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PLC analysis of flavonoid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19초

쇠뜨기 추출물의 성분 분석과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효과 연구(II) (Component Analysis and Study on Anti-elastase Activity of Equisetum arvense Extracts(II))

  • 박수남;양희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39-144
    • /
    • 2007
  • 선구 연구로부터 저자들은 쇠뜨기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에 대한 결과를 이미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성분 분석과 elastase 저해활성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쇠뜨기 추출물 중 ethylacetate 분획의 당 제거 반응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은 TLC 및 HPLC 실험에서 각각 4개의 띠와 피이크로 분리되었으며, 분리된 4가지 성분은 luteolin, quercetin, apigenin 및 kaempferol이었다. 그리고, 그들의 성분비는 각각 19.12%, 12.87%, 15.81%, 52.20%로 kaempferol의 함량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쇠뜨기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의 TLC 크로마토그램은 7개의 띠로 분리되었고, HPLC 크로마토그램은 8개의 피이크를 보여주었다. TLC와 HPLC의 띠와 피이크를 확인한 결과, HPLC의 8개의 피이크는 용리순서로 kaempferol-3,7-O-diglucoside(조성비, 15.74%), luteolin-5-O-glucoside(galuteolin, 11.91), apigenin-5-O-glucoside(12.91), kaempferol-3-O-glucoside(astragalin, 27.94), quercetin-glycoside (10.81, 구조 미확인), kaempferol-glycoside(12.33, 구조 미확인), luteolin(3.72) 및 apigenin(4.62)으로 확인되었다. Aglycone 분획은 elastase 저해활성($IC_{50}$)이 9.8 ${\mu}g/mL$로 매우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ethylacete 분획(플라보노이드 배당체)은 elastase 저해 활성이 거의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이미 보고된 쇠뜨기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과 더불어 쇠뜨기 성분에 대한 분석과 ethylacetate 분획의 당 제거 실험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의 큰 elastase 저해활성으로부터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약쑥 함유 Eupatilin과 Jaceosidin 성분의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Eupatilin and Jaceosidin in Artemisia herba)

  • 류수노;강삼식;김주선;구본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52-456
    • /
    • 2004
  • 약쑥의 eupatilin과 jaceosidin을 분리하여 그 화학구조를 분광학적 방법(^1H\;and\;^{13}C-NMR,\;MS)$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지표물질로 하여 HPLC분석조건과 HPLC용 검체의 조제, 표준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약쑥 eupatilin 성분의 검량선은 y=76069x+107329(r=0.9999), jaceosidin은 y=76651x+77399(r=0.9996)으로 각각 직선성이 인정되었다. 강화사자발쑥의 잎에는 eupatilin이 240mg(100g 잎), jaceosidin이 10mg(100g 잎) 함유되어 있고, 싸주아리쑥의 잎에는 eupatilin이 330mg(100g 잎), jaceosidin이 123mg(100g 잎)씩 각각 함유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국내산 아까시나무와 밤나무 유래 propolis의 영양성분 및 페놀성 화합물 분석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Phenolic Compound in Propolis Collected from Falseacacia and Chestnut Tree in Korea)

  • 송효남;길복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46-551
    • /
    • 2002
  • 국내에서 채집되는 propolis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아까시나무와 밤나무를 밀원 식물로 하여 채집된 propolis와 그의 70% ethanol 추출물(EEP)에 대한 영양성분 및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밀원식물에 따른 큰 차이 없이 비슷한 분포를 보였고, EEP의 경우 propolis 분말에서보다 대부분의 성분들이 상당량 감소되었다. 주요 무기질 5종은 일반성분과는 달리 채집지역과 수종에 따른 차이를 보였고, 대체로 아까시나무의 propolis가 무기물 함량이 많았다. 아까시나무의 propolis에는 칼슘함량이 가장 많았고, 밤나무 propolis는 칼륨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반면에 EEP에서는 두 시료 모두 칼륨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아미노산은 총 16종이 검출되었고, aparagine, cysteine, glutamine 및 tryptophan은 검출되지 않았다. 특히 밤나무 propolis에서는 methionine도 검출되지 않았다. Aspartic acid가 가장 많았고, methionine의 함유량은 극히 적었으며, 아까시나무 propolis가 아미노산 함유량이 전반적으로 더 높았다. 추출수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난 EEP의 total polyphenol 함량은 $13.9{\sim}23.7%$였고, propolis의 phenolic fraction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인 flavonoids 함량은 $8.6{\sim}10.8%$로 나타나 다른 식품재료에 비하여 매우 높은 수준이었다. 고성능 박막크로마토그래피로 페놀성 화합물을 정성분석한 결과 시료종류에 상관없이 거의 동일한 pattern의 chromatogram을 나타내었다. Polyphenol 화합물의 HPLC 분석에서는 약 16개의 peak가 검출되었고, 이중 p-hydroxy benzoic acid, caffeic acid, ferulic acid, benzoic acid, cinnamic acid 및 chrysin의 6종을 동정하였다. 시료간의 chromatographic pattern은 동일하여 propolis를 구성하는 페놀성 화합물의 종류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염수초 포제법에 따른 두충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변화 비교연구 (Salt-water Processing-dependent Change in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ortex Eucommiae)

