variation in fish abundance. Based on the variation partitioning approach, fish abundance was higher in Gereb Tsedo stream (P < 0.01). Moreover, fish abundance increased with pool habitat type (P < 0.01) and with availability of key macroinvertebrate taxa (P < 0.01). Conclusion: Fish abundance differed between stream types, among habitats and among key macroinvertebrate taxa availability. Among the factors, habitat type was the most important driving factor behind variation among fish abundances, and pool supports the highest fish abundance.

파편화된 서식처 복원을 위한 기초이론 고찰 (The Basic Theories for Restoration of Fragmented Habitats)

  • 김명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2-61
    • /
    • 2001
  • At least, there are intense pressures on the natural habitats from various disturbance, including urbanization, extension of industrial area, and road construction. These human land use result in fragmentation of landscape and natural habitat. The ecological consequences of habitat fragmentation include the direct effects of habitat loss and the indirect effects of reduced inter-patch dispersal. The decline of biological diversity has been rapidly declined by the habitat loss and fragmentation. Conservation strategists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habitat amount of that must be preserved, but also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habitat across the landscape. But, the paucity of available data for most species forces landscape ecologists to develop the concept, model, and theory. The developed theories are often misused in academic papers and practical applications. The development history, presumption of concept, model, theory is ignored. This tendency have leaded to failure of landscape restoration and the use of theory in conservation practice have come under increasing attacks. This paper will highlight the ecological theory that have proven the most influential in landscape ecology,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 the theory of island biogeography, the theory of nested subset analysis, minimum viable population(MVP), the theory of metapopulation dynamics. And, it find the problem and usefulness of four theory in application to real world. Consequently, the understanding of theoretical implication about landscape ecological theory is required. We must carefully apply the theory after examining the problem and availability of various theory because of no existence of only one general theory.

  • PDF

Organism-environment interactions and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patterns among open-coastal and estuarine populations of Porphyra umbilicalis Kützing (Rhodophyta) in the Northwest Atlantic

  • Eriksen, Renee L.;Klein, Anita S.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8호
    • /
    • pp.28.1-28.12
    • /
    • 2018
  • Intertidal macroalgae are exposed to many abiotic stress factors, and they must regularly react to changes in their environment. We used RNA-seq to describe how Porphyra umbilicalis (Rhodophyta) changes gene expression patterns to interact with different habitats. Tissue samples were taken from a typical habitat along the open-coast of the Northwest Atlantic, as well as from a rare, atypical habitat in an estuarine tidal rapid environment.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analyses suggest that pathogic bacteria and viruses may be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transcriptome in the human-impacted estuarine environment, but the atypical habitat does not necessarily induce more stress in Porphyra umbilicalis growing there. We found genes related to nitrogen transport are over-expressed in tissue from the open-coastal site compared to those from the estuarine site, where environmental N levels approach hypertrophic levels. Low N levels impede growth, but high levels are toxic to cells, and we use qPCR to show this species regulates expression of a putative high-affinity $NH_4{^+}$ transporter under low and high N conditions. Differences in expression of this transporter in these habitats appear to be inherited from parent to offspring and have general implications for adaptation to habitat in other species that are capable of asexual reproduction, as well as more specific implications for this species' use in aquaculture.

수생태계 건강성 자료를 이용한 InVEST habitat quality 모델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InVEST habitat quality model using aquatic ecosystem health data)

  • 이지완;우소영;김용원;박종윤;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9호
    • /
    • pp.657-666
    • /
    • 2021
  • 인간활동으로 인해 서식처의 변화, 서식처의 파편화를 비롯하여 기후변화, 토지이용의 변화 등으로 생태계 생물 다양성은 빠르게 손실되고있는 상황이다. 최근 들어 유역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역관리 차원에서 접근하려는 시도가 시작되었으나 어떠한 수단을 통해 생물다양성과 서식처 관리에 대하여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Integrated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and Tradeoffs (InVEST) habitat quality model을 이용하여 유역의 서식처 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서식처 평가결과는 생태·자연도 및 수생태 건전성 평가결과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금강유역의 서식처 질은 0.0 ~ 0.86으로 분석되었으며, 유역의 하류보다 상류에서 서식처 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자연도 등급별 평균 서식처 질을 비교한 결과 1등급, 2등급, 3등급에서 각각 0.80, 0.76, 0.71이었다. 수생태 건전성 결과와의 상관성 분석결과 R2은 0.58, Pearson 상관계수는 0.76 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서식처 보호의 강화와 장기적인 생물 다양성 관련 정책의 실행을 지원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부산 연안역의 서식지 질 및 위험도 평가 (Assessing Habitat Quality and Risk of Coastal Areasin Busan)

  • 정세화;성기준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2호
    • /
    • pp.95-105
    • /
    • 2022
  • 높은 개발 압력과 이용 강도로 인해 연안생태계 건강성이 악화되고 있는 부산은 연안역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생태계 보전을 위해 인간과 자연환경을 함께 고려하는 생태계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식지 중심의 생태계 기반 관리를 위하여 InVEST 서식지 질 및 위험도 모델을 적용하여 부산 연안 육역과 연안 해역의 서식지를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연안 육역은 강서구 가덕도, 남구 이기대·신선대, 기장군 일대 지역의 서식지의 질이 높고, 서구, 중구, 동구, 수영구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안 해역의 경우 낙동강 하굿둑 하부 지역의 위험도가 낮았으며, 영도구, 사하구, 강서구 일부 지역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안 생태계 서식지의 가치를 높이고 지속가능한 이용 및 보전을 위하여 훼손된 서식지를 개선하고 위협요인을 줄여 생태계서비스를 증진할 수 있는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연안 육역의 개발사업 계획 시 연안 해역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연안 육역의 서식질 질 모형 결과는 도시생태현황지도와 국토환경성평가지도와 유사한 경향성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연안 해역의 서식지 위험도 평가 결과 또한 해역의 서식지 파악, 위협요인 관리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