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RSA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8초

추출조건이 해동피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soluble Extracts from Kalopanacis cortex)

  • 양훈석;이양봉;유병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27-533
    • /
    • 2013
  • 해동피 항산화 물질을 추출하기 위한 열수 추출조건을 냉장처리 여부,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을 달리하여 검토하였다. 이러한 조건을 달리하여 추출된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및 HRSA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냉장처리 후 추출온도 $95^{\circ}C$, 추출 15시간에서 $612{\mu}g/mL$로써 가장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냉장처리 후 추출온도 $95^{\circ}C$, 추출 15시간에서 가장 높은 78.8%이었고 대조구인 ascorbic acid의 70.2%보다 높게 나타났다. HRSA는 냉장처리 후 추출온도 $95^{\circ}C$, 추출 15시간에서 ascorbic acid 56.6%보다 높은 69.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열수추출에 의한 해동피의 항산화성 활성 및 그 최적 조건을 확립한 것으로 향후 해동피의 기능성식품으로서의 이용개발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The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ies of Sonchus oleraceus L. extracts

  • Yin, Jie;Kwon, Gu-Joong;Wang, Myeong-Hye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권3호
    • /
    • pp.189-194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Sonchus oleraceus L. by extraction solvent, which were examined by reducing power, hydroxyl radical-scavenging activity(HRSA) and 1, 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s. 70% MeOH extract had the greatest reducing power while EtOH extract had the greatest HRSA.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 oleraceus extracts was concentration dependent and its $IC_{50}$ values ranged from 47.1 to $210.5\;{\mu}g/ml$ and $IC_{50}$ of 70% MeOH, boiling water and 70% EtOH extracts were 47.1, 52.7 and $56.5\;{\mu}g/ml$, respectively. 70% MeOH extract of S. oleraceus contained the greatest amount of both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The extracts tested had greater nitrite scavenging effects at lower pH conditions. The cytotoxic activity showed that EtOH extract had the best activity against the growth of stomach cancer ce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S. oleraceus extract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말토덱스트린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이용한 미세캡슐화공정이 옥수수 수염 추출물의 수분흡습과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croencapsulation Using Maltodextrin and/or Cyclodextrin on Water Absorption and Bioactivity of Corn Silk Extract)

  • 이인경;임지은;김선림;강현중;김우경;김명환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3호
    • /
    • pp.292-298
    • /
    • 2017
  • 본 연구는 옥수수 수염 추출물을 핵물질로 사용하였고 피복물질로는 maltodextrin (MD), cyclodextrin (CD), MD와 CD를 1:1(w/w)로 혼합한(MD+CD) 세 가지 피복물질을 이용하여 미세캡슐화 하였을 때 흡습제어, DPPH radical 소거능(DRSA), hydroxyl radical 소거능(HRSA) 및 tyrosinase 저해활성(TIA)의 향상 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조구의 WAI 값은 0.68로 가장 높은 지수를 보였으며 처리구의 경우는 MD+CD 처리구가 0.2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은 피복물질에 의한 유리전이온도 상승과 같은 수분함량에서의 수분활성도 증가에 기인되기 때문이다. WSI에서는 대조구가 72.23%로 가장 낮은 지수를 나타내었으며 CD 처리구가 95.23%로 가장 높은 지수를 나타내었으며 피복물질의 수분용해도 및 미세캡슐화 과정에서의 입자크기감소가 주요원인이다. DRSA의 경우 대조구는 18.60%로 가장 낮았으며 CD 처리구에서는 89.25%이었고 HRSA는 대조구의 경우 16.89%인 반면 MD+CD 처리구는 47.64%로 나타났다. TIA에서는 대조구는 7.16%로 낮은 활성을 보인 반면 MD 처리구가 40.42%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생리활성도 향상은 수분용해도와 비표면적 증가에 기인되었기 때문이다. 모든 분석 치에서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성차이를 보였다(p<0.05).

SiAlON 원료분말제조를 위한 분무건조 과립분말의 형상과 크기에 미치는 공정변수효과 (Effect of Process Parameters on the Morphology and Size of Spray-Dried Granule Powder for Fabrication of SiAlON Raw Material)

  • 최재형;이소율;한윤수;이성민;남산;김성원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716-721
    • /
    • 2017
  • SiAlON-based ceramics are some of the most typical ceramic materials used as cutting tools for HRSA(Heat Resistant Super-Alloys). SiAlON can be fabricated using ceramic processing, such as mixing, granulation, compaction, and sintering. Spray drying is a widely-used method for producing a granular powder of controlled morphology and size with flowability. In this study, we report a systematic investigation aimed at optimizing spherical granule morphology by controlling spray-drying parameters such as gas flow and feed rate. Before spray drying, the viscosities of the raw material slurries were also optimized with the amount of dispersant added.

SiAlON의 절삭성능에 미치는 소결조제와 조성의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 of Sintering Additive and Composition on Cutting Performance of SiAlON)

  • 최재형;이성민;남산;김성원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15-420
    • /
    • 2019
  • SiAlON ceramics are used as ceramic cutting tools for heat-resistant super alloys (HRSAs) due to their excellent fracture toughness and thermal properties. They are manufactured from nitride and oxide raw materials. Mixtures of nitrides and oxides are densified via liquid phase sintering by using gas pressure sintering. Rare earth oxides, when used as sintering additives, affect the colo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iAlON. Moreover, these sintering additives influence the cutting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have prepared $Yb_{m/3}Si_{12-(m+n)}Al_{m+n}O_nN_{16-n}$ (m = 0.5; n = 0.5, 1.0) ceramics and manufactured SiAlON ceramics, which resulted in different color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ntered SiAlON ceramics such as fracture toughness and microstructure have been investigated and results of the cutting test have been analyzed.

