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ar-like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1초

Haar-like 특징을 이용한 고성능 보행자 및 차량 인식 회로 설계 (Design of High-performance Pedestrian and Vehicle Detection Circuit using Haar-like Features)

  • 김수진;박상균;이선영;조경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9A권4호
    • /
    • pp.175-180
    • /
    • 2012
  • 본 논문은 Haar-like 특징을 이용한 고성능 보행자 및 차량 인식 회로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회로는 영상의 매 프레임 마다 슬라이딩 윈도우를 적용하여 Haar-like 특징을 추출하고 보행자 및 차량을 인식한다. Haar-like 특징 추출 회로는 슬라이딩 윈도우 당 200개의 Haar-like 특징을 추출하며, 추출된 특징들은 AdaBoost 인식 회로에서 사용된다. 제안하는 회로는 속도 향상을 위해 병렬 회로 구조를 적용하였으며 두 개의 슬라이딩 윈도우가 동시에 보행자 또는 차량을 인식한다. 제안하는 고성능 보행자 및 차량 인식 회로는 Verilog HDL로 설계하였으며 130nm 표준 셀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게이트 수준의 회로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회로는 1,388,260개의 게이트로 구성되며 최대 동작 주파수는 203MHz이다. 제안하는 회로는 $640{\times}480$ 영상을 초당 약 47.8장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보행자와 차량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지능형 휠체어 적용을 위해 Haar-like의 기울기 특징을 이용한 아다부스트 알고리즘 기반의 보행자 인식 (Pedestrian recognition using differential Haar-like feature based on Adaboost algorithm to apply intelligence wheelchair)

  • 이상훈;박상희;이영학;서희돈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81-486
    • /
    • 2010
  • In this paper, we suggest an advanced algorithm, to recognize pedestrian/non-pedestrian using differential haar-like feature, which applies Adaboost algorithm to make a strong classification from weak classifications. First, we extract two feature vectors: horizontal haar-like feature and vertical haar-like feature. For the next, we calculate the proposed feature vector using differential haar-like method. And then, a strong classification needs to be obtained from weak classifications for composit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differential area of horizontal and vertical haar-like. In the proposed method, we use one feature vector and one strong classification for the first stage of recognition. Based on our experiment,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higher recognition rat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method for the pedestrian and non-pedestrian.

실시간 영상에서 피부색상 정보와 Haar-Like Feature를 이용한 얼굴 검출 및 추적 (Face Detection and Tracking using Skin Color Information and Haar-Like Features in Real-Time Video)

  • 김동현;임재현;김대희;김태경;백준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46-149
    • /
    • 2009
  • 실시간 영상에서 사람의 얼굴 검출은 얼굴 인식분야에 있어서 주요한 관심 분야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입력되는 영상에서 피부 색상과 Haar-like feature를 이용한 얼굴 검출 및 추적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컬러 색 공간에서 피부색상과 특징점을 가지고 얼굴 영역 및 추적하였다. 실험 결과 실시간 영상에 대해 조명 변화 및 가림 현상에서 강건한 추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다중 분포 학습 모델을 위한 Haar-like Feature와 Decision Tree를 이용한 학습 알고리즘 (Learning Algorithm for Multiple Distribution Data using Haar-like Feature and Decision Tree)

  • 곽주현;원일용;이창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2권1호
    • /
    • pp.43-48
    • /
    • 2013
  • Adaboost 알고리즘은 얼굴인식을 위한 Haar-like feature들을 이용하기 위해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알고리즘이다. 매우 빠르며 효율적인 성능을 보이고 있으며 하나의 모델이미지가 존재하는 단일분포 데이터에 대해 매우 효율적이다. 그러나 정면 얼굴과 측면 얼굴을 혼합한 인식 등 둘 이상의 모델이미지를 가진 다중 분포모델에 대해서는 그 성능이 저하된다. 이는 단일 학습 알고리즘의 선형결합에 의존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며 그 응용범위의 한계를 지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안으로서 Decision Tree를 Harr-like Feature와 결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Decision Tree를 사용 함으로서 보다 넓은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Decision Tree를 Harr-like Feature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HDCT라고 하는 Harr-like Feature를 활용한 Decision Tree를 제안하였으며 이것의 성능을 Adaboost와 비교 평가하였다.

