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LB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19초

O/W 에멀젼 입자의 크기에 미치는 Direct 유화법과 Invert유화법의 효과 (Effect of Direct Emulsification Method and Invert Emulsification Method On Droplet Size of O/W Emulsion)

  • 김철훈;박재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4-81
    • /
    • 1994
  • 유화제로 polyoxyethylene(20)sorbitan monostearate, sorbitan sesquioleate을 혼합 사용하고, 분산상으로 liquid paraffin, 연속상으로 deionized water를 원료로 사용하여 Direct유화법을 이용한 전상법과 Invert유화법을 3가지 단계의 제조방법으로 나누어서 O/W에멀젼을 제조하였고, 각 단계 전상유화법에서 첨가되는 물의 양에 따른 최종 O/W에멀젼의 입자크기변화를 관찰하였다. Direct유화법을 이용한 2단계 전상유화법을 사용하여 제조한 결과, 미세하고 균일한 입자를 갖는 O/W에멀젼은 W/O에서 (W/O)W 이중에멀젼으로의 전환 단계를 거쳐야만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Invert유화법을 사용한 3단계전상유화법은 W/O 에서 일종의 Pseudomicroemulsion gel상을 거쳐 미세하고 균일한 O/W유화 입자가 얻어졌다. 3단계 전상법이 2단계 전상법보다 더 미세하고 균일한 입자를 생성하였다. 실험에서 사용한 모든 유화법에서 혼합유화제의 HLB가 10.0 - 10.8 영역에서 가장 미세한 에멀젼입자가 형성되었다. 이 HLB영역에서 혼합유화제가 용해되어있는 오일상에 첨가되어 가용화되는 물의 양이 최대로 많았으며, 최대 가용화 물양을 갖는 유화제의 조성에서 가장 미세하고 균일한 입자가 얻어졌다.

  • PDF

A Field Deployable Real-Time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Targeting Five Copy nrdB Gene for the Detection of 'Candidatus Liberibacter asiaticus' in Citrus

  • Tirumalareddy Danda;Jong-Won Park;Kimberly L. Timmons;Mamoudou Setamou;Eliezer S. Louzada;Madhurababu Kunt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4호
    • /
    • pp.309-318
    • /
    • 2023
  • Huanglongbing (HLB) is one of the most destructive diseases in citrus, which imperils the sustainability of citriculture worldwide. The presumed causal agent of HLB, 'Candidatus Liberibacter asiaticus' (CLas) is a non-culturable phloem-limited α-proteobacterium transmitted by Asian citrus psyllids (ACP, Diaphorina citri Kuwayama). A widely adopted method for HLB diagnosis is based on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Although HLB diagnostic qPCR provides high sensitivity and good reproducibility, it is limited by time-consuming DNA preparation from plant tissue or ACP and the requirement of proper lab instruments including a thermal cycler to conduct qPCR. In an attempt to develop a quick assay that can be deployed in the field for CLas detection, we developed a real-time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rt-LAMP) assay by targeting the CLas five copy nrdB gene. The rt-LAMP assay using various plant sample types and psyllids successfully detected the nrdB target as low as ~2.6 Log10 copies. Although the rt-LAMP assay was less sensitive than laboratory-based qPCR (detection limit ~10 copies), the data obtained with citrus leaf and bark and ACP showed that the rt-LAMP assay has >96% CLas detection rate, compared to that of laboratory-based qPCR. However, the CLas detection rate in fibrous roo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qPCR due to low CLas titer in some root DNA sample. We also demonstrated that the rt-LAMP assay can be used with a crude leaf DNA extract which is fully deployable in the field for quick and reliable HLB screening.

쓴메밀 유전자원의 종자특성과 유용성분 변이에 관한 자원 정보 구축 (Construction of Data System on Seed Morphological Traits and Functional Component in Tartary Buckwheat Germplasms)

  • 김수정;손황배;홍수영;이종남;김기덕;서종택;남정환;장동칠;박민우;김율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46-45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쓴메밀 74개 유전자원의 종자 표현형 및 화학형과 관련된 8개 주요형질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주성분분석 및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rutin 고함유 자원 등 기능성 쓴메밀 육성재료로 활용가능한 유망 유전자원을 선발하였다. 쓴메밀 유전자원의 종자크기는 일반메밀보다 작은 평균5.2 × 3.4 mm였으며, 종피색은 흑갈색이 45.9%로 가장 많았다. 종자모양은 달갈형과 타원형이 주를 이루었다. 쓴메밀 종자의 유용성분 평균 함량은 rutin이 1,393 mg/100 g DW였다. Flavonoid 함량 범위는 253-2,669 mg/100 g이었으며, polyphenol 함량 범위는 209-1,823 mg/100 g 으로 나타냈다. 쓴메밀 유전자원의 주성분 분석 결과, 제3주성분까지 적용하였을 때 전체 분산의 68.55%를 설명할 수 있었다. 제1주성분에는 rutin, flavonoid 및 polyphenol, 제2주성분에서는 종자길이, 제3주성분에서는 종자폭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5개의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유전자원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형질로는 rutin, flavonoid 및 polyphenol이었다. 쓴메밀 유전 자원 중 5개 자원(HLB1004, HLB1005, HLB1007, HLB1009, HLB1013)이 높은 rutin 함량을 보였으며, 이러한 유용자원들은 향후 기능성 육종소재 개발에 효과적으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비이온성 혼합유화제를 이용한 화장용 크림 유화액의 유화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Emulsion Stability for Cosmetic Facial Cream Emulsion Using Mixed Nonionic Emulsifier)