  • 고원일;이진호;하인혁;정화진;이인희;이재웅;김은지;강병구;전세환;조용규;김민정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9-38
    • /
    • 2017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marker compounds,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alt-water processed Cortex Eucommiae. Method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processing on anti-oxidant effect of Cortex Eucommiae, changes in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between processed and raw Cortex Eucommiae were assessed. In addition, nitrite assa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processing on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rtex Eucommiae. Cell viability was also examined as to elucidate whether processing affects cytotoxicity of Cortex Eucommiae. Finall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alysis was conducted to monitor changes in pinoresinol diglucoside amount of processed and raw Cortex Eucommiae. Results Salt-water processed Cortex Eucommiae showed higher total phenol and flavonoid amount, compared to raw Cortex Eucommiae. Furthermore, anti-oxidative activity of processed Cortex Eucommiae was improved as discovered in DPPH, ABTS, and FRAP assays. Anti-inflammatory effect of Cortex Eucommiae was also enhanced following salt-water processing, as evidenced in nitrite assay. HPLC analysis found that the amount of pinoresinol diglucoside, widely known as the marker compound of Cortex Eucommiae, increases through salt-water processing.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non-toxic concentration of Cortex Eucommiae; processing did not affect the cytotoxicity of Cortex Eucommiae up to the currently adopted concentration. Conclusions The present results support that salt-water processing of Cortex Eucommiae is beneficial in terms of marker compound amount,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dditional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standardize the processing method of Cortex Eucommiae.

적송제제(PineXol®)로 부터 Taxifolin과 (+)-Catechin, Procyanidin B1의 함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axifolin, (+)-Catechin and Procyanidin B1 from the Preparation of Pinus densiflora (PineXol®))

  • 황윤정;;;윤성혜;안혜신;권석형;민복기;윤성호;안영은;이민원
    • 생약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46-250
    • /
    • 2016
  • Pinus densiflora contained diverse phenol compounds like flavonoid, phenylpropanoid and tannin. PineXol$^{(R)}$ is nutraceutical preparation which was treated from bark of Pinus densiflora. Validation and contents determination of taxifolin, (+)-catechin and procyanidion B1 for the preparation of Pinus densiflora (PineXol$^{(R)}$) were confirm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s a result, content of taxifolin, (+)-catechin and procyanidin B1 were, respectively 4.90%, 2.35% and 8.19%. These analysis method and results could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preparation of Pinus densiflora.

김치 유래 GABA 생성 Lactobacillus plantarum의 발효 및 항상화 특성 (Fermented Propert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GABA Producing Lactobacillus plantarum from Kimchi)

  • 이영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40-446
    • /
    • 2021
  • GABA는 식물, 동물 및 미생물 등 자연계에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항고혈압, 이뇨, 진정, 수면유도 및 항스트레스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식품, 의약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김치로 부터 분리한 GABA 형성 유산균을 옥수수 수염 추출물에 적용하여 발효 특성과 발효물의 항산화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신규 L. plantarum LAB459의 분리와 동정은 생화학적 특성, 당자화성 및 16s rRNA 염기 서열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그리고 TLC와 HPLC 분석을 통해 분리된 L. plantarum LAB459가 GABA 생성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탈지유가 포함된 옥수수 수염 열수 추출물에 대해 발효를 수행한 결과, 동결 건조된 발효물에 약 1 ㎍/mg 수준의 GABA가 형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효물에 대한 플라보노이드와 항산화 분석은 옥수수 수염 열수 추출물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된 L. plantarum LAB459는 다양한 식품 발효의 스타터 또는 식품 소재와 의약품 소재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위느타리버섯 추출물의 에르고티오네인(Ergothioneine) 정량법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Optimization of Quantification Method of Ergotioneine in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 박승희;이정민;이승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49-55
    • /
    • 2020
  • 본 연구는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에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물질인 에르고티오네인의 정확한 함량을 분석할 수 있는 최적 분석법을 확립하고 아위느타리버섯 3종(맥송, 비산 2호, 백황)의 에르고티오네인 함량 및 항산화 능력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서로 다른 네 가지의 HPLC 분석 조건을 비교하여 아위느타리버섯 열수 추출물의 에르고티오네인 함량을 정량할 수 있는 최적 조건(shodex HILIC column, 35 ℃, 1.0 mL/min)을 확립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3종류의 아위느타리버섯 열수 추출물에 포함된 에르고티오네인 함량을 결정하였다(맥송: 3.04 ± 0.02 mg/g, 비산 2호: 3.15 ± 0.05 mg/g, 백황: 1.13 ± 0.07 mg/g). 또한, 3종류의 아위느타리버섯 열수추출물의 DPPH 및 ABTS 라디컬 소거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총 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아위느타리버섯 열수 추출물로부터 에르고티오네인 함량을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분석법을 확립하였으며, 맥송 및 비산 2호 아위느타리버섯 열수추출물 소재는 높은 에르고티오네인 함량과,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향후 항산화 효능을 보유한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노화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ntiaging Effects of Geranium nepalense Extracts)