Haar-like feature를 이용한 얼굴 검출과 추적을 위한 Lucas-Kanade특징 추적 (Face detection using haar-like feature and Tracking with Lucas-Kanade feature tracker)

  • 김기상;김세훈;박진영;최형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835-83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얼굴 영역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실시간으로 얼굴의 특징 짐을 추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Haar-like feature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자동으로 추출하였으며, 회전에 강건한 KL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얼굴의 특징 점들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얼굴의 특징점을 추적하기 위해 Lucas-Kanade 특징 추적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회전과 움직임에 강건하게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추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Haar-like Feature 변형을 이용한 기울어진 얼굴 검출 (Rotation Invariant Face Detection using Haar-like Feature Variation)

  • 김석호;김재민;조성원;이기성;정선태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987-988
    • /
    • 200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tation invariant face detection method using Haar-like feature variation. Previous approaches using rectangular features can be calculated very fast. But rectangular features is weak in rotated face. Rotated Haar-like features can get high accuracy, but the performance is slow because it can't use the integral image. Our method vary Haar-like features keeping rectangular. this method makes the performance a bit slow, but gives better accuracy.

  • PDF

영상분할 및 Haar-like 특징 기반 자동차 검출 (Vehicle Detection based on the Haar-like feature and Image Segmentation)

  • 최미순;이정환;석정희;노태문;심재창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1314-132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도로에서 주행 중인 차량검출 알고리즘에 대하여 연구한다. 카메라에서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차량을 검출하기위해 먼저 분할 및 합병(split & merge)방법을 적용하여 영상을 분할하고 그 다음 분할된 영역을 해석하여 차량이 위치할 가능성이 높은 영역을 집중적으로 탐색하여 차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연구한다. 전방차량의 후면을 검출하기 위하여 수직/수평 성분을 특정으로 하였으며 적분영상을 이용하여 계산시간을 줄일 수 있는 Haar-like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분류기로는 SVM을 사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350개의 영상을 사용하여 분류기를 학습하였으며 또한 학습에 사용하지 않은 비학습영상 150개를 사용하여 인식률을 구하였다. 실험결과 비학습영상에 대해 95.00%의 인식률을 얻었다.

미약한 시각 특징과 Haar 유사 특징들의 강화 연결에 의한 도로 상의 실 시간 차량 검출 (Real Time On-Road Vehicle Detection with Low-Level Visual Features and Boosted Cascade of Haar-Like Features)

  • 샴 아디카리;유현중;김형석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7-21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a real- time detection of on-road succeeding vehicles based on low level edge features and a boosted cascade of Haar-like features. At first, the candidate vehicle location in an image is found by low level horizontal edge and symmetry characteristic of vehicle. Then a boosted cascade of the Haar-like features is applied to the initial hypothesized vehicle location to extract the refined vehicle location. The initial hypothesis generation using simple edge features speeds up the whole detection process and the application of a trained cascade on the hypothesized location increases the accuracy of the detection process. Experimental results on real world road scenario with processing speed of up to 27 frames per second for $720{\times}480$ pixel images are presented.

Face and Hand Activity Detection Based on Haar Wavelet and Background Updating Algorithm

  • Shang, Yiting;Lee, Eung-Joo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992-999
    • /
    • 2011
  • This paper proposed a human body posture recognition program based on haar-like feature and hand activity detection. Its distinguishing features are the combination of face detection and motion detection. Firstly, the program uses the haar-like feature face detection to receive the location of human face. The haar-like feature is provided with the advantages of speed. It means the less amount of calculation the haar-like feature can exclude a large number of interference, and it can discriminate human face more accurately, and achieve the face position. Then the program uses the frame subtraction to achieve the position of human body motion. This method is provided with good performance of the motion detection. Afterwards, the program recognises the human body motion by calculating the relationship of the face position with the position of human body motion contour. By the test, we know that the recognition rate of this algorithm is more than 92%. The results show that, this algorithm can achieve the result quickly, and guarantee the exactitude of the result.

실시간 객체 검출을 위한 개선된 Haar-like Feature 정규화 방법 (An Improved Normalization Method for Haar-like Features for Real-time Object Detection)

  • 박기영;황선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8C호
    • /
    • pp.505-51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객체 검출에 사용되는 Haar-like feature의 정규화 방법에 대해 다룬다. 기존의 Haar-like feature의 분산 정규화는 후보 윈도우 픽셀들에 대한 표준편차 계산에 사용되는 별도의 적분 영상 생성을 위해 많은 연산을 필요로 했으며 밝기 변화가 작은 영역에서 오검출이 증가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으나, 제안하는 정규화 방법은 별도의 적분 영상을 사용하지 않아 처리 속도가 빠르며 제안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학습시킨 분류기는 밝기 변화에 대해 강건한 성능을 보인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을 사용했을 때 객체 검출기의 처리 속도는 26% 향상 되었으며,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여 학습시킨 분류기들은 5% 이상 향상된 검출률을 보였으며, 밝기 변화가 심한 경우는 45% 향상된 검출률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