  • 홍인권;김수인;박보라;최준호;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27권5호
    • /
    • pp.527-531
    • /
    • 2016
  • 화장품 제조의 기본원리인 유화과정은 섞이지 않는 두 액체성분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한 쪽의 액체를 다른 쪽의 액체에 분산하여 안정화된 유제를 제조하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유화제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비이온성 혼합유화제를 이용하여 화장용 크림 유화액을 제조한 후 유화액의 점도변화, 입자 크기 변화, 입자 크기 분포변화 등을 측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비이온성 유화제의 HLB 값은 EMU-01 (HLB = 12.9), EMU-02 (HLB = 12.9), EMU-03 (HLB = 12.4), EMU-04 (HLB = 12.5)이다. 4종류의 혼합유화제 모두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가 증가하고 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화장품 제조 시 교반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는 감소하고 점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4종류의 혼합유화제를 사용한 유화액 모두 층분리는 일어나지 않아 56일까지의 유화액의 안정성은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유화액의 점도는EMU-01 > EMU-02 > EMU-03 > EMU-04로 크게 측정되었으며, 입자 크기는 $EMU-01{\approx}EMU-02$ > $EMU-03{\approx}EMU-04$로 측정되어 화장용 크림 유화액을 제조할 경우 맞춤형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비이온성 혼합계면활성제를 이용한 O/W 유화액의 제조 : CCD-RSM을 이용한 최적화 (Emulsification of O/W Emulsion Using Non-ionic Mixed Surfactant: Optimization Using CCD-RSM)

  • 이승범;리광종;줘청량;홍인권
    • 공업화학
    • /
    • 제30권5호
    • /
    • pp.606-61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palm oil과 서로 다른 HLB (hydrophile-lipophilie balance) value를 갖는 Tween-Span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O/W (oil in water) 유화액을 제조하고, 유화액의 유화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적 유화조건을 결정하였다. 이를 위해 CCD-RSM (central composite design model-response surface methodology)을 이용하여 각 계량인자의 주효과 및 교호효과를 해석하였으며, 두 가지 반응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최적조건을 결정하였다. CCD-RSM의 계량인자로는 유화시간, 유화속도, HLB value, 계면활성제의 첨가량 등을 설정하고, 반응치로는 O/W 유화액의 점도와 평균액적크기를 설정하였다. CCD-RSM 최적화 분석결과 반응치인 O/W 유화액이 점도와 평균액적크기의 목표치를 동시에 부합하는 최적조건은 유화시간(12.7 min), 유화속도(5,551 rpm), HLB value (8.0), 계면활성제의 첨가량(5.7 wt.%)으로 산출되었으며, 이 조건에서의 CCD-RSM 예측결과는 점도(1,551 cP)와 평균액적크기(432 nm)이었다. 이 조건의 실제 실험 결과 오차율은 2.5% 이하로 나타나 O/W 유화액 제조과정에 CCD-RSM 최적화 분석을 적용할 경우 비교적 높은 유의수준의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Solubilization Characteristics of trichloroethylene(TCE) in nonionic surfactants

  • Yul Ri A, Lee;Ho Jeong, Kim;Ji Won, Yang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328-331
    • /
    • 2004
  • Solubilization isotherms of TCE in the nonionic surfactants were studied. In this research, the maximum solubilization of TCE in the micelle was observed at the HLB of approximately 15. Increasing carbon number, solubilization of TCE was enhanced with the same ethoxylated alcohols number in brij surfactants.