  • 이근하;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5-35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현초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분석 및 elastase와 tyrosinase 저해효과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Free radical(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50% 에탄올 추출물(15.0 ${\mu}g/mL$)${\mu}g/mL$)<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0.9 ${\mu}g/mL$) 순으로 증가하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하여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현초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50% 에탄올 추출물($OSC_{50},\;0.23{\mu}g/mL$) ${\mu}g/mL$)${\mu}g/mL$)순으로, aglycone 추출물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현초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현초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1{\sim}50{\mu}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에서 50 ${\mu}g/mL$ 농도에서 ${\tau}_{50}$이 676.7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Aglycone 분획은 tyrosinase와 elastase 저해활성($IC_{50}$)이 각각 70.0, 19.9 {\mu}g/mL로 매우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현초 추출물 중 ethylacetate 분획의 당 제거 반응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은 TLC에서 2개의 띠로 분리되었으며 HPLC 실험(370 nm)에서도 2개의 피이크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2가지 성분은 quercetin, kaempferol이었으며, 그들의 성분비는 각각 15.3%, 82.8%로 kaempferol의 함량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현초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현초 성분에 대한 분석과 ethylactate분획의 당 제거 실험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의 큰 elastase 저해활성으로부터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도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산 겨우살이의 지표성분 분석 연구(제 1 보) (기주식물과 생장지역에 따른 지표성분 변화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zing Compounds of Korean Mistletoes (Viscum album var. coloratum))

  • 최경;박광우;황금희
    • 생약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38-148
    • /
    • 2013
  • The three biochemical constituents pointed out as the bioactive principles of anticancer activity of Korean mistletoes, Viscum album var. colorantum, epiphyting to different host trees, different region, and different growth environments were compared. The characterizing compounds were lectin, which was glycoprotein reported has anticancer activity, homoflavoyadorinin-B, which was flavonoid glycoside reported as an antioxidant and oleanolic acid, as an anticancerous triterpenoid. We established the analysis methods for three characterizing compounds and determined by HPLC spectrophotometer, respectively. The average content of the lectin in V. album was 1.75 mg/g of dried plants and those of homoflavoyadorinin-B and oleanolic acid were 3.51 and 5.37 mg/g, respectively. The variations of contents of the three characterizing compounds according to epiphytic trees and growth region were observed but not found statistical significance clearly.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contents of bioactive constituents of V. album except homoflavoyadorinin-B are not affected by epiphyting trees or growth environments.

열처리에 따른 돼지감자 M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및 α-glucosidase 저해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Methanol Extracts by Heat Treatment Conditions)

  • 정현주;김주성;사여진;김명옥;양금봉;김명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57-263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100% methanol extracts by various heat treatment.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in methanol extract tended to increased gradually with the rise of temperature to 180$^{\circ}C$. The maximum yield of gallic acid (51.52 ${\pm}$ 2.17mg/g extract weight) and quercetin (13.39 ${\pm}$ 0.03mg/g extract weight) were obtained with extraction temperature of 180$^{\circ}C$ for 120min. In addition, the improving extraction efficiency resulted in the increased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electronic donation ability (EDA, 90.36${\pm}$ 0.57%), reducing power (Abs 1.14)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92.14 ${\pm}$ 1.14%).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extraction process were an extraction temperature at 180$^{\circ}C$ for 120 min, and will provide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he improving extraction yield of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