가스압 반응소결로 제조된 SiAlON 세라믹스의 상형성과 물리적 특성 (Phase Form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SiAlON Ceramics Fabricated by Gas-Pressure Reactive Sintering)

  • 이소율;최재형;한윤수;이성민;김성원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431-436
    • /
    • 2017
  • SiAlON-based ceramics are some of the most typical oxynitride ceramic materials, which can be used as cutting tools for heat-resistant super-alloys (HRSA). SiAlON can be fabricated by using gas-pressure reactive sintering from the raw materials, nitrides and oxides such as $Si_3N_4$, AlN, $Al_2O_3$, and $Yb_2O_3$. In this study, we fabricate $Yb_{m/3}Si_{12-(m+n)}Al_{m+n}O_nN_{16-n}$ (m=0.3, n=1.9, 2.3, 2.7) ceramics by using gas-pressure sintering at different sintering temperatures. Then, the densification behavior, phase formation, microstructure, and hardness of the sintered specimens are characterized. We obtain a fully densified specimen with ${\beta}$-SiAlON after gas-pressure sintering at $1820^{\circ}C$ for 90 min. under 10 atm $N_2$ pressure. These SiAlON ceramic materials exhibited hardness values of ~92.9 HRA. The potential of these SiAlON ceramics for cutting tool application is also discussed.

범불안장애환자의 정신생리적 반응 (The Psychophysiologic Response in Korean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 정상근;황익근
    • 수면정신생리
    • /
    • 제4권1호
    • /
    • pp.107-119
    • /
    • 1997
  • 연구목적 : 범불안 장애환자에서 스트레스작업에 의한 정신 생리적 반응양상이 건강대조군과의 사이에 어떠한 차이가 있고, 정신생리적 반응과 불안평가척도들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범불안장애환자 23명과 건강군 23명을 대상으로, 기저기전 해밀턴 불안평가척도, 상태-특성불안검사, 기저기직전 스트레스작업직후 검사종료시 주관적 스트레스정도, 기저기와 휴식기 및 두 가지 스트레스작업(암산과 이야기작업) 동안의 정신생리적 측정치들(피부온도, 근전도, 맥박, 피부전도반응)을 평가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1) 근전도는 암산작업 직후 및 이야기작업 직후 휴식기간에, 맥박수준은 암산작업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기간에 불안장애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2) 피부온도의 경우 암산작업시 놀람반응, 근전도의 경우 암산작업시 놀람 및 회복반응 모두, 피부전도반응의 경우 암산작업 직후 회복 반응에서 불안장애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적은 변화량을 보였다. 불안장애군내에서 스트레스작업시 피부전도반응만 놀람반응에 비해 회복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적었다. 3) 기저기전 상태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이야기작업 직후 휴식기간의 피부전도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해밀턴 불안평가척도와 특성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암산과 이야기 작업기간중, 특성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이야기작업 직후 휴식기간중 피부전도반응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4) 근전도에서 상태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이야기작업시 회복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적었다. 피부전도반응에서 해밀턴 불안척도점수가 높을수록 암산작업시 놀람반응이, 이야기작업시 놀람반응이, 상태불안수준이 높을수록 이야기작업시 놀람 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컸다.

  • PDF

대나무 분말의 항산화력과 돼지의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activity of Bamboo powder and its immunoreactivity in the pig)

  • 송윤오;추교문;장선희;구애진;고응규;하지희;이재형;강석남;송영민;조재현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1-122
    • /
    • 2014
  • 본 연구는 대나무 분말의 항산화 활성이 비육돈에서 면역조절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대나무 분말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검정하기 위하여, 총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HHP, ABST, hydroxyl radical 등의 소거활성능을 알아보았다. 대나무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높게 나타났으며, DPPH와 ABTS, HRSA 라디칼 소거능은 12~21%였으며, 추출물의 유효성분으로 총페놀 함량은 171 mg/g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27. mg/g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나무 분말이 함유된 배합사료 급여시 돼지의 면역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처리구에는 일반사료를 급여하였고, 시험구는 일반사료에 대나무분말을 1.0%, 2.0% 및 3.0%을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대나무분말 첨가수준에 따라 혈액의 혈구계수 중 백혈구, 적혈구, 헤마토크리트 함량에서 유의적인 수준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헤모글로빈 함량이 무처리 대조구에 비교하여 증가하였으며 특히 2~3%의 처리구에서 헤모글로빈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혈액 내 총단백질, 혈중 알부민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처리구와 무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AST, ALT 함량은 대나무 분말 처리군에서 무처리군보다 약간 높게 나타나지만 정상적인 범위내에서의 변화를 보였다. immunoglobulin에서 IgA와 IgG 농도는 무처리구에 비교하여 대나무 분말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나고, IgA는 처리구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IgG농도에서는 대나무 추출물 2%, 3% 처리구가 1% 처리구에 비해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TNF-${\alpha}$의 경우 무첨가구와 첨가구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대나무 분말 첨가구에서 interferon-${\gamma}$의 함량은 모든 첨가구에서 무처리 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2%, 3% 처리구가 1%의 처리구 보다도 높은 interferon-${\gamma}$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대나무의 페놀, 또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기초한 높은 항산화력에 의하거나, 또는 대나무에 포함된 돼지 초기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물질에 의한 면역활성 증강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대나무 분말의 높은 항산화력은 돼지 면역력 향상에 기여하였으며, 특히 2~3% 대나무 분말 첨가 사료는 돼지 생리활성을 크게 증강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