  • PDF

피부 미백제를 함유한 안정한 o/w 나노에멀젼의 융복합형 화장품 이용 (Application of Stable o/w Nanoemulsions with Skin Depigmenting Agent for Integration Type of Cosmetics)

  • 조완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417-423
    • /
    • 2015
  • 정제수/Span 80-Tween 80/화장품용 피부 미백제 계에서 PIC 방법을 이용하여 o/w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제조 온도를 30 oC에서 80 oC로 상승시킴에 따라 제조된 나노에멀젼의 입경은 150 nm에서 40 nm로 감소하여 나노에멀젼을 형성하였다. 혼합 계면활성제의 HLB를 변화함에 따라 13.0~14.0 부근에서 가장 작은 입경을 형성하는 최적 HLB가 존재하였다. 오일/유화제의 비율이 증가하면 에멀젼의 입자 크기가 증가하였다. $f{\leq}0.15$ 조건에서 나노에멀젼의 크기 분포는 2 개월 이상 일정하게 유지 되었다. 제조 온도의 증가는 단 분산 나노에멀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였다. 나노에멀젼이 생성되면, Ostwald ripening에 대한 안정성은 연속 상에서 화장품용 피부 미백제의 매우 낮은 용해도로 인해 안정하였다.

생물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디이젤 오염토양세척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mediation of Diesel-Contaminated Soil by Biosurfactant- Enhanced Soil Washing)

  • 문혜준;임영경;김윤관;주춘성;방기연;정욱진;이승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7권2호
    • /
    • pp.13-2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토양에 오염된 디이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토양세척 기술 중에서 적절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토양입자에 결합되어 있는 유해 유기물질의 표면장력을 약화시켜 제거하는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 생분해성이 우수하고 2차 오염문제가 없는 생물계면활성제를 생산하였다. P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를 이용하여 생산된 생물계면활성제인 rhamnolipid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화학계면활성제와의 디이젤 세척효능을 비교분석하였다. 회분식, 연속식 세척실험 결과 디이젤 오염토양 초기농도 5,000ppm에서 계면활성제 1%, 세척시간 24시간 경과 후 본 연구에서 생산된 rhamnolipid의 세척효율이 모두 약 95%로 사용된 계면활성제 중에서 가장 우수한 세척효율을 보였다. 화학계면활성제들은 대부분 50∼80% 미만의 세척효율을 나타내었으며, HLB값이 8에서 15사이에서의 화학계면활성제의 경우 75%이상의 분해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HLB값이 8이하이거나 15이상에서는 60%이하의 낮은 디이젤 분해효율을 나타내었다.

화장품용 오일 타입에 따른 나노에멀젼의 융복합 화장품 적용 (Application of Nanoemulsions upon Type of Cosmetic Oils for Convergence Type of Cosmetics)

  • 조완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369-37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Tween 80/Span 80의 유화계에서, PIC(Phase Inversion Composition) 방법으로, 80 oC에서 화장품용 오일의 나노에멀젼 형성 가능성과 오일의 구조에 따른 나노에멀젼의 안정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탄화수소 계열의 LP 70, Isopar H 및 Pripure 3759는 모두 입도 분포가 40 nm 내외의 안정한 나노에멀젼을 형성하였다. 직쇄 구조의 실리콘 오일은 불안정한 에멀젼을 형성하였으나 환상 또는 짧은 사슬의 실리콘 오일은 안정한 나노에멀젼을 형성하였다. 에스테르 오일류에서는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입도가 증가하였고 분자량이 약 450 이상에서는 안정한 나노에멀젼을 얻을 수 없었다. 오일의 친수성과 친유성을 고려하여 계산하는 요구 HLB (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값에 대한 나노에멀젼의 입도는 HLB 값이 8-10 정도 범위에서 가장 입도가 작았다.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assay for Detection of Candidatus Liberibacter Asiaticus, a Causal Agent of Citrus Huanglongbing

  • Choi, Cheol Woo;Hyun, Jae Wook;Hwang, Rok Yeon;Powell, Charles 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6호
    • /
    • pp.499-505
    • /
    • 2018
  • Huanglongbing (HLB, Citrus greening disease) is one of the most devastating diseases that threaten citrus production worldwide. Although HLB presents systemically, low titer and uneven distribution of these bacteria within infected plants can make reliable detection difficult. It was known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method has the advantages of being highly specific, rapid, efficient, and laborsaving for detection of plant pathogens. We developed a new LAMP method targeting gene contained tandem repeat for more rapid and sensitive detection of Candidatus Liberibacter asiaticus (CLas), putative causal agent of the citrus huanglongbing. This new LAMP method was 10 folds more sensitive than conventional PCR in detecting the HLB pathogen and similar to that of real-time PCR in visual detection assay by adding SYBR Green I to mixture and 1% agarose gel electrophoresis. Positive reactions were achieved in reaction temperature 57, 60 and $62^{\circ}C$ but not $65^{\circ}C$. Although this LAMP method was not more sensitive than real-time PCR, it does not require a thermocycler for amplification or agarose gel electrophoresis for resolution. Thus, we expect that this LAMP method shows strong promise as a reliable, rapid, and cost-effective method of detecting the CLas in citrus and can be applied for rapid diagnosis is needed.